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초등학생의 비만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관련 요인

Title
초등학생의 비만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관련 요인
Other Titles
Factors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for Obesity Manag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Authors
장세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신체활동과 관련된 요인을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2010년 10월 20일부터 10월 27까지 서울지역 1개 학교에서 5학년 전체학생 210명(회수율 100%)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중복답변, 누락 답변 자료를 제외한 19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신체활동은 Baecke의 The Questionnaire of Person's Habitual Physical Activity 중 Sports Activity를 번역하여 사용 하였다. 비만에 대한 민감성 인식과 심각성 인식은 강윤주(1998)가 제작한 건강신념척도 도구, 신체활동에 대한 이익성 인식과 장애 인식은 Hayslip, Weigand, Weinberg, Richardson & Jackson(1996)이 개발한 New Scales For Health Belief Model을 손경만(2008)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은 최수전(1998)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ANOVA test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s ⍺ 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194명 중 남자는 93명, 여자는 101명이었으며, 정상체중 아동은 172명(88.7%), 비만아동은 22명(11.3%)이었고, 자신의 체형에 만족하는 아동은 92명(47.4%), 보통인 아동은 62명(32.0%), 불만족하는 아동은 40명(20.6%)이었다. 2. 심각성 인식, 이익성 인식, 장애 인식 및 자기효능감에 따라 신체활동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민감성 인식은 신체활동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심각성 인식은 신체활동이 적은 집단(M=3.02, SD=.62)이 신체활동 보통인 집단(M=2.70, SD=.69) 보다 높았다(F=3.444, p<.05). 신체활동에 대한 이익성 인식은 신체활동이 많은 집단(M=4.35, SD=.62)이 신체활동 보통인 집단(M=3.98, SD=.60)과 적은 집단(M=3.92, SD=.82) 보다 높았다(F=7.674, p<.01). 신체활동에 대한 장애 인식은 신체활동이 적은 집단(M=2.67, SD=.86)이 신체활동이 많은 집단(M=1.82, SD=.66)과 보통인 집단(M=2.06, SD=.68) 보다 높게 나타났다(F=21.064, p<.01).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은 신체활동이 많은 집단의 평균 3.50(SD=.58), 신체활동 보통인 집단의 평균 3.21(SD=.44), 신체활동 적은 집단의 평균 2.81(SD=.6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F=22.098, p<.01). 3 성별에 따라 심각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민감성 인식, 신체활동의 이익성 인식, 신체활동에 대한 장애 인식,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만유무에 따라 민감성 인식과 신체활동의 이익성 인식, 신체활동의 장애인식,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심각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형만족도에 따라 민감성 인식과 신체활동에 대한 장애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심각성 인식과 신체활동의 이익성 인식,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건강신념 중 신체활동의 이익성 인식, 장애 인식, 자기효능감이 비만관리행동 중 하나인 신체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비만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신체활동이 낮은 아동에게는 신체활동의 이익과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을 높여 주고, 신체활동의 장애요인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for obesity man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which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obesity management interventions. Data were from 194 5thgrade students from o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between October 20 and October 27, 2010.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present study included the Sports Activity measure from The Questionnaire of Person's Habitual Physical Activity developed by Baecke (1982), a modified Health Belief Measurement developed by Kang (1998) and Son (2008), and a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instrument developed by Choi (1998).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with Scheffé 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r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naires with SPSS 17.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93 male and 101 female students in the study sample. Most children were normal weight (88.7%) and 11.3% of the students were obese. Less than half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body figure (47.4%) and 20.6% of the students were not.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ceived severity and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ccording to levels of physical activ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nsitivity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3.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verity by gender, no such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sensitivity,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Except for severity, students perceived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differently by obesity stat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itivity and barrier to physical activity depending on levels of satisfaction with body figure, but not in severity,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with low physical activity,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the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nd helping lower the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Future research is warranted to understand children’s motiv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hysical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