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1 Download: 0

성폭력 2차 피해를 통해 본 피해자 권리

Title
성폭력 2차 피해를 통해 본 피해자 권리
Other Titles
The Rights of Sexual Violence Victims Viewed through the Lens of Secondary Victimization
Authors
이미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This research starts from a question of why sexual abuse victims still suffer secondary victimization in criminal and court proceedings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anti-sexual violence laws and a significant expansion of the rights of victims witnessed over the past few decade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critically review how the reasonableness of law, which serves as a basis for determining sexual crimes, affects secondary victimization, with an aim to identify what needs to be presupposed to reconstruct the rights of victims. For this goal, a variety of methods were used,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alyses of counseling and lawsuit cases,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in order to cover a wide range of experiences and voices of sexual abuse victims. Major data for analysis include counseling logs and cases of damage claims filed against the State in relation to secondary victimization experienced in legal procedures by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depth interviews with families and supporters of victims, legal professionals, and relevant civil servants were also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und that the rights of sexual abuse victims, the extent of which has rapidly expanded over the past two decades, are being seriously challenged in terms of effectiveness, with about 30 percent of victims who entere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reporting that they have experienced secondary victimization. The secondary victimization that occurs in criminal and court proceedings tends to have characteristics as the following. First, the deep-rooted notion of women’s chastity still exerts strong influence over “a reasonable basis for legal judgment” even after 16 years since the law which defined sexual assault as a crime against chastity was abolished. In addition to this, the myth of victim precipitation combined with prejudices about a stereotypical image of victims is found to be major caus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Second, the provisions making crimes indictable only upon a complaint from the victim, which were originally created under the goal of protecting the honor and privacy of victims, are exploited by offenders as a means to get away from criminal charges by forcing their victims to give up legal measures. As a result, they serve as a cause of insult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the victims. Furthermore, the requirement of the irresistible level of violence, which requires the victim to prove that there was a serious level of violence and intimidation that made resistance impossible, overlooks the context of relations between the offender and the victim that involves hierarchical order and/or power. Third, the inexpertise of law enforcement personnel and lack of proper regulations puts the privacy and safety of victims at risk. Also, the victim’s rights to ask for recording of statements and accompanying of someone that she/he trusts become unavailing in front of the right of defense of the accused. The victim’s right to information, which requires upon the initiation of the investigation that the victim be informed of her/his rights as a victim, the details of criminal and court proceedings, the status of the offender, and the availability of support organizations, is rarely respected. While there are laws that guarantee victims’ right to participate in criminal proceedings, right to inform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personality, right to damage claims, and right to assistance, these rights are often ignored due to ineffectivenes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s. This paper also looked into the cases of damage claims filed against the State concerning secondary victimization inflicted during the legal process. Damage suits are to demand the State to compensate for the loss incurred due to improper acts by civil servants involved in the case that resulted in failure to protect the victim’s safety and legitimate righ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nlawfulness of the following acts was not recognized by courts: the investigator’s questioning on the history of sexual relationships of the victim; an incident in which the victim came across the offender in a law enforcement agency and was left to suffer insults and intimidation from him; the investigator’s interrogation of a minor, who had to go to school the next morning, until 3 a.m., which should not have been allowed even if there had been a consent of the victim and her parents; the prosecutor’s requesting the victim to reenact the sexual postures that the victim had with the offender at the time of the abuse; and an incident in which the victim had to deliver a baby due to the prosecutor’s refusal to give a permission for a legitimate abortion. Courts decided illegal the cases in which investigators made public the fact of victimization, the identity of the victim and blamed the victim for the abuse, a criminal identification room was not used, and statements had to be recorded at repeated times. Also, courts ruled against a civil servant who made insulting remarks to the victim. This person was not related to the case at all.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xtent of the violation of rights in these cases is so apparent that the State would have been held accountable even if they had not been sexual abuse cases. That is, courts have yet t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exual violence in determining the illegitimacy of the acts of civil servants. The basis for judgment commonly iterated in the rulings of damage lawsuits against the State is “whether such measures are justifiably unreasonable or whether the reasonableness of those measures cannot be accepted when viewed based on the rule of 'logic' and 'experience'.” However, they fail to give lucid explanations on what they mean by “the rule of logic and experience” and “reasonableness”. Since the damage claims against the State are handled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ing law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victim’s loss is evaluated is also limited by that same framework. What should be noted here, however, is that the experience and voice of victims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process because the majority of those engaged in the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laws are men. It can be argued that “objectivity” in a patriarchal social system, which manifests gendered power relations, is gender-biased. Efforts ar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the experience and voice of victims in determining the unlawfulness of the practice of law enforcement personnel and to expand the range of State accountability by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nature of secondary victimization in sexual abuse cas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ree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 notion of “legal reasonableness” should be reconstruct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victims. For this goal, victims need to be repositioned as subjects of rights, not objects of care. In addition, rather than applying a narrow and stereotyped image of victimization to all cases, it should b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each case. Second,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called for in order to secure the rights of victims. This may include abolition of the provisions making crimes indictable only upon a complaint from the victim and the requirement of the irresistible level of violence, consolidation of anti-sexual violence laws into the criminal code, and creation of detailed guidelines of practice for legal system personnel. More importantly, systematic efforts and financial support are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the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nd expertise of law enforcement personnel. Also, a close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ministries and the state's partnership with NGOs whose main goal is to support sexual abuse victims are necessary. Third, more innovative practices to promote changes in daily lives should be further disseminated. A variety of alternative movements to enhance gender equality and empowerment of victims should be promoted by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laws and institutions concerning the rights of sexual abuse victims are operating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among sexual abuse victims. Based on its findings, this thesis has criticized the failure of reflection of experience and voice of victims in the legal judgements underpinned by 'reasonableness', while arguing that viewing victims as the holders of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those rights of victims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should be a key element in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law and policies.;본 연구는 성폭력 관련법과 제도가 피해자의 권리를 대폭 확장해왔음에도 불구 하고 피해자들이 왜 형사소송절차에서 2차 피해를 입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성폭력을 판단하는 기준인 법의 합리성(reasonableness)이 2차 피해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피해자 권리를 재구성하는데 전제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관련 상담 및 재판자료 분석, 심층면접, 참여관찰 등 다양한 피해자의 경험과 목소리에 기반하여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자료는 형사사법절차에서 경험한 2차 피해 상담일지와 2차 피해에 대한 국가손해배상소송 자료이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 가족과 지원자, 법조인, 공무원의 심층면접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지난 20여년 동안 빠르게 확대되어온 피해자의 권리는 형사사법절차에 참여한 피해자들의 약 30%정도가 2차 피해를 겪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그 실효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형사사법절차에서 발생하는 2차 피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성폭력을 ‘정조에 관한 죄’로 규정하던 법이 사라진지 16년이 지났지만 뿌리 깊게 박힌 정조에 대한 인식은 성폭력의 ‘합리적 판단기준’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 피해자 유발론과 피해자다움의 통념이 합해진 성폭력 판단기준은 피해의 현실에 대한 몰이해와 피해자의 경험을 반영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어 성폭력 2차 피해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둘째, 성폭력 피해자의 명예와 사생활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규정된 친고죄는 가해자들이 사법적 책임을 벗어나기 위해 피해자에게 합의를 강요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친고죄는 피해자의 일상의 평온을 깨뜨릴 뿐만 아니라, 모욕과 인권침해의 근본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피해자에게 반항이 불가능할 정도의 폭행·협박의 입증을 요구하는 최협의설은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위계·위력 등 ‘관계의 맥락’을 간과하고 있다. 셋째, 법 이행과정에서 담당자의 비전문성과 인권감수성 부족, 미비한 법 규정 등으로 피해자들의 사생활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그리고 진술녹화제도나 신뢰관계인 동석제도 등이 실제 피고인의 방어권 앞에서는 무력해지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었다. 가장 기본이 되는 피해자의 정보권은 수사 개시와 함께 피해자의 권리 및 형사사법절차의 안내, 가해자의 처벌 상황, 지원단체 연계 등이 상세히 고지되어야 함에도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처럼 현행법에 의해 피해자들은 형사절차 참여권·정보권·피해자 인격권과 신변보호권·피해 보상권·조력을 받을 권리를 보장받고 있지만, 부유(浮遊)하는 법집행으로 피해자들의 인권이 침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형사사법절차상 2차 피해에 대한 국가손해배상소송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소송은 담당공무원의 불법행위로 인해 피해자의 안전과 법익보호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발행한 손해를 국가가 배상하라는 것이다. 분석결과, 수사관의 피해자 성관계 이력에 대한 질문의 위법성을 인정하지 않은 점, 수사기관에서 가해자 측과 마주치고 심지어 모욕과 폭언을 당한 상황을 방치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은 점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학교 등교에 지장이 매우 큰 새벽 3시까지의 철야조사는 부모와 본인의 동의가 있었더라도 금지되어야 함에도 법원이 이를 공무원의 위법행위로 인정하지 않은 점, 피해자에게 가해자와의 성관계 체위를 재연하도록 한 검사의 불법성을 인정하지 않은 점, 검사의 낙태지휘 거부로 출산에 이른 피해자에 대한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점 등의 문제들을 볼 수 있었다. 법원은 성폭력 피해사실 및 인적사항을 누설하고 피해자를 비난한 수사관의 위법성과 범인식별실 미사용의 위법성, 그리고 반복된 진술녹화에 대한 위법성만 인정하였다. 또한, 수사를 직접 담당하는 공무원이 아니더라도 피해자를 모욕하는 발언을 한 공무원의 위법성에 대한 국가책임을 인정하였다. 한편, 성폭력 2차 피해에 대한 국가책임이 인정된 위 사안들은 성폭력의 특수성이 반영되었다기보다 일반 범죄의 수사와 재판과정에서 발생한 피해이었더라도 국가책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을 정도의 자명한 인권침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법원은 성폭력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국가책임을 인정해야 할 경우들을 공무원의 위법성 판단기준에서 제외하고 있다. 국가손해배상소송의 판결문들에서 공통적으로 밝히고 있는 공무원의 위법성 판단기준은 “그러한 조치를 취한 것이 현저하게 불합리하다고 인정되거나 또는 경험칙이나 논리칙상 도저히 합리성을 긍정할 수 없는 정도에 이르렀다고 인정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판사가 인정하는 ‘경험칙’과 ‘논리칙’이 무엇인지, 그리고 관건이 되는 ‘합리성’이 무엇인지는 자세히 밝히지 않고 있다. 이는 성폭력 2차 피해에 대한 국가손해배상소송이 현행 법규의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해자가 손해를 인정받는 과정은 다시 법의 틀 안에서 판단되어질 수밖에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에 기인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중요하게 지적할 부분은 성폭력의 판단기준과 관련해서 대부분 남성들로 구성된 담당자들에 의해 법이 제정되고 이행되는 과정에 피해자의 경험과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뚜렷한 성별권력관계를 드러내고 있는 가부장제 사회질서 안에서의 ‘객관성’이란 이미 성편향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공무원의 불법행위를 판단할 때 피해자의 경험과 목소리가 반영되어야 하며, 성폭력 2차 피해의 구조와 특징을 이해하고 국가책임의 해석범위를 넓혀가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피해자 관점에 기반한 ‘법적 합리성’을 재구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배려의 대상에서 권리의 주체로 피해자 지위를 확보하고, 소극적이고 일률적인 ‘피해자화’를 탈피하여 피해의 각 맥락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피해자 권리 실현을 위한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2차 피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친고죄의 폐지와 최협의설의 폐기, 성폭력특별법 체계에서 형법으로의 일원화 그리고 형사사법 담당자들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사·재판 담당자들의 인권감수성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노력과 예산투자가 요구된다. 나아가 관련 부처 간의 긴밀한 협조와 성폭력피해자를 지원하는 NGO와의 진정한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셋째, 변화를 위한 새로운 상상력과 일상생활 속에서의 실천이 확산되어야한다. 이를 위해 피해자들 스스로가 우리사회의 잘못된 시선에 맞설 수 있도록 역량강화(empowerment)를 해야 하고, 지원단체들의 다양한 성문화 운동 전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행 성폭력 피해자 권리 관련법과 제도가 어떤 구조에서 작동하고 있는지를 실제 성폭력 피해자들의 2차 피해 경험분석을 통해 밝혔다. 법의 합리적 판단기준에 피해자의 경험과 목소리를 담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비판하면서, 피해자를 권리의 주체로 보고 피해자 권리를 국가가 실현해야 할 의무로 보는 관점을 법정책 및 집행의 주요한 방향으로 제시했다는 점에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