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김선은-
dc.creator김선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6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698-
dc.description.abstract사회불안은 청소년 중반부터 발생하며, 사회적인 상황에서 느끼는 불편감은 물론이고 등교거부,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의 부적응, 약물남용 등의 광범위한 기능 손상을 나타낸다. 또한 성인기까지 만성화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초기에 적절한 개입을 통해 심각한 부적응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불안을 발생시키고 유지시키는 기제에는 인지적 변인들이 많은 영향을 미치며, 그 인지적 변인 중 하나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에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에서 사회불안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 뿐 아니라 제 삼의 변인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두 변인에서 모두 관련이 있는 자기비난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본 연구의 대부분이 대학생이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차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청소년 특히 사회불안의 발병률이 높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차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모두 평가염려 완벽주의 하위요인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평가염려 완벽주의 하위요인들과 자기비난의 관계에서 남녀 모두 정적 상관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비난과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불안 및 수행상황에서의 불안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비난과 수행상황에서의 불안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자기비난과 수행상황에서의 불안 모두 여학생이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완벽주의의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검증에 대한 성차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개의 경로계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평가염려 완벽주의에서 사회불안에 이르는 표준화된 계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즉,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을 발생시키는데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기 비난에서 사회불안으로 가는 경로계수에서도 성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은 자기비난에서 사회불안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남자는 유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의 경우 자기비난이 사회불안을 설명하지 못하지만, 남학생은 자기비난이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두 경로계수와 달리 평가염려 완벽주의에서 자기비난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남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남학생 집단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부트스트랩 방법과 sobel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nd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 For this research, 517(boys 259, girls 258)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Jeolrado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Multidimensitional Perfectionism Scale(MPS), Depressive Experiences Questionnire(DEQ),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and Social Anxiety Scal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Fisher's z-test, t-test, and Multiple Group Analysis by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ub-scales of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in both boys and girls. The sub-scales of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display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riticism. Self-criticism and bo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were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self-criticism and performance anxiety. Girls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elf-criticism and performance anxiety than boys. Third, in order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Multiple Group Analysis was used. The result revealed the two paths in gender differences. First, the direct effect of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ender difference. The path coefficient from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t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than boys. Therefore,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has more powerful effects on social anxiety in the group of girls than the group of boys. Second, the gender difference was appeared significant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social anx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social anxiety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boys only. However, the gender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ly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self-criticism. Therefore, self-criticism explained social anxiety in the group of girls, but self-criticism did not explain social anxiety in the group of bo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완벽주의 6 1. 완벽주의 6 2. 평가염려 완벽주의 8 B. 자기비난 10 C. 사회불안 12 D.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16 E.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비난의 관계 18 F. 자기비난과 사회불안의 관계 20 G.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비난 및 사회불안의 관계 21 Ⅲ. 연구 방법 23 A. 연구 대상 23 B. 연구 도구 25 C. 절차 30 D. 자료 분석 30 Ⅳ. 연구 결과 34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34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34 B.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35 C.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 36 D. 모형검증 38 1. 남녀 집단에서의 모형 적합도의 경로 차이 비교 38 가. 기저모형 검증 38 나. 측정의 동일성에서의 남녀 차이 검증 41 다. 집단 간 등가제약에서의 남녀 차이 검증 42 2.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분석 44 Ⅴ. 결론 및 제언 46 A. 결과 요약 및 논의 46 1.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상관 분석 46 2.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48 3.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의 차이검증 50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3 참고문헌 55 부록 69 영문 초록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59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남녀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비난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Boys and Girls: Mediation Effect of Self-criticism-
dc.creator.othernameKim, Sun Eun-
dc.format.pagei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