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5 Download: 0

대학도서관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형 개발

Title
대학도서관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형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of a Liaison Training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Authors
박수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동열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of a liaison training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The training program was intended to assist librarians to establish close connections with patrons and to understand their information need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 survey research, a model development, expert interviews and a case study. Detailed research procedure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aison was conceptualiz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qualifications of liaison librarians were also identified from the literature. This information served as the basic framework that helped the researcher to design a questionnaire. Due to the lack of liaison practice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to academic librarians in other countries that have liaison practices. This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about liaison training practices in foreign countries, which laid the groundwork for designing a training program in the context of Korea. Secon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gather foreign cases of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ed actual liaison practices in other countries and desirable qualifications of liaison librarians, including their subject backgrounds, training styles,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s, and other valuable insights to design a training program for library staff to prepare for the service. The majority of the librarian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reported that they required librarians to have subject expertise, working knowledge of their assigned academic departments and patrons, working knowledge of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literacy skills, information services, and public rel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western institutions tended to hire staffs who were already equipped with such skills as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skills, leadership and research methods. These findings showed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western and Korean academic libraries in their staff hiring practices. A questionnaire identical to the western version was also administered to liaison librarians in Korea. The comparisons of both survey results revealed unique cultur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cademic libraries, which helped the researcher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pplicable to the academic libraries in Korea. Thir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liais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model was developed and then tested for its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to academic libraries in Korea. The program model consists of ten modules, with three basic tasks in each module. It was designed to give a presentation for trainees in a ten-week liaison workshop. Fourth, a pilot training program delivered by six liaison program experts, followed by a case study that evaluated the training model. Overall, the assessments of the experts were positive. The experts recommended that the program be run with flexibility to accommodate a unique context and specific needs of each participating library. They also recommended that the program add more educational materials for both basic and advanced level assignment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of the pilot program offered various suggestions for the training process concerning course sequence, time allocations, additions of follow-up meetings, and an inclusion of learning assessments. Fifth, the training program model was finalized after incorporating all the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s. The final model consists of four stages: a Preparation, Method learning, Training modules and Evaluation. Preparation stage includes a liaison service team composition, team leader selection, and assignments of academic departments. In this stage, team members share a vision of the liaison program. In Method learning stage, participants commit themselves to learn about the liaison service by completing individual assignments and by offering feedbacks to their team members during the workshop. Participants develop the interactive mentor relationship in this stage by applying a team teaching approach. Training modules stage, the third stage, consists of three steps. STEP 1 relates to subject knowledge. STEP 2 equips the team members with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of a liaison work. STEP 3 involves a planning of information delivery and service implementation. Each of the ten modules contains three core activities, and each core activity has four basic elements: basic level assignment, worksheets, reference materials, and advanced level assignment. Evaluation stage, the last stage,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individual assessment, mid-term evalu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Individual assessment relates to individual feedback offered to each participant during each workshop session. Mid-term evaluation takes place between Modules VI and VII to assess the first half of the program in order to determine the specific details of a remaining program. Educ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is the final assessment that takes place at the completion of the entire program. Participants evaluate both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s and discuss future directions of the training program in this process.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three variant models derived from the final training model: Basic model, Expanded model, and Professional model. Training institutions could choose one that suits their needs. A Basic model is the program that was presented to the expert interview during this dissertation research. It is a 13-week program with 10 modules and three evaluations. An Expanded model is a five-month program that added several extended modules to the basic model, including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s, and user education. This model can be adopted by professional training centers as well as by individual local libraries that wish their trainees to take core less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several aspects. First, this research has identified core competencies for academic liaison librarians. Furthermore, in order to equip the library staff with the competencies, this study developed training module guidelines where basic assignments, advanced level assignments, reading materials, and worksheets are prepared for the library staff to study the training modules. The model guidelines were designed for librarians to make a small group where they learn the model guidelines together and assess their learning based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PS) learning model. Hence, librarians who study with this model could plan and deliver an effective liaison service on their own initiative. Historically, user service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have been practiced in their own uniqu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libraries have little experience of providing liaison services until recent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developed the first systematic liaison librarian training program model in Korea. Thus, the model can be adopted by academic libraries and other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are interested in implementing a liaison service and in training liaison service personnel more systematically. ;리에종서비스는 도서관과 이용자 그룹 사이에 전담 사서가 배치되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두 집단 상호 간의 요구 사항 및 관련 정보를 전달하여 이용자 그룹의 만족도와 도서관의 활용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최근에 도서관과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리에종서비스 도입과 리에종사서 양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도서관에서 리에종사서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설문조사․모형안 개발․전문가 인터뷰․사례 분석 과정을 수행하였다. 모형 개발의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훈련 현황과 교육내용 사례를 수집하였고, 개발된 모형안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리에종서비스 전문가 인터뷰와 모형안 사례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모형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단계별 연구방법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리에종 담당사서의 개념과 변천과정, 업무를 밝히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서의 자질을 문헌 및 업무기술서를 분석하여 파악하였다. 리에종사서에게 필요한 핵심 능력은 주제 분야 이해․장서개발 및 정보원 이해․정보서비스․도서관 이용교육 능력․커뮤니케이션 기술․정보기술 및 도구 제작․리더십․홍보 기술․연구방법론의 이해․이용자 및 학과 연구․서비스 자세 등이었다. 둘째, 온라인 설문지를 작성하여 해외의 리에종서비스 업무관련 LISTSERV인 LIBREF-L, ILI-L, COLLDV-L, COLLIB-L를 통해 배포하였고 총 103부를 회수하여 해외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현황과 사례를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리에종사서 교육훈련에 관한 배경 정보와 실제 교육내용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교육훈련에 관한 배경 정보는 리에종 업무․리에종사서의 자격․주제 분야 배경 지식․리에종 담당부서․리에종사서 교육방법 등이었고, 교육훈련의 내용에 관한 부분은 주제 분야 이해․이용자 및 학과 이해․장서개발․이용자교육․정보서비스․학과 홍보․정보기술 및 도구․커뮤니케이션 기법․리더십․연구방법 이해 등의 범주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 내용에 관한 질문이었다. 회수된 103개의 설문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외 대학도서관의 경우 리에종사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은 참고봉사나 장서개발 부서에서 담당하였으며, 공식적 교육 프로그램보다는 오리엔테이션이나 워크숍 방식으로 수행하였고, 교육자료는 가이드라인이나 웹사이트로 제공하였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주제 분야의 이해를 위해 학과 교과과정을 조사 하도록 하였고, 이용자 및 학과를 이해하기 위해서 교과과정 분석과 교수진의 연구와 강의 활동을 이해하도록 제안하였다. 장서개발에 대해서는 참고자료, 단행본, 정기간행물 파악이 모두 중요시 되었으며, 이용자교육을 위해서는 도서관 이용교육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보서비스 부분에서는 일반 및 주제 전문 학술 DB(이하 DB) 검색법을 익히는 것을 요구하였고, 학과 홍보를 위해서는 도서관 마케팅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정보기술 및 도구에 있어서는 최근의 정보기술을 숙지해야 하며 블로그 등을 관리하거나 브로슈어를 제작하는 방법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대해서는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익히고 인터뷰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리더십에 대해서는 스스로 업무를 추진하는 셀프리더십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연구방법 이해를 위해서 주제 분야 핵심저널을 파악하고 교수진의 연구행위를 이해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해외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사전 전문가 조사 내용을 참고하여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모형안은 교육 진행 방법과 교육 내용으로 나누었다. 교육 진행 방법은 협력형 문제해결 학습 모형으로써 리에종서비스팀 그룹이 함께하는 팀학습으로 이뤄지며, 자기주도적으로 진행하되 개인의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내용은 설문결과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하였고 범주를 구분하여 각각 10개의 모듈로 개발하였다. 모듈별로 학습목표, 학습 내용, 기본과제, 기타 심화과제, 참고자료 등을 수록한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넷째, 모형안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리에종서비스 실무 사서 7인과 리에종서비스에 관심을 가진 교수진 2인으로 구성한 총 9인의 전문가를 통해 검토단계를 거쳤다. 전문가들은 각 모듈의 구성에 대해 전체를 동일한 분량의 모듈로 진행하기보다 내용에 따라 비중을 다르게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기본 과제에 교육 자료를 추가하도록 제안하였으며, 심화 과제에 수록할 내용을 다수 제시하였다. 다섯째, 모형안을 특정 대학도서관에서 실제로 적용․운영하였다. 이러한 사례 분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프로그램 운영시의 문제점과 효과 등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었다. 모형안을 적용한 사례 분석은 5인의 리에종팀으로 구성하여 매주 1회 2시간씩 10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개인별 학습 내용 발표 방식으로 진행하여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례 분석 기관의 참여자들은 교육을 마친 후 업무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본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들은 교육 진행 부분에 대하여 모듈 순서의 조정․시간 배분․추가 회의 시간의 필요성․학습 평가의 필요성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형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 모형은 사전 준비사항, 교육 진행 방법, 교육 모듈, 평가의 4단계로 구성하였다. 사전 준비사항에는 리에종서비스 팀을 구성하고, 개인별 담당 학과를 선정하며, 팀 리더를 결정하고, 리에종서비스의 필요성을 팀 구성원 전체가 이해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교육 진행 방법은 참여자인 사서 개인이 각자 담당 학과와 관련하여 모듈별로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고 그 내용을 리에종 워크숍 시간에 발표함으로써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학습 능력을 배양하는 팀학습 방식을 제시하였다. 교육 모듈은 총 10개 모듈, 3단계로 구성되었다. 주제 이해․이용자 이해․장서개발은 주제의 이해를 돕는 1단계 과정이고, 학술연구의 이해․정보서비스․이용자교육은 리에종서비스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2단계 과정이며, 정보 기술․홍보 및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기술․서비스 계획 및 리더십은 정보 전달 계획 및 실행을 위한 3단계 과정이다. 각 모듈에 대해서는 핵심활동을 3가지씩 서술하였고 핵심 활동 별로 기본과제, 기본과제 워크시트, 참고자료, 심화과제 등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평가는 개인 평가, 중간 평가, 교육 효과 평가로 나누었다. 개인 평가는 워크숍 진행 후 개인별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고, 중간 평가는 해당 도서관에서 이전 과정을 점검하고 향후 제공할 리에종서비스의 세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점검 시간이다. 교육 효과 평가는 전체 교육을 마친 후 개인과 그룹 전체의 교육 효과를 평가하고 향후 진행 방안을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일곱째, 개발된 프로그램 모형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내용은 기본형, 확대 진행형, 선택 학습형, 재교육 전문기관의 활용 등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기본형 교육 진행 방법은 총 10개 모듈학습과 사전 회의․중간 평가․최종 평가의 시간을 포함하는 13주차 프로그램이다. 확대 진행형은 교육 모듈 중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인 장서개발․정보서비스․이용자교육 부분을 2-3회 추가로 진행하여 약 5개월 정도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선택 학습형은 학습자의 수준과 기관의 환경에 따라서 모듈, 과제 또는 단계별로 학습을 선택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재교육 전문기관의 활용은 사서 재교육 전문기관에서 이 프로그램의 내용과 학습 방식을 활용하여 리에종사서 양성 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말한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리에종사서에게 필요한 핵심능력을 제시하였고, 이를 습득할 수 있도록 각 업무 능력별로 모듈을 구성하여 학습활동을 위한 기본과제․심화과제․참고자료 및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 모형에 근거하여 팀학습으로 이뤄지는 사서 소그룹 학습과정을 통하여 가이드라인에 따라 학습하고 평가함으로써 사서들이 자발적으로 리에종서비스를 기획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최근에 국내에서 요구되고 있는 리에종사서의 양성을 위해 각 대학도서관 및 사서교육 전문기관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한국형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모형을 최초로 개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