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지역의 문화적 상징물을 활용한 건축물 가림벽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Title
지역의 문화적 상징물을 활용한 건축물 가림벽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Corrective Plans of Construction Protection Wall design using Local Cultural Symbols : Focused on Jamsil, Songpa-gu
Authors
변미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정
Abstract
City is the most complicated and greatest work that human has ever made. City is a broad and complicated assembly established by people of various classes and tendencies, an organic creature that keeps changing as time goes by, a symbol of human civilization itself.1) Urban space is defined as a place where human stays, feels and lives in and where human and environment interact on each other, and as a total existence capable of providing aesthetic pleasure in every aspect. Such an urban space creates a maximum interaction with human beings to develop its existence. In this society, there are many approaches to cultural combination of city uniqueness with several sculptures of urban space for expectation of a beautiful and stable environment. Elements of urban environment are required to cooperate and coexist as an existence that causes human, building and nature under control of human beings.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caused by urban growth have a close relation with construction site. Rapid urbanization due to economical growth brought convenience of living life but caused necessity of restructuring such as redevelopment of old buildings, etc. However, vicinity of construction site is disorganized with machinery and equipment and is full of dust and noise to cause inconvenience and an accident to pedestrians. Construction site are blocked with protection panels to protect pedestrians but it is not sufficient to make pedestrians feel comfortable when they pass through.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role of construction protection panel were examined and especially the role was investigated as a public design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protection panel of construction sites and internal and external case analysis. Also, the design concept and the outline of the construction protection wall located is Jamsil, the center of Gangdong-gu, were explored and how the protection wall design, which was using a local landmark, affected the urban environment was examined. Since construction protection wall divides road and construction site or connects street to function basically as protector and contacts pedestrians directly in public place, it is required to reflect city and environment, features of street space and the current culture on it. Construction site that we face frequently in our daily life has a necessity of its existence as a tool to create an abundant life and its concept needs to be changed as an element of a public design for improvement of a city image. Construction protection wall, which is viewed in urban space for 4 ~ 5 years in maximum or 1 year ~ 2 years in minimum at a less cost, is an essential tool to improve image of city and create a beautiful city environment.;도시는 인간이 만든 가장 복잡하고 거대한 작품이다. 도시는 다양한 계층과 성향의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집합체인 동시에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를 거듭하는 생명을 가진 유기체이고, 인류문명의 상징이며 인류문명 그 자체이다. 도시공간은 인간이 머무는 공간, 인간이 지각할 수 있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며, 인간과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모든 면에서 미적 쾌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총체적 존재로서의 공간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도시공간은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최대한으로 유발하며 자신의 존재를 발전시켜 간다. 현대 사회는 도시공간의 여러 조형물과 건물에 도시 고유의 문화적인 접목을 시도함으로써 보다 아름답고 안전한 환경을 기대한다. 따라서 도시환경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인간, 건축물, 자연이라는 세 요소가 상호간 변화를 일으키는 존재로서 협력, 공생해야 한다. 도시의 성장에 따른 개발과 재개발은 공사 현장과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경제 성장으로 인한 급격한 도시화는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왔으나, 오래된 건물의 재개발 등 도시 재정비 사업의 필요성도 더불어 증대시켰다. 하지만 도시 재정비 사업으로 인한 건설현장 주변은 기계와 장비로 어지럽고, 분진과 소음까지 더해 주변을 지나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끼치고 있으며, 안전사고의 불안을 초래하고 있다. 보행공간과 공사장 사이에는 공사 가림물이 세워져 시선을 차단하고 행인을 보호하고 있으나 위험요소를 가리는 것만으로는 보행자들의 심리적 위축감을 사라지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림벽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며, 건축현장의 가림벽 현황과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디자인으로서의 가림벽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강동의 중심인 잠실역 근처 건축물 가림벽디자인의 컨셉과 개요를 살펴보며, 지역 상징물을 이용한 가림벽디자인이 도시환경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건축 가림벽은 도로와 건축현장을 구분 짓거나 동선을 연결하며, 방어와 보호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공공장소에서 시민과 직접 접하는 접촉점의 특성을 갖는 만큼 그 외관에 도시와 환경, 가로공간의 특성,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해야 한다. 우리 생활 주변에서 자주 접하는 공사현장은 풍요로운 삶을 만들기 위한 과정으로서 존재의 필요성이 있으며, 함께 설치된 가림벽은 더 나은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요소라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복잡한 도시공간에서 적은 비용으로 길게는 4~5년, 짧게는 1~2년 동안 볼 수 있는 건축 가림벽은 도시이미지 개선과 도시환경을 아름답게 만들기 위한 필수 항목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현장에 사용 중인 가림벽의 디자인을 분석하여 송파구의 역사와 문화적 요소를 부각시킨 디자인을 제안한다. 특히 시민과 접촉하는 가림벽을 통해 잠실지역의 현대적 도시이미지와 문화적 상징물들을 디자인하여 시민들에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잠실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도시브랜드 가치를 포함한 도시의 전체적인 자산 가치를 높이는데 이 작품을 제안해 본다. 첫째, 공공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서울시의 공사장 가림벽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연계적 개발을 모색해 보며, 기타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가림벽디자인의 문화적 접근방법을 찾아보았다. 둘째, 도시이미지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건축물 가림벽디자인을 제안하고 실행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셋째, 송파구의 이미지를 반영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건축물 가림벽디자인을 제안한다. 이번 연구로 송파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가림벽디자인을 제시하여 도시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