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옥무석-
dc.contributor.author계훈영-
dc.creator계훈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27-
dc.description.abstractAs damages and losses from natural disasters have risen steeply in frequency and severity since the 1980s, the damages or losses have reached a scale never seen before and have gone way beyond the extent that can be reasonably covered by the conventional insurance market.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heated discussion on the introduction of alternative risk transfer (“ART”), a new risk hedging that transfers natural disaster risks from the insurance market to the financial market where a multitude of individual investors participate. A case in point is Insurance derivative instruments and catastrophe bonds. Insurance derivatives and catastrophe bonds have much in common in that both of them are based on the concept of transfer the risks to the capital market. However, the former targets not ordinary investors but a certain group of financial professionals who are permitted to handle these complicated instruments. In this sense, insurance derivatives have certain limitations in terms of the scale of capital-raising compared with catastrophe bonds. Catastrophe bonds (“cat bonds” for short), in the meantime, refer to a relatively new risk management scheme with which insurers issue bonds to transfer natural disaster risks, such as earthquakes and typhoons, to the capital market. An innovative financial instrument with the features of bonds linked to insurance risks, cat bonds deliver high returns to investors at usual times, and provide policy holders with sufficient coverage during times of massive disaste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at bonds, the best possible option is to have insurers, with rich experience and expertise in risk assessment, management and takeover, take care of fund-raising via cat bond issuance as well as all risk-related works. In fact,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a 2nd-phase financial regulation overhaul plan of September 27, 2001, effectively lifting a ban prohibiting insurers from raising capital through corporate bond issuance. In addition, it also revised the Insurance Business Act on May 29, 2003, allowing insurers to provide its customers a collective investment fund instrument without obtaining a financial regulatory body’s permission. The recently revised German Insurance Contract Act (most recently revised in 2008 sets out a number of provisions explicitly associated with high-risk insurance products. According to Article 210 of the Act, the existing restraints on contractual freedom do not apply to high-risk insurance pools. In other words, this provision leaves the Act’s compulsory provisions ineffective for high-risk insurance pools, and at the same time gets insurers totally free from some of obligatory restraints on their high-risk insurance business. The loss of the binding force of the compulsory provisions and the control of insurance contract terms and conditions specified in Article 210 of the revised German Insurance Contract Act can be a useful guide for Article 663 (Prohibition of “reformation in peius”)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As for cat bonds with characteristics of an insurance contract, it may be possible to form individual terms and conditions going against the insurance contract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Law because contract parties’ discretionary rights. However, the mandatory insurance contract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Law still keeps its Leitblidfunktion. Therefore, even for a high-risk insurance product, if its contract terms and conditions go against the Commercial Law requirements, it can be reasonably assumed that they are unfair. In that case, if the applicable insurer cannot prove the necessity of the deviated terms and conditions, they may become invalid.;천재지변으로 인한 재산손실의 빈도와 규모는 1980년대 이후 놀랄 만큼 증가하였고 피해규모의 거대화와 기존 보험시장의 인수능력한계에 부딪혔다. 보험시장이 아닌 다수의 투자자가 참여하는 자본시장으로 위험을 전가하는 새로운 기법으로서 대안적 위험전가기법(ART: Alternative Risk Transfer )이 논의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위험전가기법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이 보험파생상품과 대 재해채권발행이다. 대 재해채권(Cat Bond)이라 함은 보험회사가 인수한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 리스크를 채권을 통해 資本市場에 전가하는 새로운 형태의 위험관리기법을 가 르 킨다. 債券의 특성과 保險危險을 결부시킨 새로운 개념의 혁신적인 金融商品인 대 재해채권은 평상시에는 투자자에게는 원하는 고율의 채권수익을 창출시킴과 아울러 대 재해 발생시에는 보험계약자에게는 충분한 보험급여를 지불하여 준다. 따라서 대 재해채권(Cat Bond)는 대 재해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자본조달 수단으로서 여겨진다. 이에 본 논문은 대 재해채권(Cat Bond)의 개념 및 구조 등에 관해서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대 재해 채권(Cat Bind)의 현실적인 발행을 위하여 검토되어야 할 현행법상 문제점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또 2008년 전면 개정된 새 독일보험계약법은 거대위험보험에 관한 여러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는데, 우리 상법 제663조의 불이익변경금지원칙 예외인정과 관련하여 보험 약관 통제 시 원용될 수 있는 독일보험계약법상의 논의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검토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2장 거대위험과 전통적 사보험의 한계 5 제1절 거대위험의 의의 5 I. 대재해의 의의 5 II. 거대위험의 발생원인 6 제2절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 11 I. 국가적 재난과 재해복구비 분담 11 II. 국가의 재난관련보험의 개발·보급의무 14 제3절 전통적 보험제도의 한계 15 I. 기존보험의 대재해 부적합성 15 A. 위험의 독립성 상실 15 1. 독립된 위험의 원칙 15 2. 위험결합의 발생 17 B. 피해규모의 거대화 17 II. 보험산업의 인수능력상 한계 19 A. 재보험자의 자본금 불충분 19 B. 재해 재보험료의 부담 22 C.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23 제3장 그 대안으로서의 위험전가제도 24 제1절 대안적 위험전가제도(ART)의 의의 24 제2절 대안적 위험전가제도와 전통적 보험제도의 비교 25 제3절 보험파생상품 27 I. 의의 27 II. 전통적 사보험과의 비교 30 A. 상당인과관계의 요부 30 B. 실손보상(實損補償)의 원칙의 적용여부 30 III. 종 류 31 A. 대재해선물 옵션 31 B. 날씨(氣候) 파생상품 33 1. 날씨(氣候) 파생상품의 개념 33 2. 날씨(氣候) 파생상품의 특징 34 3. 날씨파생상품의 성장원인 35 제4장 대재해채권 37 제1절 대재해채권의 의의 37 I. 개념 37 II. 대재해채권의 기본구조 37 III. 대재해채권의 기능 39 A. 장점 39 1. 보험계약자의 측면 39 2. 투자자의 측면 40 B. 단점 41 1. 절차의 복잡 41 2. 자산구조 일시 악화 41 3. 원금손실의 발생 41 제2절 각국의 대채해채권 발행현황 42 I. 세계시장 동향 42 II. 미국의 경우 44 III. 유럽의 경우 45 IV. 일본의 경우 46 제3절 대재해채권 발행의 법적 문제점 47 I. 보험사업자의 사업영위가부 47 A. 문제의 제기 47 B. 보험사업(business of insurance)의 정의 48 C. 보험사업자의 겸업금지 조항 49 1. 종전의 규정 49 2. 개정 보험업법 51 3. 개정 보험업법에 따른 보험사업자의 겸업허용여부 54 II. 보험사업자의 회사채발행가부 및 자본시장법상 규제 56 A. 보험사업자의 회사채발행가부 56 B. 자본시장통합법상 채권발행에 대한 규제 57 1. 투자권유의 규제측면 57 가. 설명의무의 도입 57 나. 적합성 원칙의 도입 58 다. 요청하지 않은 투자권유규제의 도입 59 2. 투자광고의 규제측면 60 3. 이해상충 방지측면 61 제5장 거대위험보험의 보험계약법적 특성 64 제1절 독일보험계약법상 계약자유제한의 배제 64 I. 독일보험계약법 제210조 64 II. 강행규정성의 상실 65 III. 개별규정의 전면적 배제 67 제2절 거대위험보험과 기업보험 69 I. 가계보험과 기업보험 69 II. 거대위험보험의 기업보험성 70 제3절 거대위험보험과 불이익변경금지원칙 71 I.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의의 71 II.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요건 72 III. 불이익변경금지의 예외 74 IV. 거대위험보험의 경우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적용여부 78 제4절 보험계약법과 약관규제법의 관계 79 제6장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75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거대위험보험에 관한 법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Legal Study on Catastrophe Bond and Insurance-
dc.creator.othernameKyea, Hoon-Young-
dc.format.pagev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