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김정인-
dc.creator김정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0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009-
dc.description.abstract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소득 및 교육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욕구는 다양해지고 세분화 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식 문화는 점차 변화하여왔다. 80년대 중반부터 외식산업의 활발한 성장은 소비자의 인식을 바꾸는 전환점이 되었고 90년대 이후 다국적 기업들의 국내 시장 진출이 확산됨에 따라 외식문화가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외식산업의 성장과 함께 성장한 커피전문점 시장은 성공한 외식문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90년대 말 스타 벅스 라는 미국의 대형 프랜차이즈 형 커피전문점이 국내에 진출하면서 이전까지의 인스턴트 커피시장이 전부였던 국내커피시장은 에스프레소로 대표되는 원두커피라는 새로운 커피시장과 분리되었고 한국커피시장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여전히 커피전문점 시장은 국내 소비 증가와 식생활의 서구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점차 규모가 커지면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 들어 국내의 커피전문점 시장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포화상태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빠르고 성공적인 시장 확장이 가능한 것은 커피전문점 시장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니즈를 빠르게 인지하고 과감한 변화를 시도하기 때문이다. 최근 커피전문점의 공간은 휴게 공간, 만남의 공간, 일하는 공간 등 이른바 생활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하고 있다. 현대인에게 커피라는 매개체는 음료로서의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트렌드 이자 문화이며 그 문화를 표현하는 하나의 도구인 것이다. 그러므로 커피전문점이라는 것은 음료판매를 통해 장소를 임대해 주는 형태의 서비스에 가깝다고 본다. 소비자가 같은 수준의 제품을 구매하며 자신이 임대하는 공간의 질, 공간의 연출, 공간의 상황 및 서비스를 따져보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대형 프랜차이즈 형 커피전문점은 private brand보다 소비자에게 비교적 만족도 높은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지만 고객과의 의사소통 및 관계성을 갖는 콘텐츠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 논문은 대형 프랜차이즈 형 커피전문점 중심으로 발전해가고 있는 국내 커피시장의 콘텐츠 의 취약성을 보완하고 고객과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공간을 설계하여 유형의 차별화를 추구하고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모델을 바탕으로 진행된 프로젝트이며 디자이너로서의 사업적 시각과 현실적 방안을 동시 통합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경영의 현실적인 방안의 도구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가 있다.;Consumers’ desires have been diversified and segmented due to highly developed industry and higher education level. During this process our culinary culture has changed gradually. Mid-‘80s food service industry’s growth became turning point for consumers’ to understand the market differently. Multi international food service companies’ entrants have accelerated market growth of food service industry since 90s. Coffee franchise brands have been successful with overall growth of food service industry. American mega-franchise brand ‘Star Bucks’ extended market from instant coffee only to brewed coffee shop market. Potential of overall coffee market size has expanded since then. It is still growing rapidly due to higher consumption and westernization of the Korean diet. Competition is higher and market saturation point is near. Coffee franchise brands have been expanding their market size rapidly because they have been successful reading consumers’ wants that are related to change of lifestyle. They have been good at reading consumes needs and applying them to the actual services. Coffee shops offer space for relaxing, meeting, working and etc. They became now multi-purpose life spaces. Coffee is now not only beverage but also trend and a way to express culture. Therefore, coffee shops are more like providing spaces for multiple services than just selling beverages. It is natural for customers to consider quality, standard, mood and service level that they are offered. Bigger players offer higher standard of services and products compare to smaller businesses, but they still need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This thesis suggests ideas and models to compensate vulnerability of service provided by bigger brands. It shows ways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better by designing spaces to interact with customers more to provide differentiated and improved services. This thesis is based on real project to build an actual space that has been planned and designed. I focused both design and business aspects of the project. It can be valuable model that is both economical and efficient at the same time for business strate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C. 연구의 특징 및 한계 3 Ⅱ. 커피전문점의 일반적 이해 4 A. 커피전문점의 역사와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4 1. 커피전문점의 역사 4 2. 커피전문점의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6 가. 프랜차이즈의 개념 6 나. 프랜차이즈 역사와 발전 6 다. 프랜차이즈의 특성 9 라.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 전망 10 B. 커피전문점의 유형 12 1. 프랜차이즈형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 12 2. 핸드드립형 커피전문점 12 3. 로스터리형 커피전문점 13 4. 베이커리형 커피전문점 13 5. 멀티형 커피전문점 14 Ⅲ. 커피전문점 개발을 위한 타당성 조사 15 A. 입지조사 15 B. 타겟 리서치 16 C. 사업성 분석 16 Ⅳ. 국내 커피전문점 시장의 현황 20 A. 국내 커피시장의 현황 분석 20 B. 프랜차이즈형 커피전문점의 운영실태 23 C. 커피전문점 시장의 한계 및 기회 28 Ⅴ. 신규브랜드 창출과 브랜드 콘셉트 32 A. 브랜드 콘셉트 32 B. 비쥬얼 아이덴티티 32 C. 가구 및 실내 공간의 아이덴티티 33 Ⅵ. 매장 개발 모형안 34 A. 매장 플래닝 34 B. zone별 구성 36 1. 외관 디자인 36 2. 조리 공간 37 3. 고객 공간 38 4. 외부 조망 44 C. 3가지 모형의 SI 제시 46 Ⅶ. 결론 48 A.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48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49 참고문헌 50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815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소통의 확장을 위한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커피전문점 브랜드 비즈니스 모형개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f space planning for better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 Focused on developing coffee franchise brand business model-
dc.creator.othernameKim, Jung-In-
dc.format.pagexi,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