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기독교 영성을 토대로 한 무용창작작품 자유 에 관한 연구

Title
기독교 영성을 토대로 한 무용창작작품 자유 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creative dance work Freedom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Authors
정선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Today, materialism and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term spirituality is used as a form of trend in various fields as people desire to satisfy their spiritual needs. The two areas that have hadoriginal interest in such spirituality are Christianity and art. This is because Christianity has always pursued spirituality when viewing from the historic perspective, and art that displays the artist’s mind is actualization of the invisible mental worldand spiritual activity. Although art took the most important role possessing spiritual symbolism within Christianity throughout the mutual development of Christianity and art, it was also used as the method of spiritual corruption. Thus, Christian art has to be created based on proper Christian spirituality. The creative dance work of「Freedom」which is formed based on such mind has composed scenes through scripture meditation by selecting theme scripture in each chapter through choreographer’s profession of faith. Furthermore, as the resultof meditation, color, light and sound images that are shown in the Bible have been used in work, and costumes and props possessing symbolism were used. Research on the creative dance work,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Freedom」, is based on the purpose of analyzing choreographic characteristic of spirituality recovery through Christian meaning and dance that are immanent in 「Freedom」based on historic introspec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order to establish value of Christian dance creation. The result of analyzing creative dance work「Freedom」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is the following. First, this work which uses the message from John 6:24 "Then you will know the truth, and the truth will set you free" as its theme, attempts to exhibit the narrow and rugged road of pain that the believer has to pass through and also displays the peace and rest, thus the true freedom, that the believer is granted through this process. It is presented that this believer realized the truth through the message "Enter through the narrow gate…small is the gate and narrow the road that leads to life, and only a few find it" (Matthew 7:13-14) in the first chapter, and "Your word is a lamp to my feet and a light for my path"(Psalm 119:105) in the second chapter, and "Come to me, all you who are weary and burdened, and I will give you rest. 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and you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For my yoke is easy and my burden is light" (Matthew 11:27-30) in the third chapter. Second, the realization achiev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God did not bring the theme from the Bible but rather expressed the choreographer’s profession of faith in Christian art, choreographing through meditation rather than artful extravagance. Thus, movement was achieved by placing physical significance in feet, hands, and chest for each chapter, with walking, rolling, extension, and falling used in the first chapter, while emotional change of dancers was expressed through balance and freely moving skip, jump, and pirouette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Third, psychological change of dancer was clearly expressed through musical change while the selection of Christian music attempted to deliver intentionally accurate message. Inner dilemma of dancer was expressed through opposing musical tones of piano, cello and violin and fast tempo in the first chapter, and peace and rest of Jesus was presented through musical tone that was progressed without significant changes and the repeated lyrics of ‘gracious Jesus’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 Fourth, white was selected as the color of the costume of this piece to represent the people who had been saved through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the implied meaning possessed by the cross was diversely used according to intention of choreographer through use of gold fabric signifying the cross. Thus, it can be known that the creative dance work 「Freedom」 was choreographed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and that scripture, meditation, and prayer that are necessary for spirituality training was used as motive and objet for work in dance creation process. Research on the creative dance work 「Freedom」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verifies the fact that danceis an important element of spirituality training in this time and can manage its function. Thus, this study is not only reconfirms the significance of dance in Christian art but also will be used as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per Christian dance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오늘날 물질 만능주의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영적인 욕구를 충족하기 원하고 있고 여러 분야에서도 영성이라는 단어를 하나의 트렌드처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영성에 근원적 관심을 가지고 있는 두 분야가 바로 기독교와 예술이다. 그 이유는 역사적으로 바라볼 때 기독교에서 항상 영성을 추구하였으며, 예술가의 정신이 표출되는 예술 또한 보이지 않는 정신세계의 현상화이고 영적인 활동이기 때문이다. 기독교와 예술이 상호 관계성을 가지고 발전해 오면서 예술은 기독교 안에서 영적 상징성을 가진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였지만 때로는 영적 부패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였기 때문에 기독교 예술은 올바른 기독교 영성을 토대로 창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적 고찰을 통해 기독교 영성의 올바른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기독교적 의미가 담긴 무용창작작품「자유」를 안무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다시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과 움직임, 음악, 의상과 소품으로 분석하여 무용을 통한 기독교 예술의 중요성을 전달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가진다. 기독교 영성을 토대로 한 무용창작작품「자유」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한복음 6장24절 “진리를 알 찌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 케 하리라”의 말씀을 주제로 하는 본 작품에서는 1장에서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은 좁고 길이 협착하여 찾는 이가 적음이라” (마태복음 7:13-14), 2장에서는 “주의 말씀은 내 발의 등이요 내 길의 빛 이니 이다” (시편 119:105), 3장에서는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러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 이는 내 멍에는 쉽고 내 짐은 가벼움이라” (마태복음 11:28-30) 말씀이 적용되어 진리를 깨달은 성도가 가야 하는 좁고 험한 길의 고통과 그 결과 주어지는 평안과 안식, 즉 진정한 자유를 나타내려 하였다. 둘째, 기독교 예술에서 단지 주제만 성경에서 가져온 것이 아닌 안무자의 신앙고백으로 하나님과의 교제를 통해 깨달은 바를 기교적 묵상을 통해 안무하였다. 때문에 움직임에서는 각 장 마다 발과 손, 가슴에 신체적 의미를 두어 움직였으며, 1장에서는 걷기(walk)와 구르기(rolling), 뻗기(extension)와 낙하하기(falling)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2장과 3장에서는 풀업(full up)을 통한 발란스(balance)와 자유롭게 움직이는 스킵(skip)과 점프(jump), 돌기(pirouette) 등으로 움직임 특질과 공간 사용에 변화를 주었다. 셋째, 음악의 변화를 통해 무용수의 심리적 변화를 뚜렷하게 표현하였으며 의도적으로 기독교 음악을 선택함으로 주제에 따른 확실한 메시지를 전달하려 하였다. 1장에서 피아노와 첼로, 바이올린의 대립적인 음색과 빠른 템포를 통해 무용수 내면의 갈등을 표현하였으며, 2장과 3장에서는 큰 변화 없이 진행되는 음과 ‘자비로운 예수’라는 반복되는 가사를 통해 예수의 평안과 안식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넷째, 본 작품의 흰색 의상은 ‘하나님의 의’로 구원받은 백성을 나타내었으며 십자가를 의미하는 금색 천의 사용으로 각 장에서 십자가가 가지고 있는 함축적 의미를 작품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무용창작작품「자유」는 기독교 영성을 토대로 안무되었으며 무용창작 과정에서 영성 훈련에 필수적인 말씀, 묵상, 기도가 작품을 위한 모티브 역할을 하였다. 기독교 영성을 토대로 한 무용창작작품「자유」에 관한 연구는 영적으로 갈급한 현 시대와 사회에서 무용이 영성 훈련의 중요한 요소로서 그 기능을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 예술에서 무용의 중요성을 재확인 시킬 뿐 아니라 기독교 영성에 근거한 기독교 무용의 발전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