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훈-
dc.contributor.authorFan Kexin-
dc.creatorFan Kexin-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문장유형에 따른 한・중 부정법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통사적인 부정법과 특수어휘 부정법의 쓰임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의 부정법이 어떠한 대응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오랜 시간동안 서로 영향을 미쳐왔던 만큼 많은 면에서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두 언어의 유형학적 특성에 대해 보다 세밀하게 비교해 봤을 때, 그 차이는 분명해진다. 그 중 비교하기 어려운 항목 중의 하나가 부정법에 의한 부정문의 구조 및 쓰임의 차이이다. 본 연구는 부정법과 깊이 관련된 몇 가지 기본 개념을 시작으로 하여 한・중 평서문・의문문의 부정법과 한・중 명령문・청유문의 부정법을 대조 검토하였다. 부정문과 부정법 개념 자체에 포함된 ‘부정’은 ‘모순’이라는 논리학적인 개념이다. ‘부정’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항상 ‘긍정’과의 관계에서 검토해야 한다. 부정문이 통사적인 층위에서의 개념으로서 ‘부정’과 완전한 일대일의 관계가 아니다. 한・중 부정문 성립의 조건을 설정할 때, 부정 극성 성분과의 공기 여부가 가자 바람직하고 객관적인 검증 방법이라고 본다. 한・중 평서문・의문문의 부정법의 대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보면 한국어는 부정법을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언어인데 평서문・의문문에 쓰인 부정법은 부정소에 의한 통사적인 부정법과 특수어휘에 의한 특수어휘 부정법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대응되는 중국어 평서문・의문문에 쓰인 부정법은 단지 통사적인 부정법만 존재한다. 둘째, 한・중 평서문・의문문에 쓰인 통사적인 부정법은 모두 二分 대립 체계를 취한다. 한국어 ‘안’ 부정법과 ‘못’ 부정법의 기능분담은 양태에 달려 있는데 중국어 ‘不’ 부정법과 ‘沒(有)’ 부정법의 기능분담은 상(相)에 달려 있다. 다른 기준에 의한 기능분담 때문에 ‘안’ 부정법과 ‘못’ 부정법, ‘不’ 부정법과 ‘沒(有)’ 부정법이 다른 부정법 양상을 가지면서 다른 선택제약을 지닌다. 셋째, 한국어의 ‘안’ 부정법은 ‘단순부정’인데 ‘못’ 부정법은 ‘능력불급부정’이다. ‘안’ 부정법과 ‘못’ 부정법에 담은 ‘의도성’문제는 부정소 자체의 의미 자질이 아니라 문맥적인 의미이다. ‘안’ 부정법은 순수한 부정의 의미 기능을 가진다고 해서 거의 모든 용언과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는데 단순부정이 불가능한 ‘인지동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이와 달리 ‘못’ 부정법은 선택제약이 심한데 대부분 [-의도성]용언, ‘의도’를 나타내는 ‘-려고, -고자, -고 싶-’ 구성, [-긍정]용언과 어울릴 수 없다. 넷째, 중국어의 ‘不’ 부정법은 상태나 사건에 대한 단순한 부정인데, ‘沒(有)’ 부정법은 상태의 존재와 사건의 완료에 대한 부정이다. ‘不’ 부정법은 상과 무관하기에 상태동사나 성취성 동사와 같은 어휘 자체에 진행상과 완료상이 내포되어 있는 동사와 어울리지 않고 통사적으로 상을 나타내는 시태조사 ‘了’, ‘过’, ‘着’과도 결합할 수 없다. ‘沒(有)’ 부정법은 상과 관련된 부정법이라서 대부분의 상태성 용언과 결합하기가 어렵다. 다섯째, ‘안’ 부정법이 쓰일 때, 상태나 사건에 대한 단순한 부정이라면 ‘不’를 쓰고, 상태의 존재나 사건의 완료에 대한 부정이라면 ‘沒(有)’를 쓴다. ‘못’ 부정법이 쓰일 때, 능력에 대한 부정이라면 ‘不能’을 쓰고, 완료에 대한 부정이라면 ‘沒(有)能’을 쓴다. 여섯째, 중국어는 통사적인 부정법만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어 특수어휘 부정법에 해당하는 중국어 부정법은 역시 통사적인 부정법이다. ‘아니다’ 부정법에 의한 문장은 중국어에서 ‘不’ 부정법을 쓰고, ‘없다’ 부정법에 의한 문장은 중국어에서 ‘沒(有)’ 부정법을 쓰고, ‘모르다’ 부정법에 의한 문장은 중국어에서 ‘不’ 부정법을 쓴다. 한・중 명령문・청유문의 부정법의 대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명령문이나 청유문은 형식적인 기준에 의하여 규정한다. 따라서 부정 명령문과 부정 청유문은 단지 본디 명령문이나 청유문에 단일한 ‘말다’ 부정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런데, 중국어의 부정 명령문과 부정 청유문은 한국어와 달리 특정한 문장종결법이 없고 주로 ‘명령’이나 ‘청유’의 의미적인 기준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명령’이나 ‘청유’의 뜻을 가진 문장을 모두 부정 명령문이나 부정 청유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중국어 부정 명령문이나 부정 청유문은 비교적으로 다양한 부정법으로 실현되는데 주로 ‘別’ 부정법과 ‘不’ 부정법이 있다. 둘째, 한・중 명령문・청유문에는 모두 통사적인 부정법이 쓰인다. 한국어 명령문・청유문에 쓰인 ‘말다’ 부정법은 서술어 뒤에 부정소 ‘-지 말-’을 더해서 구성한다. 중국어 명령문・청유문에 쓰인 ‘別’ 부정법은 서술어 앞에 부정소 ‘別’을 더해서 구성하는데 반하여 ‘不’ 부정법은 주로 부정소 ‘不’와 조동사 ‘要’나 ‘能’의 결합형으로 서술어 앞에 나타난다. 셋째, 한국어 명령문・청유문에 쓰인 ‘말다’ 부정법은 부정 명령문이나 부정 청유문의 형식적인 표지로 본다. 중국어 부정 명령문이나 부정 청유문은 ‘別’ 부정법과 ‘不’ 부정법에 의하여 모두 형성되는데 ‘不’ 부정법과 달리 ‘別’ 부정법은 부정의 명령문이나 청유문에만 쓰이기 때문에, 부정 명령문이나 부정 청유문임을 나타내는 형식적인 표지가 된다. 주제어 : 부정법, 부정문, 부정소, 양태, 상;This study aims at the korean and chinese infinitive moo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ntences and aims on examining the syntactic infinitive mood and the usage of infinitive mood on special vocabularies in korean and clarifying the counterpart with chinese infinitive mood. Chinese and korean has been affecting to each other for quite long period, thus they are sharing the similar properties in numerous side.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getting obvious by comparing each other precisely in the aspect of typological properties. Within that typological properties, one of the most hardest clause to compare is the differences of the negative sentence in structure and usage by the infinitive mood. This study is starting from the several basic conceptions related deeply with the infinitive mood, then cross-checking the infinitive moods of the declarative sentence and the interrogative sentence as well as the infinitive moods of the imperative sentence and the exhortative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The concept of ‘negative’ included in the concepts of the infinitive sentence and the negative sentence is the logical concept as ‘contradiction.’ It is should be examined always from the view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positive’ concept to understand the ‘negative’ fully. The negative sentence is the concept on the syntactic layer, consequently it is not having the one to one relationship with the ‘negative.’ For setting the conditions for validation of the negative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it is the most objective way to verify through examining the negative polarity component and the co-occurrence. The summarized results of comparison research on the infinitive moon of the declarative sentence and the interrogative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is shown as below. First of all, in general, the korean is the language managing the infinitive mood actively. It’s infinitive mood is categorized to syntactical infinitive mood by the infinitive element and the special vocabulary infinitive mood by the special infinitive vocabulary for the declarative sentence and the interrogate sentence. In contrary, the infinitive mood in chinese for the declarative sentence and the interrogate sentence is only the syntactic infinitive mood. Second, the syntactic infinitive moods for both in korean and chinese are taking the dichotomy system. The functional division of ‘An’ infinitive mood and ‘Mot’ infinitive mood in korean is depending on the aspects, but the chinese functional divisions of ‘Bu’ infinitive mood and ‘Mal’ infinitive mood are depending on the phasis. ‘Bu’ infinitive mood and ‘Mal’ infinitive mood are having different infinitive mood appearance from ‘An’ infinitive mood and ‘Mot’ infinitive mood in korean and also having different selecting limitation because of another functional division from each of different criteria. Third, the korean ‘An’ infinitive mood is ‘simple negative’ but ‘Mot’ infinitive mood is the negative of denying ability. The ‘intention’ problem included in ‘An’ infinitive mood and ‘Mot’ infinitive mood is not the qualification for meaning of the negative element, it is about the contextual meaning. The ‘An’ infinitive mood could be possibly coherent with most of the predicate as it has the pure negative meaning but it could not coherent with the cognitive verb which could not be negated by the simple negatives. On the other hand, ‘Mot’ infinitive mood is quitely limited for matching with most of [-intentive] predicate constitution such as ‘- in order that’, ‘-wanting to’, ‘-would like to’ and [-positive] predicate. Forth, chinese ‘Bu ; 不’ infinitive mood is the simple negation for the status or the event, but the ‘Mal ; 沒(有)’ infinitive mood is the nega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status and the completeness of the event. ‘Bu ; 不 ; not’ infinitive mood is not related with the phasis, thus it is not matching with the phasis verb or the achievement verb contenting the progress and the perfective. It also could not coherent with the tense postposition contenting the syntactic phasis ‘了 ; for finishing’, ‘过 ; for changing’, ‘着 ; for appearing’. ‘Mal ; 沒(有) ; fall’ infinitive mood is related with the phasis, thus it is hard to coherent with status predicate. Fifth, when the ‘An’ infinitive mood is being used, if that is meaning for the simple negation of the status or the event, ‘Bu ; 不 ; not’ could be used. And if that is meaning for the negation of the perfective event or the existence of the status, ‘Mal ; 沒(有) ; fall’ could be used. When the ‘Mot’ infinitive is being used, if that is the negation of the ability, ‘不能 ; impossible’ could be used. And if that is the negation for the perfective, ‘沒(有)能 ; not be available’ could be used. Sixth, the chinese infinitive mood for the korean special vocabulary infinitive mood is also the syntactic infinitive mood because there is only the syntactic infinitive mood in chinese. A sentence in ‘Not’ infinitive mood could adapt to ‘不 ; not’ infinitive mood in chinese and a sentence in ‘No’ infinitive mood could adapt to ‘沒(有) ; fall’ infinite mood. And a sentence in ‘Do not know’ infinite mood could adapt ‘不 ; not’ infinitive mood in chinese. The result of the contrastive research on the infinitive mood of the imperative sentence and the exhortative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could be summarized as shown below. First, the imperative sentence and the exhortative sentence in korean is defined according to the formal criteria. Thus, the negated imperative sentence and the negated exhortative sentence are just simply formed by the ‘stop’ infinitive mood with the original sentence. However, chinese the negated imperative sentence and the negated exhortative sentence do not have any particular sentence terminative mood in contrary to korean, and it is mainly defining it by the meaning criteria as ‘order’ or ‘cohortative means’. Consequently, the sentence containing the means of ‘order’ or ‘cohortative’, both are the negated imperative sentence and the negated exhortative sentence in chinese. So, the negated imperative sentence and the negated exhortative sentence in chinese are expressed in various infinitive moods relatively, mainly as ‘別 ; differ’ infinitive mood and ‘不 ; not’ infinitive mood. Second, for the imperative sentence and the exhortative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the syntactic infinitive mood is used for both of them. The ‘stop’ infinitive mood used for the imperative sentence and the exhortative sentence in korean is constituting by adding the negative element as ‘-stop’ after the predicate. In contrast, ‘不 ; not’ infinitive mood is usually appeared in front of the predicate as the combination of the negative element ‘不’ with the auxiliary verb ‘要’ or ‘能’ Third, ‘stop’ infinitive mood used in the imperative sentence and the exhortative sentence in korean is the formal symbol for the negated imperative sentence and the negated exhortative sentence. The negated imperative sentence or the negated exhortative sentence in chinese could be formed by ‘別’ infinitive mood and ‘不’ infinitive mood, but ‘別’ infinitive mood is differ from ‘不’ infinitive mood as it is just used for the negative imperative sentence or the negative exhortative sentence. Because of that as mentioned above, it is the formal symbol showing the negative imperative sentence or the negative exhortative sentence. Topic word : negation, the negative sentence, the negative element, mood, asp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방법 및 구성 4 C. 선행 연구 6 1. 한국어 부정법의 연구 현황 6 2. 중국어 부정법의 연구 현황 10 3. 한중 부정법의 대조 연구 현황 14 Ⅱ. 부정법 논의를 위한 기본 개념 16 A. 긍정과 부정 16 B. 부정문 성립의 조건 18 1. 한국어 부정문 성립의 조건 18 2. 중국어 부정문 성립의 조건 23 C. 부정법 체계 25 1. 한국어의 부정법 체계 25 2. 중국어의 부정법 체계 26 Ⅲ. 한중 평서문의문문 부정법의 대조 28 A. 평서문의문문의 한국어 부정법 28 1. 통사적인 안 부정법과 못 부정법 29 1.1 의미적 특질에 따른 용언의 분류 29 1.2 기능분담 양상 31 1.2.1 안못 부정법과 [+의도성] 용언 31 1.2.2 안못 부정법과 [-의도성] 용언 34 1.3 선택제약 38 2. 특수어휘 부정법 39 2.1 아니다 부정법 39 2.2 없다 부정법 40 2.3 모르다 부정법 41 B. 평서문의문문의 중국어 부정법 41 1. 不沒(有) 부정법의 기능분담 42 1.1 상(相)적 특성에 따른 용언의 분류 43 1.2 기능분담 양상 45 1.2.1 不沒(有) 부정법과 상태성 용언 45 1.2.2 不沒(有) 부정법과 사건성 용언 53 2. 不沒(有) 부정법의 선택제약 58 C. 대조 분석 60 Ⅳ. 한중 명령문청유문 부정법의 대조 62 A. 명령문청유문의 한국어 부정법 62 B. 명령문청유문의 중국어 부정법 65 1. 別 부정법 65 2. 다른 명령문청유문의 중국어 부정법 67 C. 대조 분석 69 Ⅴ. 결론 71 참고문헌 74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71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중 부정법 대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Negation in Korean and Chinese-
dc.format.pagev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