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래-
dc.contributor.author이유진-
dc.creator이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36-
dc.description.abstractIntrodu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ility of recombinant human BMP-2(rhBMP-2)coated implant surface to stimulate local bone formation including bone volume and bone implant contact at different concentration of rhBMP-2. Materials and Methods: Premolars were extracted in 3 young beagle dogs 4 weeks prior to implantation. Four titanium implants coated with rhBMP-2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1, 0.3, 0.5, and 1.0mg/ml) were implanted in posterior mandible in the dogs. Six jaws were examined by clinically, radiologically and histomorphometrically in 8 weeks after implantation. Result: 1.The bone formation around the rhBMP-2 coated implants was not remarkable without any differences by the concentraton, rather marginal bone resorption was observed at implants coated with 1.0mg/ml rhBMP-2. 2. Bone volume formation between the implant thread was reached to 51.1±14.2% at 0.3mg/ml coated rhBMP implants, and was lowest at 1.0mg/ml as 42.6±14.5% (p>0.05). 3. Bone-Implant Contact (BIC) was gained as much as 29.0±2.3% at 1.0mg/ml, 28.0±6.4% at 0.3mg/ml, while lowest as 19.6±2.7% at 0.1mg/ml rhBMP coated implants. 4.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surface coating rhBMP were lower than those by location.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the rhBMP coating on the implant surface were not significant in differences of BV and BIC at implants placed in favorable condition.;골 형성 단백(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은 골 신생을 돕는 이식 재로 사용되고 있고, 임플란트 치아에 표면 처리하여 골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이 실험적으로 구명되어 있으나, 표면처리의 방법과 농도에 대하여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각각 다른 농도의 rhBMP-2가 표면 처리된 임플란트를 골 결손이 적은 비 글 견의 하악골에 식 립 한 후 임플란트 주변의 골형성량(BV)과 골임플란트 결합(BIC)를 분석하여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표면처리 rhBMP-2 농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 글 견3마리의 하 악 소 구 치를 모두 발 거한 후 골 치유를 위해 4주 동안 경과한 후 치유된 골조직의 치 조정 높이에 동일하게 하 악 골 좌우 에 0.1mg/ml, 0.3mg/ml, 0.5mg/ml, 1.0mg/ml 농도의rhBMP-2 표면처리 임플란트를 식 립 하였고, 8 주 후에 실험 견을 희생하여 방사선사진과 조직시편을 얻어 골양 (Bone Volume,BV) 과 골-임플란트 접촉 (Bone to Implant Contact, BIC) 을 계측하여 백분율로 비교평가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임플란트 주변에 골 형성 소견이 뚜렷하지 않았고 농도 별 차이도 보이지 않았으며1.0mg/ml 농도에서는 치 조정 부위에 골 흡수 소견도 관찰되었다 2. 임플란트 나사산 사이로 형성된 골 량은 조직계측학적으로 0.3mg/ml 에서 51.1±14.2%로 가장 많았고, 1.0mg/ml 에서 42.6±14.5% 의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3. 골-임플란트 접촉에서는1.0mg/ml 에서 29.0±2.3%, 0.3mg/ml에서 28.0±6.4%로 가장 좋았고 0.1mg/ml 에서 가장 작은 19.6±2.7% 를 보였다. (p>0.05). 4. 임플란트 표면에 도포된rhBMP-2 농도의 차이보다는 식 립 부위에 따른 편차가 더 크게 나타나, 치조골 상태가 양호한 경우 표면처리 농도는 유의한 골 형성 효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재료 및 연구방법 5 A.연구재료 5 1. 실험동물 5 2. 임플란트 5 B.연구방법 6 1. 발치 및 임플란트의 식립 6 2. 관찰 8 가. 방사선학적 관찰 8 나. 조직학적 관찰 8 다. 조직형태계측학적 분석 9 라. 통계학적 분석 11 III. 연구결과 12 A. 임상적 관찰 12 B. 방사선학적 관찰 13 C. 조직학적 관찰 14 D. 조직형태계측학적 분석 16 1. Bone Volume (BV) 16 2. Bone-Implant Contact (BIC) 18 E. 통계학적 분석 20 IV. 고찰 21 V. 결론 25 참고문헌 26 ABSTRACT 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14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rhBMP-2 표면처리 농도에 따른 임플란트 주변골형성에 관한 조직형태계측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Histomorphometric Study on Bone Formation at rhBMP-2 Coated Titanium Implants in the Posterior Mandible of Dogs-
dc.creator.othernameLee, Yu-Jin-
dc.format.pageviii, 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