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장진희-
dc.creator장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8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827-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의 감성이 중시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여 색채는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중요한 요소로써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시각 감각을 통해 인간이 얻는 정보는 80-90%를 차지하며 그 중 70%는 색채지각 감각이다. 또한 인간은 시각을 통해 색채를 지각함과 동시에 청각, 후각, 미각, 촉각까지 자극을 받는다. 인간이 색채를 지각하는 것만으로 감성을 자극 받는 것은 색채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기억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들로부터 색채의 효과적인 활용은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고 움직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점차 부각되고 있다. 특히 현대에 들어와 식품디자인에 관련한 사업들의 관심이 점차 집중되었다. 다양한 음식문화의 교류와 생활수준이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이제 식품의 안정성과 함께 식품의 디자인으로부터 감성적 교류를 원하게 되었다. 감성이 중시되는 현대사회의 흐름 속에서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식품 디자인을 위해서는 식품 고유의 맛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색채를 통하여 식품의 맛, 신선도 등 특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색채는 맛에 대한 연상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식품의 색채디자인에 앞서 인간이 특정 사물에 따라 어떤 색채와 어떤 이미지를 연상하는지 조사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감성에 대한 기초적 데이터 수집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식품을 선택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감성을 자극하고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각의 종류에 따른 연상 색채와 연상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령별, 성별에 따른 연상 색채의 분포를 색상과 색조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 결과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미각의 네 가지 종류에 따른 연상 색채의 설문조사에서 인간은 색채의 지각을 통해 단맛, 짠맛, 쓴맛, 신맛의 맛을 떠올리며, 각 맛에 따라 색채와 이미지가 함께 연상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색채 분포의 결과를 통해 개개인의 경험이나 기억에 따른 감정이 수반되며 연령별 혹은 성별에 따라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미각의 네 가지 종류에 따른 연상 색채 조사 결과에서 단맛에서는 전반적으로 RP, R, YR, Y 의 고 채도 난색계열의 색상에서 분포가 나타났으며 40대와 50대에서 S(Strong Tone)톤의 Y(5Y 7/10)색상으로 다른 색조의 분포가 나타나는 차이점을 보였다. 짠맛에서는 R(Red)과 N1.5의 고명도 무채색의 분포가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10대 남녀의 결과에서만 PB(5PB 9/2)의 분포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차이점을 보였다. 쓴맛에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저명도 무채색계열의 분포가 강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으며, 검정색에 가까운 무채색 N1.5의 분포가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40대 이후부터 저 채도의 GY색상 분포로써 연령대별 차이점을 나타냈다. 신맛에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고명도 Y의 강한 분포 특성이 나타났으며 50대 남자의 결과에서만 고명도의 YR(5YR 8/6), B(5B 7/7) 색상의 분포 차이점을 보였다. 세 번째, 미각의 네 가지 종류에 따른 연상 이미지 조사 결과에서 단맛의 이미지는 설탕, 사탕, 초콜릿의 연상이 가장 많았으며 40대 이후 연령대에서 꿀의 이미지를 연상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짠맛의 이미지로는 소금, 바다, 간장의 연상이 가장 많았으며 10대 남자의 결과에서 땀, 50대 남자의 결과에서 구두쇠의 연상을 나타내는 차이점이 있었다. 쓴맛의 이미지로 한약, 약, 커피가 가장 많았으며 50대 여자의 결과에서만 씀바귀의 연상이 나타나는 차이점이 있었다. 신맛의 이미지로는 레몬, 식초, 오렌지의 연상이 전반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연상 이미지의 조사 결과는 연상 색채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 연령대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간혹 연령별 차이점이 나타났다. 네 번째, 맛의 네 가지 종류에 따른 연상 색채에 관한 연구 결과,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분명 색채의 분포 특성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색채의 연상이 문화적 배경, 연령별 경험, 기억 등에 따라 차이가 나며, 사회적 배경이나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상 색채와 연상 이미지는 앞으로도 계속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With the new paradigm that puts emphasis on human sensibility, the colors are widely used as significant elements for stimulating human feelings. 80 to 90 percent of th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sense of sight and 70 percent of this sense is color recognition. By perceiving the color, people also can be stimulated by the sense of hearing, smell, taste or touch simultaneously. The human sensibility can be stimulated only by the perception of color because the color evokes the experience or memory. According to these research findings, the practical use of colors is emphasized as the important key to stimulate human sensibility. Today the attention on the business of food-design is increased. In consequence of the cultural exchange and an improved standard of living, consumers want the safety of foods and they desire to exchange their feelings through the design of foods as well. In order to stimulate the consumer's sensibility, expressing the subsistent taste of the food i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People can perceive the features of food, such as taste or freshness, through the color so that the color is the most immediate cause of stimulating associations of the food. Therefore, prior to designing a food-color-design, the associative color and image are investigated and the data about the various senses of consumers are collected. In this study, the author researches the associative color and image derived from the sense of taste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stimulate the sensibility of consumers when they choose food products. The author analyzes the age-specific and gender-specific color preferences through the survey studies so that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at of the preceding studies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on the basis of the survey of the associative color and image according to four senses of taste,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associate four flavors such as sweetness, saltiness, bitterness and sourness by recognizing colors. On the other way, those who recognize each flavor could associate colors and images at a time. Furthermore, the diverse color-distribution of results indicates that each individual experience and memory has effect on the resul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or gender as well. Secondly, according to the survey of associative color, warm-color such as RP, R, YR, Y are generally selected as an associative color of sweetness but Y(5Y 7/10) is shown remarkably among forties and fifties. Associative colors of saltiness show as having a pretty even color distribution of high-value neutral color like R(Red) and N1.5. However, there are slightly differences in each ages. For instance in teenager’s group the distribution of PB(5PB 9/2) color is appeared in particular. The most common color of bitterness is strongly spread on low-value neutral color range. Especially N1.5 closed to black is shown in all ages. Besides, there is an age-specific difference that low-chroma GY color range is distributed in groups who are more than 40 years old. As far as sourness is concerned, while the distribution of high-value Y is commonly shown, high-value YR(5YR 8/6) and B(5B 7/7) color range can be found only in fifties. Thirdly, the survey about associative images of four tastes demonstrates that sugar, candy and chocolate are the most frequent choices of sweetness and there is the singularity that those who are more than 40 years old associate honey. Salt, sea and soy sauce is the most common saltiness-image. Interestingly a lot of male respondents in teenage group pick sweat and fifty male choose a miser.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images of bitterness are oriental medicine, coffee and drugs(medicine) and there is a difference that lettuce is picked in only fifty female group. Lemon, vinegar and orange are strongly associated by imaging sourness. Although there are similar results in all age groups like the result of associative-color-survey, sparsely there are partiall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ge. Fourthly, there are obvious changes between the result of prior study and that of this research with respect to associative color from four senses of taste. Thus, we can conclude that associating color or image is influenced by the variation on social background or environment. By virtue of cultural characteristic, age-specific experience, memory and so forth, we can find distinct differences in the results. Consequentially associative color and image is likely to change along with the flow of ti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색채의 연상과 색채 공감각의 이해 5 A. 색채의 이해 5 B. 색채의 연상과 감정효과 7 1. 색채의 연상 7 2. 색채의 감정효과 13 3. 색채의 상징 및 역할 15 C. 색채 공감각의 개념 18 1. 색채와 맛 19 2. 색채와 모양 19 3. 색채와 소리 20 4. 색채와 촉감 21 5. 색채와 향 22 Ⅲ. 미각과 색채의 관계 23 A. 미각의 구조와 지각원리 23 1. 미각의 지각원리 23 2. 미각의 종류 24 B. 미각과 색채의 관계 25 Ⅳ. 미각에 따른 색채의 연상 및 연상이미지 분석 31 A. 조사 대상 및 방법 31 B. 조사 도구 및 분석 방법 32 C. 실험 결과 35 1. 단맛에 따른 연상색채 및 연상 이미지 분석 37 2. 짠맛에 따른 연상색채 및 연상 이미지 분석 51 3. 쓴맛에 따른 연상색채 및 연상 이미지 분석 65 4. 신맛에 따른 연상색채 및 연상 이미지 분석 79 D. 종합 93 1. 미각에 따른 연상 색채 및 연상 이미지 결과 93 2. 연상 색채의 분포 특성 및 차이점 97 Ⅴ. 결론 100 참고문헌 103 부록 106 ABSTRACT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61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미각에 따른 연상 색채 및 연상 이미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lor and Image association According to Taste sense-
dc.creator.othernameJang, Jin-Hee-
dc.format.pagexiv,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