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조지영-
dc.creator조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66-
dc.description.abstract공격성은 전 생애에 걸쳐 범죄행동, 정신의학적 문제, 사회부적응, 건강문제를 가질 위험을 증가시킨다. 그동안 공격성과 관련된 연구는 공격성의 원인과 발달과정, 결과와 관련되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불안은 공격성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불안이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이라는 상반된 연구 결과도 나타내고 있어 제 3의 변인이 불안과 상호작용하여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기질적 변인이 불안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ray(1987)가 제안한 뇌의 신경생리학적 시스템인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활성화 수준을 기질적 변인으로 설정하고 불안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공격성은 기능에 따른 하위유형인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도적 공격성은 심각한 비행, 범죄와 관련이 높고 반응적 공격성은 정신 병리의 취약성과 관련이 높다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적 요인들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소년원 남자 청소년들은 다양한 정신병리, 비행, 범죄 등의 문제에 취약하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따라 개입에서의 시사점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 모두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불안은 행동억제체계(BIS)와, 주도적 공격성은 반응적 공격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주도적 공격성,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도적 공격성을 불안과 행동활성화체계(BAS)는 정적으로 행동억제체계(BIS)는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반응적 공격성을 불안과 행동활성화체계(BAS)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불안과 주도적 공격성,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iken과 West(1991)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과 주도적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상호작용이 각각 나타났다. 즉, 같은 불안 수준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행동활성화체계(BAS) 수준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주도적 공격성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억제체계(BIS) 수준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주도적 공격성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불안이 높은 소년원 남자 청소년들에게 행동활성화 수준이 높아 보상에 민감하고 자극추구 성향이 강한 기질적 특징은 주도적 공격성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행동억제 수준이 높아 처벌에 대한 단서에 민감하고 행동을 멈추려는 성향이 강한 기질적 특징은 주도적 공격성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개입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and anxiety predict both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of male teenagers in Juvenile Training Schools as well as to examine moderation effect of BAS, BIS between relationship of anxiety and aggression.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201 male teenagers at two Juvenile Training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completed survey such as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RCMAS), Korean-BAS/BIS Scale, Peer Conflict Scale(PCS). The dat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hich was offered Aiken and West (1991) by using SPSS 15.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udy used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relationship of major variables. Then the data concluded that both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anxiety and BAS. Anxiety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BIS. Proactive aggress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active aggression. 2. To investigate the power of prediction of anxiety, BAS and BIS to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the data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anxiety and BAS predicted proactive aggression positively and BIS was predicted proactive aggression negatively, then anxiety and BAS significantly predicted reactive aggression positively. 3.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 of BIS, BAS in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aggression, it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supported from Aiken and West(1991). Th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proactive aggression, it presented each different interaction from BIS and BAS. In other words, although participants have the same level of anxiety, higher level of BAS increased proactive aggression rather than lower level of BAS and also higher level of BIS decreased proactive aggression rather than lower level of B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공격성의 하위유형 5 B. 불안과 공격성 8 C. 행동활성화체게(BAS), 행동억제체계(BIS)와 공격성 11 D.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와 공격성 15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도구 20 1.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체계 척도 20 2. 레이놀즈 불안척도 21 3. 또래갈등척도 22 C. 연구 절차 23 D. 자료 분석 23 Ⅳ. 연구 결과 25 A.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25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5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26 B.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예측력 27 1. 주도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표준회귀분석 28 2.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표준회귀분석 29 C.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상호작용 효과 30 1. 주도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위계적 회귀분석 31 가. 주도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과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상호작용효과 33 나. 주도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과 행동억제체계(BIS)의 상호작용효과 35 2.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위계적 회귀분석 37 Ⅴ. 결론 및 제언 39 A. 결과 요약 및 논의 39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39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40 3.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예측력 42 4.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불안,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상호작용 효과 44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부록 1. 레이놀즈 불안척도 65 부록 2.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척도 66 부록 3. 또래갈등척도 68 영문초록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20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소년원 남자 청소년의 불안과 공격성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조절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Aggression of male teenagers in Juvenile Training Schools : Moderation effect of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dc.creator.othernameJo, Ji Young-
dc.format.pagex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