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훈-
dc.contributor.authorKrawmoh Wanida-
dc.creatorKrawmoh Wanida-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4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Korean, an agglutinative language, and Thai, an isolating language to fi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rastive linguistics. Of pronouns, I selected and studied personal pronouns. Korean and Thai belong to different languages. In analyzing the two languages, it might be helpful to consider the phenomenon that happens in other languages in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used “linguistic typology” since typology is useful to compare personal pronouns. Personal pronouns have anaphoric functions in context, and deitic functions in discourse, substituting nouns or noun phrases. Pronouns are classified into narrator and listener. That is, there are the first-person and second-person pronouns. The third-person pronouns can be defined as proform as they do not correspond to the first or second-person pronoun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s of Korean and Thai personal pronouns, examines their syntax from a social point of view, and analyzes grammatical functions and usages of the personal nouns. By approaching through their societies, I compared and analyzed Korean and Thai grammatical system, especially honorifics. The chapterⅠpresents the purpose, necessity, methods, and scope of the stud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Korean and Thai personal pronoun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studies and presents the fields that have not been found by them or that need fin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languages were found not to frequently use personal pronouns that are in relation with pragmatics or typology. The chapter Ⅱ reviews the concept of pronoun and the pronoun systems of Korean and Thai languages to establish theoretical frameworks. In this study, the pronoun systems of the two languages were almost in consonance with each other. The Korean pronouns were classified into ①personal pronouns ②demonstrative pronouns ③reflexive pronouns ④indefinite pronouns and interrogative pronouns ⑤distributive pronouns; The Thai pronouns into ①personal pronouns ②demonstrative pronouns ③reflexive pronouns ④indefinite pronouns and interrogative pronouns ⑤distributive pronouns ⑥relative pronouns. Each system was compared to each other and analyzed. The chapter Ⅲ reviews the morphology and syntax of Korean and Thai personal pronouns. It first thoroughly reviews personal pronouns related to linguistic typology. Then the main chapter reviews personal pronouns and proform separately. It also reviews ‘person’, ‘number’, ‘gender’, ‘case’, and ‘animacy’ that have a correlation with personal pronouns, and therefore help with future discussions. In this study, the analyzed subjects, the morphology and syntax of Korean personal pronouns, are categorized into five; ①persons of personal pronouns, ②the number of personal pronouns, ③ genders of personal pronouns, ④omission of personal pronouns, and ⑤personal pronouns and case markers; Thai into six; ①persons of personal pronouns, ②the number of personal pronouns, ③genders of personal pronouns, ④omission of personal pronouns, ⑤multi-functions of personal pronouns, and ⑥structure of personal pronouns. The chapter Ⅳ thoroughly reviews Korean and Thai personal pronouns from a sociolinguistics point of view. The aim i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honorifics of each country since personal pronouns and honorific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The subjec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①the definition of honorifics, ②the definition of social status, social stratification, social class and ③personal pronouns and honorifics; The subjects for Thai into two; ①the definition of Royal language, ②address terms and honorifics for king, monk, and general people. The main chapter reviews each country’s systems of honorifics. Korea’s Confucian culture, which values humble attitudes and community, influenced its language and honorific system. Therefore, the language should be properly spoken to one’s elder or younger according to the honorific system. Thai, on the other hand, was influenced by Buddhism. Social status is reflected in the language, which, therefore, clearly distinguishes personal pronouns for king’s, royal family’s, monks’, and the general people’s. The chapter Ⅴ summarizes and concludes the results of the study.;본 연구에서는 대조 언어학 측면에서 첨가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태국어의 대명사를 대조 분석하여 공통적인 점과 차이적인 점을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특히 그 중에서도 인칭 대명사를 택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어와 태국어는 각각 다른 언어 계통에 속하기 때문에 두 언어를 분석하기 위하여 세계 언어의 현상을 같이 고려하는 게 분석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칭 대명사’를 대조할 때, ‘유형론(typology)’이 적절하다고 보아 주로 ‘언어 유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칭 대명사(pronoun)는 문맥에서 조응(anaphoric)의 기능을 갖고 담화 상황에서 상황지시(deitic)의 기능을 갖고 있어 명사 또는 명사구를 대용한다. 인칭 대명사의 인칭 구분은 화자와 청자로 구성된다. 곧 일인칭과 이인칭 대명사로 구성된다는 의미이다. 한편 삼인칭 대명사는 일인칭 혹은 이인칭 대명사와 대응하는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대형식(proform)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태국어 ‘인칭 대명사’에 관한 형태 ∙ 통사적 측면과 사회의미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인칭 대명사와 문법 기능 및 용법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구분이 반영된 각 나라의 문법 체계, 즉 경어법에 대하여 대조 분석을 하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를 제시하였다. 한국어와 태국어 인칭 대명사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각 언어의 기존 연구를 대조 분석하고,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은 분야 또는 필요한 분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두 언어가 마찬가지로 화용론과 유형론에 관한 인칭 대명사는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다. Ⅱ장에서는 대명사의 개념과 한국어와 태국어의 대명사 체계를 살펴보고,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대명사의 체계는 각 언어에서 거의 일치하였다. 즉, 한국어 대명사 체계는 ① 인칭 대명사 ② 지시 대명사 ③ 재귀 대명사 ④ 부정칭 대명사와 미지칭 대명사 ⑤ 배분 대명사로 분류하는 한편 태국어 대명사 체계는 ① 인칭 대명사 ② 지시 대명사 ③ 재귀 대명사 ④ 부정칭 대명사와 미지칭 대명사 ⑤ 배분 대명사 ⑥ 관계 대명사로 분류하고 각 체계를 대조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한국어와 태국어 인칭 대명사에서의 형태와 통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언어 유형론에 관한 인칭 대명사를 구체적으로 보고, 본고에서 ‘인칭 대명사(personal pronoun)’와 ‘대형식(proform)’으로 나누어 살펴본 다음, 인칭 대명사와 상관성을 보이는 ‘인칭’, ‘수’, ‘젠더’, ‘격’, ‘유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장에서 한국어 인칭 대명사의 형태 및 통사적인 측면을 분석하는 대상은 총 5가지로 구분되었다. ① 인칭 대명사의 인칭 ② 인칭 대명사의 수 ③ 인칭 대명사의 젠더 ④ 인칭 대명사의 생략 ⑤ 인칭 대명사와 격조사이다. 한편 태국어 인칭 대명사의 형태 및 통사적인 측면을 분석하는 대상은 총 6가지로, ① 인칭 대명사의 인칭 ② 인칭 대명사의 수 ③ 인칭 대명사의 젠더 ④ 인칭 대명사의 생략 ⑤ 인칭 대명사의 다기능 ⑥ 인칭 대명사의 구조로 분류되었다. 본고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주제로 한국어와 태국어의 유형론 관점에서 인칭 대명사가 ‘두 인칭 언어(two-person language)인지 혹은 세 인칭 언어(three-person language)인지를 본장에서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한국어와 태국어 인칭 대명사와 사회의미적인 측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honorifics)이 상관성을 보이기 때문에 각 나라의 경어 등급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각 언어의 인칭 대명사와 사회의 긴밀성을 살펴본 다음에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 유형론(typology)’적 관점에서 경어법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은 한국어 인칭 대명사의 사회적 측면이며, 본장에서 ① 경어법의 정의 ②사회 지위(social status), 사회 계층(social stratification) 및 사회 계급(social class)의 정의 ③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의 총 세 가지 기준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태국어 인칭 대명사의 사회적 측면은 ① 국왕 언어(Royal   language)의 정의 ②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왕, 스님, 일반인의 총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Ⅴ장에서는 결론으로서 본고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3 C. 선행 연구 검토 6 1. 한국어 대명사에 대한 선행 연구 6 2. 태국어 대명사에 대한 선행 연구 10 3. 한국어와 태국어의 선행 연구 대조 분석 14 II. 이론적 배경 18 A. 대명사의 정의 18 B. 대명사의 종류 24 1. 한국어 대명사 종류 24 가. 인칭 대명사 29 나. 지시 대명사 34 다. 재귀 대명사 37 라. 부정칭과 미지칭 대명사 39 마. 배분 대명사 42 2. 태국어 대명사 종류 43 가. 인칭 대명사 48 나. 지시 대명사 53 다. 재귀 대명사 56 라. 부정칭과 미지칭 대명사 57 마. 배분 대명사 60 바. 관계 대명사 62 3. 한국어 대명사와 태국어 대명사의 체계 대조 분석 64 III. 인칭 대명사의 형태·통사적 대조 분석 68 A. 인칭 대명사의 유형론 68 1. 인칭 대명사(personal pronoun)와 대형식(proform) 68 2. 인칭, 수, 젠더, 격, 그리고 유정성 70 B. 인칭 대명사의 형태·통사적 실현 양상 81 1. 한국어 인칭 대명사의 형태·통사적 실현 양상 82 가. 인칭 대명사의 인칭 82 나. 인칭 대명사의 수 85 다. 인칭 대명사의 젠더 88 라. 인칭 대명사의 생략 89 마. 인칭 대명사와 격조사 95 2. 태국어 인칭 대명사의 형태·통사적 실현 양상 100 가. 인칭 대명사의 인칭 100 나. 인칭 대명사의 수 103 다. 인칭 대명사의 젠더 107 라. 인칭 대명사의 생략 112 마. 인칭 대명사의 다기능 117 바. 인칭 대명사의 구조 121 3. 한국어와 태국어 인칭 대명사의 형태·통사적 대조 분석 123 가. 두 인칭 언어 및 세 인칭 언어 검증 123 나. 인칭 대명사의 형태·통사적 특성 126 IV. 인칭 대명사의 사회언어학적 대조 분석 131 A. 인칭 대명사와 사회의 긴밀성 131 1. 한국어 인칭 대명사와 사회의 긴밀성 131 2. 태국어 인칭 대명사와 사회의 긴밀성 132 3. 한국어와 태국어 인칭 대명사의 사회적 대조 분석 134 B.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34 1. 경어법과 유형론 134 2. 한국어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37 가. 경어법의 정의 137 나. 사회 지위, 사회 계층 및 사회 계급의 정의 137 다.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38 (1) 일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38 (2) 이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41 (3) 지시사와 경어법 145 3. 태국어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47 가. 국왕 언어(Royal language)의 정의 147 나.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왕, 스님, 일반인 148 (1) 일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49 (2) 이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55 (3) 삼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162 4. 한국어와 태국어 인칭 대명사와 경어법 체계의 대조 분석 166 V. 결론 172 참고 문헌 176 <부록> 태국어 음성 기호 183 ABSTRACT 1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71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대 한국어와 태국어의 인칭 대명사 대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언어 유형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ntrastive Study of Pronominal Systems in Contemporary Korean and Thai Language: Focusing on language typology-
dc.format.pagexiii, 1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