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김미영-
dc.creator김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73-
dc.description.abstract"끈"이라는 도구는 우리 생활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 일상에서 하루라도 사용하지 않는 날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부재할 경우 그 불편함을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유용한 삶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끈의 범주 안에는 여러 가지의 의미와 역할이 있다. 얇고 길다는 끈의 특성을 이용하여 인간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사물과 사물을 연결시킬 때, 시작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흩어지는 개체를 일정하게 정리하고 분리해주기 위해 그리고 보기에 거추장스러운 이미지를 가려주거나 포장하기 위한 방편 등으로 사용해왔다. 이러한 물리적인 끈의 사용 이외에도 끈이라는 단어는 인간관계에 대한 관용적 표현으로 빈번히 쓰인다. 본인은 예술가로 살아가며 이러한 끈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고 그것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끈의 속성이 시각적, 의미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의 뿌리로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행복에 대해 관심이 있다. 자신의 행복을 위해 살 때에 삶에 대한 의미를 깨달을 수 있으며 여생을 살아가야 하는 목적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인간이라면 갖고 있는 이른바 공통적인 본성이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바르게 인식하고 있을 때에 자기 자신이 행복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까지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이라는 공통적 존재가 행복을 영위하기 위하여 암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끈의 모습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먼저는 인간이 갖고 있는 본성 중 자기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자기 보호를 위해 활용되는 끈의 양태에 대해 알아보았고, 둘째로 자기 자신의 모습 중에 어떤 면에 있어서는 타인에게 감추고자 하는 욕구와 그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연결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끈의 활용에 대하여 거시적인 관점으로 살펴보았는데, 인간과 인간의 연결, 장자의 사상과 불교의 연기론에서 언송되는 연결의 형태, 인터넷 연결로 인해 맞이하게 된 새로운 사회의 변화를 연구해 보고자 했다. 그에 이어서 앞서 연구한 내용과 관련된 개념적 의미를 담고 있는 예술작품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인의 작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사조와 표현 방법, 이론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작품 세계를 구체화하였다. 먼저 본인 작업의 가장 근본적 조형 요소인 기하학적 형태의 근원과 기하형태를 특정한 사회적 매커니즘으로 제시한 작가에 대해 분석해 보고 본인의 작품과의 연결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본 후 본인의 작품에서 미니멀 아트의 영향을 받은 점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의미에 따라 다른 재료를 선택한 것에 대한 과정과 그 재료의 물질성에 대한 탐구를 시도했다. 거울을 통한 자아 형성과 나르시시즘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본인에게 재료 채택의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 영화의 장면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시대가 안고 있는 정신적 환자의 증가에 대하여 언급하고 붕대를 사용한 작품으로 상처의 치유를 의도한 메세지를 설명하였다. 끝으로 위의 연구를 토대로 한 본인의 작업 의도와 의미, 재료의 변화, 제작 과정 등을 분석하였다. 본인은 끈의 특성과 인간의 본성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였고 연구를 통하여 본인과 유사한 가치관을 가진 작가들이나 대중매체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업의 소재인 끈이라는 도구와 인간의 연결고리를 발견하고 그것으로 예술이라는 언어로써 사회와 소통하며 깨인 세계관을 탐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인의 작품 세계를 보완하여 앞으로의 창조 활동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의의로 삼는다.;“Flexible strands” are a necessary part of daily lif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we are using strands, strings and straps everyday. It is difficult to imagine how uncomfortable it would be without strands, therefore we can realize strands are helpful tools for human beings. In the category of strands, there are many meanings and functions. Their characteristic of being thin and long has made them suitable to use to connect things together, mark start and end points, put scattered things in order, and cover up or wrap up unpleasant things to see. Strands are used not only in physical ways, but also often used for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s society, people metaphorically speak about human relations in terms of strands or strings. In my studies as an artist, I have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se roles and meanings. I wanted to figure out ways in which strands’ attributes are connected with aspects of human nature, visually and semantically. Humans are all concerned about achieving their own happiness. We think we can find the meaning of life when we figure out what makes us happy, and this provides clues to how we can live out our days with a fulfilling purpose that also benefits others. However, there are fundamental elements common to all human beings, so-called “human nature.” Understanding the basic aspects of human nature make it easier for us to discover our own happiness and make others happy as well. In my thesis, I hav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trands and human beings, and how people use strands as a means to achieve happiness. First, I focused on the idea of self-preservation, which begins with self-love, and created examples of strands being used in this way. There are parts of themselves that people often don’t want to reveal, and these are hidden using strand-like objects. By doing so, they are able to show others, and perhaps themselves, a version of self that is easier to love. Another approach I took was considering how strands relate to aspects of “connection.” I explored theories of human relationships and looked into how the internet as a network is one means used by people to establish connections. To reflect this, I have tried to represent human relationships through abstract geometric forms. I have also presented some examples of art works that are similarly exploring these concepts. I also engaged in a retrospective of the body of work I produced from a theoretical, philosophical and art-historical perspective. Geometric objects, which are a basic formative factor in my work, a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 have traced the meaning of geometric shapes used by other artists and compared them with the meanings I employed in my work. I have also made inquiries into Minimalism with respect to how i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 to my own. Lastly, I have stated the reasons I have chosen different materials in my works to convey different meanings. For example, to support my use of reflective surfaces to represent the formation of ego and narcissism, I have presented theoretical evidence for this usage as well as personal “evidence” in the form of film scenes that inspired such usage in my work. I have also used bandages to explore ideas about the increased incidence of mental illness in this generation, and to communicate a message of hope and recovery. This research has ultimately provided a foundation from which to analyze intentions, significance, technique, media, and creative processes in my work. The associations between humans and strands became clear to me in my studies, and I also discovered many artists and mass media content that show ideas similar to those I have explored with my works. My goal is to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to expand my 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visual arts as an artist. This research has multiplied my motivation to continue to create, and I believe it will help me to find better direction in the creative visual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II. 인간과 끈 4 A. 인간의 본성 4 1. 자기 보호 4 2. 숨김의 욕구 8 B. 연결의 의미와 끈의 사용 12 C. 사례 연구 19 1. 감싸는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표현의 예 19 2. 끈의 형상을 이용한 예술작품 23 III. 끈에 의한 사물의 암시 28 A. 암시된 사물의 표현 28 1. 기하학적 형태 연구 28 2. 미니멀리즘 38 B. 의미에 따른 재료 선택 45 1. 거울과 나르시시즘 45 2. 붕대와 치유 51 IV. 작품분석 56 V. 결론 88 참고문헌 90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486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끈에 의한 사물의 암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Objects that are Suggested by Strands-
dc.creator.othernameKim, Mee Young-
dc.format.page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