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발달

Title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발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toward older people in college students and older people
Authors
이현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현대 한국 사회는 전 세계적으로 유래 없이 빠른 속도의 인구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 문제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낳게 하였고, 이러한 노인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됨에 따라, 노인에 관한 태도 연구들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노인에 대한 하나의 단일한 태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연구 대상의 성별이나 연령, 노인과의 접촉 경험 등과 같은 개인・사회적 변인들에 의해 노인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이 보고되었으나, 연구 간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았다. 또한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는 대부분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명시적 태도 측정 도구만을 사용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 경우, 노인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사회적 바람직성 등에 의해서 이를 겉으로 드러내기 보다는 방어적으로 응답할 수도 있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무의식적이고 통제할 수 없는 암묵적 태도도 함께 알아보기 위해서는 측정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모두를 측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총 128명(남녀 대학생 64명, 남녀 노인 64명)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명시적 태도 측정을 위해서는 명시적 태도(호감도/신뢰도/친구삼고 싶은 정도/내집단 포함 정도)와 명시적 선호도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암묵적 태도 측정을 위해서는 IAT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대학생 및 노인이 연령 범주를 기반으로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 내집단 선호/외집단 편견을 보이는지를 확인한 후,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각각 이원 다변량 분산분석과 이원 분산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대학생과 노인이 지각하는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간에 관련이 있는지를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는 노인에 대한 태도와 개인・사회적 변인으로써 노인과의 접촉 경험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 내집단을 선호/외집단 편견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연령별 노인에 대한 명시적 선호 및 암묵적 선호도 값을 확인 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대학생의 경우,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 모두에서 내집단인 젊은이에 대한 선호와 외집단인 노인에 대한 상대적인 비선호가 나타난 반면, 노인의 경우에는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 모두에서 젊은이를 더 선호하는 외집단 선호와 내집단인 노인에 대한 상대적 비선호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원 다변량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에서는 연령의 주효과만 나타났고, 이에 대한 단순 주효과 분석 결과, 대학생이 노인에 비해 노인에 대한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반면, 성별이나 상호작용의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노인에 대한 명시적 선호도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 분산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성별의 주효과 및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생이 노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노인에 대한 더 높은 선호를 보이고,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노인에 대한 더 높은 선호를 보였으며, 실험 집단 중 여자 대학생이 노인에 대한 명시적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노인에 대한 암묵적 선호도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 분산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만이 유의하였고, 이에 대한 단순 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성별 단순 주효과 분석 결과, 남자의 경우, 남자 노인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암묵적인 수준에서 노인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그와 반대로 여자 대학생이 여자 노인에 비해 노인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연령의 단순 주효과 분석 결과에서는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암묵적 수준에서 노인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험 집단 중에서는 남자 노인이 노인에 대한 암묵적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연령별로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호감도/신뢰도/사회적 거리감), 노인에 명시적 및 암묵적 선호도 간에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 집단을 나누어 각각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과 노인 모두에서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 내 변인들(호감도/신뢰도/사회적 거리감)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나, 연령에 대한 명시적 태도, 명시적 선호도와 암묵적 선호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접촉 빈도 및 접촉의 질과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선호도,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 간 상관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노인과의 접촉 빈도는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던 반면, 노인과의 접촉의 질은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호감도/신뢰도/사회적 거리감)내 변인들 모두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노인과의 접촉의 질과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선호도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xplicit and implicit age attitudes differ according to age and gender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older people. For this research, 64 college students and 64 older people completed Explicit Attitudes Rating Scales (likability/ trustfulness/ companionship/ group membership), Explicit Preference Test, and Young-Old Implicit Association Test.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explicit preference and implicit attitudes toward older people were examined with two-way ANOVA. In addition, two-way M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explicit attitud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OVA, MANOVA by SPSS 15.0. 1. The college students presented in-group preference and out-group bias on both explicit and implicit level. On the other hand, our-group favoritism was presented in the older participants on both explicit and implicit level, which means the older participants preferred the young to the old. 2. Significant main effect of age was found on the explicit attitudes toward older people. Specifically, college students received higher scores on truthfulness toward older people than older participants. 3. Both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ender and age as well as interaction effect were found on explicit preference toward older people. college students relatively had high scores on explicit preference test than older participants. In addition, female also had high scores on explicit preference test than male. Among the participants, female college students received the highest scores on explicit preference test. 4. Only interaction effect(age and gender) was appeared on implicit preference toward older people. Specifically, male older participants ha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older people than male college students, whereas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older people than female older participants. Especially male older participants were the ones who had the most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old among the participants. 5. In both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older participa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age attitude measures. 6. In college students' cas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contact frequency of with older people and the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 toward older people. On the contrary, the quality of contact with older people and explicit attitude toward older peopl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