View : 1163 Download: 0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경계적 위치와 모성의 확장적 구성/재구성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경계적 위치와 모성의 확장적 구성/재구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xtended Constructions of Motherhood : Focusing on Mothering Experiences of Urban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Authors
이은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재경
Abstract
After the 2000s,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Korean men and foreign women, marriage migrant women have received a great deal of social attention. Such great attention can be explained as the consequence of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arriage migrant women. More fundamentally, however, that is because marriage migrant women have been re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deal with the crisis of patriarchal family and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problem. Marriage migrant women are expected to become wives, daughters-in-law and mothers within the patriarchal families. Also they obtain quasi-citizenship status as 'a spouse of the people' unlike other immigrants. But the motherhood of marriage migrant women has contradictory meanings. Marriage migrant women's 'good migration' that solves the low fertility problem as they become a spouse of the people, is appreciated, but marriage migrant women from different cultures are regarded as not fully being qualified for 'a mother' of Korean people. So far, therefore, marriage migrant women have been portrayed as having difficulties in child rearing due to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lture after they appear as a new citizen in Korean society. They become passive and deficient mothering existence for whom social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are needed in order to become a mother of 'Korean people.' Biological motherhood of marriage migrant women as a 'reproductive body' lead them to more secure status as a spouse and mother of the people but marriage migrant women are regarded as inadequate to bring up 'Korean' children in that they have differences in culture, ethnicity and national identity. This study attempted to see how marriage migrant women practice their motherhood and change their lives as mothers within the limit of restricted social structure and constraints rather than as a passive mother for whom assimilation and social integra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needs of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cultural differ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are regarded as a social, material and ideological condition that restricts mothering experiences but this study analysed how marriage migrant women transform cultural differences not into deficiency but into assets and re construct motherhood under the restricted conditions. Main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in-depth interview and main study participants are Asian women who got married to Korean men between the mid-1990s and the mid-2000s and all of them live in cities. Main study participants are 24 cases and supplementary study participants are 3 cases. As a secondary research methodology,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and marriage migrant women programs operated by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were observ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tudy participants become mothers on the 'border-cross position,' - on the boundaries of a nation-state, ethnicity and motherhood culture - created by marriage migration and they are 'cross bordering' mothers experiencing dual journey as migrants/mothers. Study participants become mothers of children of different ethnicity beyond the border of a nation-state and between the motherhood norms of native society and settled society. Marriage migration is a migration that crosses the lineages of a nation-state, ethnicity and motherhood norm or culture and study participants are experiencing motherhood and form identities on the 'border-cross position.' Border-cross position is a material condition that restricts motherhood experiences but at the same time, it becomes 'positionality' through which marriage migrant women construct and practice motherhood by negotiating and responding. Marriage migrant women extend motherhood and form their identities as migrant mothers by constructing these boundaries not as fixed but as flexible and changing, in other words 'flexibilization of border.' Secondly, study participants extend their mothering experiences by transforming cultural differences generated from migration into assets for motherhood to become good mothers not considering them as deficient elements. So far,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ve cultural differences have been considered as inadequate and deficient mothering existence but study participants are appropriating motherhood norms of Korean society that emphasizes children's education and transforming cultural differences into assets for motherhood. Such mothering constitutes marriage migrant women's identity as migrants and plays important role in changing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conceptualizes this process as 'extended mothering' in the middle of which study participants form identity as migrant mothers by challenging and resisting to the boundaries that restrict their motherhood and transforming cultural differences into assets for mothering. Thirdly, study participants are considered as a homeogenous group in that they are Asian women who got married to Korean men. However, while study participants become similar mothers in that they are migrant women of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they also experience different mothering in terms of life cycle, nationality, marriage time and so on. As relevant discussions have ignored various differences within marriage migrant women group so far, their various mothering experiences and meanings have not been examined fully. As discussed above, marriage migrant women cross national boundaries and ethnicities for better lives and become mothers somewhere between native society and settled society. This study revealed elements and aspects of motherhood that have been hidden by doubts and prejudices centering around marriage migrant women's motherhood and attempted to focused on the agency that they form identity through finding and exptending gaps in resistance and negotiation in the process of becoming mothers. Also this study aimed to challenge pureblood ideology and a racially homeogenous nation discourse that make migrant women as deficient mothers through empirical mothering and institutional motherhood that reproduces gender order. In the end, the limi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ven if there are varieties in contexts and layers of migrant marriage, this study is restricted to mothering experiences of study participants. All study participants are immigrants living in cities, in their first marriages and of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In the future, more specific studies need to be don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differences that marriage migrant women have such as marriage type, nationality, marriage time and so on. Next, this study only focuses on the lives of urban marriage migrant women. Region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affects mothering experiences. Region can have influence on working experiences, network and mothering experiences. Thus, a study on marriage migrant women's mothering that reflects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rural and urban areas is needed. Finally, individual cultural context and life history process of migrant women has not been analysed adequately until now in that motherhood is a continuous process that leads to future lives as well as a reflection of past. That is, a comparative study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that focuses on the various differ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is necessary. More researches are expected to follow continually in the era of migration making up for the aforementioned limits that deal with how migrant women experiment and reconstruct new motherhood and lead their own lives.;본 논문은 한국사회에 새로운 시민으로 등장한 결혼이주여성이 언어와 문화가 달라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겪고, 따라서 ‘한국인’의 어머니가 되기 위해 사회통합과 동화가 필요한 수동적이고 결핍된 모성적 존재로만 여겨져 왔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한다. 결혼이주여성은 재생산 몸으로서 국민의 배우자이자 어머니가 되지만, 이들은 언어와 문화가 다를 뿐 아니라 국민의 외형을 바꿔내고 또 가난한 나라에서 왔다는 차별적 시선까지 더해져 ‘문제 있는’ 또는 ‘부족한’ 어머니로 여겨져 왔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사회의 순혈주의와 단일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비록 선언적이나마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을 가져왔으나, 이들은 여전히 한국사회와 부계가족의 아내, 며느리, 그리고 어머니가 됨으로써 사회통합의 대상이 된다. 게다가 결혼이주여성의 모성 관련 논의들은 자녀 양육을 둘러싼 갈등과 어려움만을 강조함으로써 이들을 이질적인 존재로 만들며, 사회적 지원과 도움이 필요한 ‘수동적인’ 어머니로 보이게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주를 둘러싼 사회적 제약과 구조 속에서 결혼이주여성이 어떻게 어머니 노릇을 실천하고 정체성을 형성하며 자신의 삶을 변화시켜 가는지 보았다. 특히 문화적 차이로 인해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기존 논의들과 달리 결혼이주여성이 어떻게 문화적 차이를 전유하고 어머니 노릇을 위한 자원으로 전환해 가는지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그러나 누가 결혼이주여성인가를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국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은 대체로 한국 남성과 결혼한 제3세계 아시아 여성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지만 결혼이주여성은 출신국적, 생애주기, 혼인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내부적 차이를 지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갖는 차이들을 간과하지 않으면서 한국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이라고 호명되는 맥락에 주목하기 위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아시아 여성’로 제한하고 이들의 모성 경험을 분석하였다. 모성은 페미니즘 논의에서 오랜 논쟁적 주제가 되어 왔으며, 여성의 삶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중요한 분석 개념이다. 여기에서는 모성을 역사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도덕적 등과 같은 사회 규범과 제도적 맥락 속에서 임신 및 출산과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해서 어머니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는 일련의 사고와 실천, 경험과 제도로 보았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의 모성 경험을 임신 및 출산을 통한 생물학적 재생산과 자녀 양육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재생산, 그리고 이러한 어머니 노릇을 통한 정체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방법은 심층면접이며,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 남성과 결혼한 아시아 여성 24사례를 면접하였다. 그리고 참여관찰을 보조연구 방법으로 다문화 가족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먼저 결혼이주는 국민국가, 종족, 그리고 모성 문화를 가로지르는 특별한 ‘경계적 위치’를 만들어내며, 결혼이주여성은 이러한 경계적 위치에서 이주자이면서 동시에 어머니가 되는 이중의 여정을 경험한다. 즉, 연구참여자들은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 종족이 다른 자녀의 어머니가 되며, 또한 정착사회에서 요구되는 ‘이상적인 어머니’ 상은 여성의 모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은 이러한 경계들을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연하고 변화하는 것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어머니 노릇을 확장해가고 이주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간다. 이처럼 이주와 모성의 결합은 이러한 경계들을 유연화하고 고정되지 않은 것으로 만든다. 더 나은 삶을 위해 자신과 자녀의 제도적 귀속을 조정하고 자녀의 ‘적절한’ 국가 정체성을 협상하며 자녀의 정체성을 보호하는 것은 어머니 노릇의 중요한 부분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차별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사회로의 제도적 귀속과 ‘동화’를 따르려는 의지를 갖게 되며, 이는 ‘한국인’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형태의 ‘정상가족’을 전략적으로 실천하게 된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이 ‘동화’를 따르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이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의심에 도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되기 때문이다. 즉, 결혼이주여성에게 동화 전략은 도구적 의미와 저항적 수행을 내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화 전략은 부모 자녀와의 관계를 약화시키기도 하며, 그동안 자신이 가졌던 문화적 정체성을 부정하게 된다는 데에 많은 갈등과 어려움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최근 한국 사회에서 실시하는 다문화 정책들은 모성적 존재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위치를 특권화 하지만, 동시에 이들을 ‘외국인 어머니’로 구분하고 자녀들 역시 ‘다문화 자녀’를 분리해내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처럼 아래로부터의 동화에 대해 갖는 실천과 기대는 오히려 정책과 제도 등을 통해 위로부터 분리되고 구분되는 장치들과 충돌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최근 연구참여자들은 ‘다문화 자녀’를 ‘글로벌 자녀’로 재개념화 함으로써 다문화 자녀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 편견으로부터 자녀를 보호하려는 훨씬 더 적극적인 어머니 노릇의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경쟁적인 자녀교육과 매니저 맘과 같은 중산층 전일제 어머니를 기준으로 한 어머니 상은 이들을 부족하고 결핍된 어머니로 만들지만,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의 모성 문화에 대한 문제제기와 그로부터 ‘거리두기’를 할 수 있는 자원과 협상력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경계적 위치’가 이주의 맥락과 모성의 접합점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문화적 차이들을 결핍된 요소가 아니라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한 모성 자원으로 전환함으로써 어머니 노릇을 확장시켜간다. 특히 한국의 자녀 교육을 중심으로 한 모성 규범을 전유함으로써 자신의 문화적 차이를 자녀교육을 위한 자원으로 전환해내는 전략을 취하고, 이러한 어머니 노릇은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녀와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화적 차이는 자녀에게 더 이상 결핍이 아니라 글로벌 자녀를 위한 자원이자 선물이 되지만, 이는 또 다시 자녀 양육을 전담하는 어머니 몫으로 남겨지면서 어머니 노릇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참여자들의 어머니 노릇과 정체성을 통해 모성이 확장적으로 구성/재구성된다는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모성이 확장적으로 구성/재구성된다는것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데,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모성을 제한하는 경계들에 도전 혹은 저항하며 문화적 차이를 어머니 노릇의 자원으로 전환해내고 자녀와 자신의 위치를 변화시켜가는 과정으로서 어머니 노릇을 확장시켜간다는 것이다. 다음은 어머니 노릇을 통해 이주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남성과 결혼한 아시아 여성이라는 점에서 동질적인 집단으로 여겨져 왔지만, 모성 경험은 출신국가, 생애주기, 결혼시기와 과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개인적 조건과 사회적 조건은 모성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결혼시기는 생애주기와도 관련되고 연구참여자들의 어머니 노릇의 유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변수이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 집단 내 다양한 차이들이 어떻게 모성 경험을 구성하고 변화시켜나가는지, 더 나아가 결혼이주라는 사회적 제약과 구조 속에서 ‘좋은 엄마’ 규범을 조정해가며 어머니 노릇을 실천하고 변형시키는 행위자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을 둘러싼 의심과 편견 속에서 가려진 모성의 요소와 측면을 밝혀내고, 어머니가 되는 과정에서 저항하고 협상하는 틈새들을 발견하고 확장시키며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행위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모성 경험에 주목함으로써 이주여성을 결핍된 어머니로 만드는 순혈주의와 단일민족 국가 담론, 그리고 젠더 질서를 재생산하는 제도적 모성에 도전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갖는 한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결혼이주는 결혼과정, 혼인형태, 출신국적 등 그 맥락과 층위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국 남성과 결혼해서 한국에 온 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향후에는 결혼이주여성이 갖는 다양한 차이들, 즉 결혼형태, 출신국적, 결혼시기 등에 따른 구체적인 맥락과 요소들이 모성 경험을 어떻게 분화해내는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구체적인 지역적 특성과 결혼이주여성의 삶이 어떻게 연관되는지 세부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모성은 과거의 반영이자 미래의 삶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과정이라는 점에서 이주여성이 살아온 각각의 문화적 맥락과 생애사적 접근을 하지 못한 것은 본 논문의 한계로 남는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이주와 모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