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상부위장관 질환자의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Title
상부위장관 질환자의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Other Titles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Patients' Lifestyle and Coping Style with Stress
Authors
우애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영
Abstract
상부위장관 질환은 생명에 위협을 주는 질환은 아니지만, 이들이 겪는 소화불량 증상은 장기적으로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며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나쁜 생활습관과 스트레스는 상부위장관 질환자의 소화불량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화불량을 주호소로 내원한 상부위장관 질환자의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0년 8월 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소화불량을 주호소로 서울시 일개 소화기 전문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위내시경을 시행하고 상부위장관 질환을 진단받은 환자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177명(98.3%)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써 생활습관은 Wilson과 Ciliska(1984)의 건강증진행위 평가척도를 노태영(1997)이 수정 ․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스트레스는 Goldberg(1978)의 일반건강측정표를 기초로 하여 장세진(2000)이 개발한 단축형 사회 심리적 건강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대처방식은 Lazarus와 Folkman(1984)의 대처방식도구를 한정석과 오가실(1990)이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1.12±13.33세 이었으며, 50세 이상이 30.5%, 성별 은 남자가 55.9%로 여자에 비해 많았다. 진단명은 위염이 39.0%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고, 소화불량 증상은 속쓰림이 22.6%, 증상의 빈도는 ‘때때로 느낀다’가 45.2%, 기간은 6개월 미만이 39.5%로 가장 많았다. 2. 생활습관의 총 평균과 표준편차는 4점 만점에 2.71±1.17이며, 생활습관이 좋지 않은 항목은 운동 및 여가활동(1.14±1.14), 수면(1.67±1.10), 음주행위(2.05±1.25), 식이습관(2.09±1.20) 순으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의 총 평균과 표준편차는 3점 만점에 1.24±.74이며, 스트레스가 높은 문항은 ‘기력(원기)이 왕성함을 느끼지 않는다’(2.01±.74), ‘정신이 맑고 깨끗하지 않다’(1.94±.81), '잠자고 난 후에도 개운한 감이 없다’(1.47±.74)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처방식의 총 평균과 표준편차는 4점 만점에 2.70±.73이며, 대처방식에 대한 영역별 사용은 문제중심(2.93±.63), 긍정적 관점(2.89±.71), 희망적 관점(2.71±.73) 순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은 연령(F=3.267, p=.023), 소화불량 증상의 빈도(F=4.214,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질병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결혼상태(F=3.224, p=.042), 학력(F=4.811, p=.009), 진단명(F=3.177, p=.009), 소화불량증상 빈도(F=6.79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질병 특성에 따른 대처방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50세 이상의 연령군과 소화불량 증상이 잦은 군에서 생활습관이 나쁘게 나타났고, 이혼 및 사별군, 중졸 이하군, 기능성 소화 불량증 환자, 소화불량 증상이 잦은 군에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생활습관과 대처방식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339, p<.001), 생활습관과 스트레스(r=-454, p<.001), 스트레스와 대처방식(r=-.380,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상부위장관 질환자의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소화불량 증상의 빈도가 잦을수록 생활습관과 스트레스에 나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상부위장관 질환자의 소화불량 증상 완화를 통해 소화불량 증상 빈도를 단축할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상부위장관 질환자의 건강한 생활습관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대처방안을 계획할 때 대상자의 연령과 결혼상태, 학력, 진단명 등을 고려한 개별적인 간호중재가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coping style with stress of dyspeptic patients had referred to hospital. In this study, an endoscopy was conducted among the patients with dyspepsia referred to hospital of digestive health center in Seoul-si, from 6th August to 15th October, 2010; and also 177 patients (98.3%)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patients diagnosed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were targeted. Research tools for this study were Fantastic Lifestyle Assessment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Noh, Tae-Yong(1997) for lifestyle assessment;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Short Form(PWI-SF)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ang, Se-jin(2000) for stress assessment; and The Way of Coping Questionnaire(WCQ)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an, Jung-suk and Oh, Ga-sil(1990) for coping assessment method were used. The statistic program, SPSS Win 16.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ta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lifestyle assessment were 2.71±1.17 points out of a total 4.0 points. For detailed questionnaires on poor lifestyle, the orders from exercise and leisure activity(1.141.14); sleeping(1.67±1.10); drinking alcohol(2.05±1.25), and eating habits(2.09±1.20) were shown. 2. Tota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tress were 1.24±.74 points out of a total 3 points. The highest stress questionnaires were shown from “lack of feeling energetic(2.01±.74)”, “not clear-head(1.94±.81)” and “not refreshed right after awakening(1.47±.74).” 3. Total mean of coping with stress was 2.70±.73 points out of a total 4 points. The coping uses of each area were shown from “problem-focused(2.93±.63)”, “positive point of view(2.89±.71)”, and “wishful point of view (2.71±.73)” were shown. 4. A lifestyle according to general and disease characteristic of patients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3.267, p=.023) and frequency of dyspeptic symptoms(F=4.214, p=.016). The stress according to general and disease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rriage status(F=3.224, p=.042), education background(F=4.811, p=.009) type of diagnosis(F=3.177, p=.009) and frequency of dyspeptic symptoms (F=6.790, p=.001).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general and disease characteristics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5.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r=.339, p<.001) was found between lifestyle and coping; reversely,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ifestyle and stress(r=-454, p<.001) or stress and coping(r=-.380, p<.001).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ifestyle and stress or coping of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As more frequent dyspeptic symptoms occur, it gives negative impact on lifestyle and stress. Therefore, a remedy of nursing cares to reduce frequency of dyspeptic symptoms by relieving dyspeptic symptoms of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will be neede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find any countermeasures to improve healthy lifestyle of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to reduce the stress, as well as customized personal nursing care considering patient’s age, marriage status, education background and types of diagno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