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훈-
dc.contributor.authorWang Duan-
dc.creatorWang Duan-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19-
dc.description.abstract피동문은 세계 여러 언어에서 널리 발견되는 언어 현상이고 한국어와 중국어에서도 흔히 쓰인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 및 중국어 ‘被’자문과 ‘遭受’ 피동문을 대상으로 각각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을 밝혔다. 또한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 한국어 피동문과 중국어 피동문에 대한 대조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A절에서는 피동의 개념을 정리하고 유형론적 관점에서 피동문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B절과 C절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흔히 피동문으로 여겨지는 문장 유형들이 진정한 피동문인지 검증하였다. 검증의 결과에 근거하여 본고는 접미 피동문, ‘하다’계 타동사 어근에 ‘되다, 받다, 당하다’ 등 동사가 결합해 만들어진 문장, 그리고 타동사 어간에 ‘-어지다’가 붙어 만들어진 문장 이 세 유형을 한국어 피동문으로 인정하며, ‘被’자문, ‘遭受’ 피동문과 무표지 피동문을 중국어 피동문으로 인정한다. 본고는 한국어 타동사 어간에 ‘-어지다’가 붙어 만들어진 문장과 중국어의 무표지 피동문도 피동문으로 인정하지만 연구 범위에서는 제외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하였다. A절과 B절에서 한국어 접미 피동문의 문형과 중국어 ‘被’자문의 문형을 소개하였다. C절에서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의 주어 NP₁, 동작주 NP₂, 목적어 NP₃ 및 서술어 VP의 특징을 밝히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을 대조 분석 하였다. A절과 B절에서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의 문형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의 문형을 살펴보았다. C절에서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의 주어 NP₁, 동작주 NP₂, 목적어 NP₃ 및 서술어를 이루는 동작명사 NP₄과 기능동사 VP의 특징을 밝히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고 결론을 내렸다. 기존의 대조 연구는 주로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을 뿐이다. 본고처럼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을 대상으로 하는 대조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조 분석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문의 체계에 대한 인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중국어 교육, 그리고 후행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The passive sentence is widely used in different languages around the world, and it is the same in Korean and Chinese. The research before usually concern the contrast between the suffix-added passive sentence and the 'Bei' sentence, while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the 'toeta, patta, tanghata' passive sentence and the 'Zaoshou' passive sentence has been ignored. This thesis focuses on the syntactic features and semantic features of pa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hoping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passives and the Chinese passives. The fir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chap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also relevant literature review. The second chapter attempt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on the basis of an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concept and strategies of realizing passive voice. Further, the object of this study will be defined. In this thesis, suffix-added passive sentence, 'toeta, patta, tanghata' passive sentence in which the verb 'toeta', 'patta' or 'tanghata' is added to the root of 'hada' transitive verbs, and 'eojita' passive sentence in which 'eojita' is attached to the stem of transitive verbs will be considered as the real passive sentences. And so do 'Bei' sentence, 'Zaoshou' passive sentence and unmarked passive sentence in Chinese. 'Eojita' passive sentence and unmarked passive sentence, however, are excluded from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third chapter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suffix-added passive sentence in Korean and the 'Bei' sentence in Chinese, which is based on the features of the subject NP₁, the agent NP₂, the object NP₃ and the predicate VP of the suffix-added passive and the 'Bei' sentence. Similar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fourth chapter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oeta, patta, tanghata' passive sentence of Korean and the 'Zaoshou' passive sentence of Chinese. A conclusion and new insights offered by this study will be given in the final chap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2 C. 선행연구 검토 3 1. 한국어 피동문 연구 3 2. 중국어 피동문 연구 9 3.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연구 15 II. 이론적 배경 16 A. 피동의 개념과 유형론 16 1. 피동태의 개념과 피동문 16 2. 피동태의 실현 양상 20 B. 한국어 피동문의 유형 23 1. 접미 피동문 23 2. 되다, 받다, 당하다 구문 24 3. -어지다 구문 26 C. 중국어 피동문의 유형 27 1. 被자문 27 2. 遭受 구문 28 3. 무표지 피동문 29 III.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의 대조 연구 33 A. 한국어 접미 피동문의 문형 33 1. NP₁이/가+NP₂에게/에+VP 문형 33 2. NP₁이/가+VP 문형 35 3. NP₁이/가+NP₂에게/에+NP₃을/를+VP 문형 37 B. 중국어 被자문의 문형 39 1. NP₁+被+NP₂+VP 문형 39 2. NP₁+被+VP 문형 42 3. NP₁+被+NP₂+VP+NP₃ 문형 42 C.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의 특징 대조 43 1. NP₁의 특징 43 1.1. 한국어 접미 피동문 NP₁의 특징 43 1.2. 중국어 被자문 NP₁의 특징 45 1.3.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 NP₁의 특징 대조 49 2. NP₂의 특징 51 2.1. 한국어 접미 피동문 NP₂의 특징 51 2.2. 중국어 被자문 NP₂의 특징 54 2.3.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 NP₂의 특징 대조 57 3. NP₃의 특징 60 3.1. 한국어 접미 피동문 NP₃의 특징 60 3.2. 중국어 被자문 NP₃의 특징 61 3.3.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 NP₃의 특징 대조 65 4. VP의 특징 67 4.1. 한국어 접미 피동문 VP의 특징 67 4.2. 중국어 被자문 VP의 특징 70 4.3.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 VP의 특징 대조 76 IV.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 대조 연구 81 A.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의 문형 81 1. NP₁이/가+NP₂에게/에+[NP₄+VP] 문형 81 2. NP₁이/가+[NP₄+VP] 문형 82 3. NP₁이/가+NP₂에게/에+NP₃을/를+[NP₄+VP] 문형 83 B. 중국어 遭受 피동문의 문형 83 1. NP₁+[VP+NP₂的+NP₄] 문형 83 2. NP₁+[VP+NP₄] 문형 84 C.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의 특징 대조 85 1. NP₁, NP₂ 및 NP₃의 특징 85 1.1.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 NP₁, NP₂ 및 NP₃의 특징 85 1.2. 중국어 遭受 피동문 NP₁, NP₂의 특징 88 1.3.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 NP₁, NP₂ 및 NP₃의 특징 대조 90 2. NP₄ 및 VP의 특징 94 2.1.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 NP₄와 VP의 특징 94 2.1.1.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 NP₄의 특징 94 2.1.2.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 VP의 특징 95 2.2. 중국어 遭受 피동문 NP₄와 VP의 특징 102 2.2.1. 중국어 遭受 피동문 NP₄의 특징 102 2.2.2. 중국어 遭受 피동문 VP의 특징 105 2.3.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 NP₄와 VP의 특징 대조 111 V. 결론 116 참고문헌 119 부록 123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18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와 중국어의 피동문 대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ntrastive Study on Passive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dc.format.pageix,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