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한영미-
dc.creator한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0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006-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에는 위기가 널려있다. 재난이라 하는 것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고 한 곳에 인구가 밀집되고 산업이 발달하여 도시화되는 현상이 과거에 비해 사고의 빈도수가 잦아지고 그 피해 또한 대형화, 유형의 다양화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우리는 재난 발생의 필연성을 받아들이고 그 대응책을 마련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고 재난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개선방안을 구축 해야 한다. 우선, 재난은 자연재난과 인적 재난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재난으로는 기상에 의한 재해로 풍해, 수해, 설해, 해일, 박해(우박으로 인한 피해), 뇌 해(번개로 인한 피해), 조 해(간석지에 만든 농지에 조수(潮水)가 들어서 생기는 피해), 냉해(여름철의 이상 저온이나 일조량 부족으로 농작물이 자라는 도중에 입는 피해), 상해(서리로 인한 피해), 병충해와 지질재해인 지진과 해일로 분류할 수 있다. 인적 재난으로는 기계적 재난(교통사고, 기계사고), 화학적 재난(화재사고, 폭발사고), 환경재난(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질오염), 물리적 재난(붕괴사고, 침몰사고, 전기사고), 특수재난(원자력사고, 건축물붕괴, 소요사태, 전쟁) 으로 분류 될 수 있다. 여기서 대 분류인 자연재난과 인적 재난은 돌발적이며 충격이 강력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자연재난의 경우는 어느 정도 경고가 가능하며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러한 돌발적이고 강력한 재난을 관리하는 단계로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단계별 활동이 있다. 여기서 대비와 대응의 단계로는 국민에게 재난정보와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활동내용을 가지고 있다. 재난 정보를 전달하는 서비스로는 문자서비스, 사인/기념비, 지도, 미디어, 이 메일 등 다각적인 접근의 방법 등이 실행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시스템에는 소방 방재 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긴급재난문자 방송서비스와 외교부의 해외 위급상황문자서비스인 모 바일 문자서비스, 방재사인, 이 메일 서비스 그리고 미디어가 있다. 이 서비스들은 모두 텍스트의 나열과 표준화되지 않은 이미지, 과도한 색채의 사용으로 주목성과 가 독 성이 떨어져 긴급재난정보 전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지적한 텍스트 수준의 레벨에서 벗어나 직접적이고 강력한 메시지 전달을 위해 소 구력, 가 독 성, 인지도, 위급 성을 높이는데 주 안성을 두었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언어가 아닌 시각적 요소 또는 촉각적 요소 등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목표로 하는 사람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각적 인지심리 요소인 형태, 크기, 색채, 밝기 등의 조합으로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단계별 정보 시각화의 가이드라인을 제안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주의와 경고를 감지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고 재난발생 시 개선된 정보 제공으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We are now living in times of crisis. Disaster has continuously happened in human history and as urbanization occurs due to a concentrated popul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accidents take place more frequently and the subsequent damage become greater and more diverse. In such contex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mprovement plan by accepting the inevitability of disaster and preparing measures,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and to lower the probability of disaster. First of all, it is classified into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Natural disaster includes geological disaster such as earthquake and tsunami, and meteorological disaster such as tidal wave, hail, wind, flood, snow, frost, lightning, tidewater (caused by a tide which enters the farmland in tideland), cold-weather (caused by abnormally low temperature or insufficient sunshine in summer) and insect damage. In case of man-made disaster, there are mechanical (car and mechanical accident), chemical (fire, explosion), environmental (air, water, soil pollution), physical (collapse, sinking, electrical accident) and special (nuclear accident, building collapse, disturbance, war) disasters. Both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are commonly accidental and make a strong impact; however, natural disaster is predictable and it may provide an early warning to some degree. There are 4 steps to manage such strong and accidental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In preparation and response steps, it delivers disaster information and instructions to the people. It uses multilateral approaches through services to deliver such information, including text message, sign/monument, map, media and e-mail. There are systems, which are currently conducted in Korea, such as emergency disaster text broadcasting service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broad emergency text service by Foreign Ministry, sign of disaster prevention, e-mail and media. In those services, it just lists fragments of information, uses unstandardized images and too many colors, losing attention and readability, in which such services do not effectively deliver disaster information in practice.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appeal power, readability, awareness and emergency to deliver a direct and strong message, not a text as pointed out above. Therefore, it may effectively give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people using sensory organs such as visual and tactile element, not language. To that end, it suggests a guideline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each step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by combining visual cognitive psychological elements such as shape, size, color and brightness. This study may suggest a guideline for rapidly and efficiently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by detecting cautions and warnings and for minimizing damage with improved information provi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재난과 방재관리의 이해 4 A. 재난의 개념 4 B. 재난의 분류 및 특성 7 1. 재난의 분류 7 2. 재난의 특성 10 C. 방재 관리의 개념 및 특성 13 1. 재난관리의 정의 13 2. 재난관리의 특성 16 Ⅲ. 방재정보 서비스 현황 및 정보체계 19 A. 방재정보서비스의 현황 19 1. 문자서비스 19 2. 사인·기념비 25 3. 지도 34 4. 미디어 39 5. 이메일(해외여행자 인터넷등록제) 40 B. 방재정보 서비스의 체계 45 1. 방재정보 서비스의 요소 45 2. 재난 상황별 정보 서비스 요소 47 Ⅳ. 긴급재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51 A. 긴급재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 51 B. 긴급재난 커뮤니케이션의 개선 방안52 1. 인지심리적 디자인을 통한 개선 방안 52 2. 개선 방안의 요소 53 Ⅴ. 긴급재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가이드라인 제시 62 A. 긴급재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개선 방향 62 B. 긴급재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가이드라인 63 Ⅵ. 결론 66 A.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66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935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방재정보 서비스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긴급재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isaster Information Service Design : focusing on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services-
dc.creator.othernameHan, Young-Mee-
dc.format.pagei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