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조선영-
dc.creator조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8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893-
dc.description.abstractAt the present moment of moving toward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with assumptions of relevance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this research constructed and applied multicultural classes with the case of Islamic culture that is rapidly flowing into Korea and observed its results. Prior to this, students' recognition of "Islam" was looked into using surveys and interviews, and the suitability of textbook's knowledge construction for proper understanding of Islam culture was examined by analyzing seventh curriculum grade 10 sociology, intense selection world geography, revised curriculum grade 7 sociology of 2007 and Islam related depiction in "geography" field of grade 10 sociology textbook. First, by carrying out previous studies reviews,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research were contemplated. First, the meaning and suita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y textbooks were inspected. Geography textbooks have the understanding of each country's and region's unique locality as the learning content by targeting spatial unit areas of the world, and can be recognized as appropriate textbooks to materialize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reason behind the standardization of students' regional recognition was examined from the meta-geographic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culture', dividing up the regions and studying them might increase the academic efficiency,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various cultures that are distributed over the borders. Third, the suitability of textbook knowledge chosen from various knowledge for understanding the Islam culture was examined through the inquiry of knowledge fairness reflected in textbooks. Fourth,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religion education in geography textbooks were examined through the process of redefining the meaning of 'religion' as 'culture'. Lastly, theoretical contemplation on efficient experiential learning was executed by the method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arning. Students can broaden their width of cross-cultural understanding by experiencing cultural variety and coming in contact with other cultures.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Islam, textbook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content in textbooks. Korean textbook's Islam-related depictions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s by going through several revisions. However, discriminative perspective on women and emphasis of unique Islam culture were being displayed, and references to Islam's developed culture were either reduced or omitted. Such textbook contents can influence students to have cultural prejudices against Islam. The information students encounter everyday life, mostly through mass communication, has influence on students' recognition formation of Islam, in addition to textbooks. In order to examine students' 'recognition of Islam' that has been formed by Islam-related knowledge acquired in everyday life, pre-analysis was carried out and negative recognition due to incorrect information and prejudice were discovered. In order to recognize cultural diversity and correct students' prejudice of Islam culture, experimental learning was carried out and its effects were analyzed. Since the students' prejudice of Islam culture was immense, great shift in students' recognition was observed after the class. In particular, after the experiential activity, students formed new knowledge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acquired behaviors of acknowledging cultural diversity. Students began recognizing Islam as 'the subject our society should live together with', instead of 'not wanting to know', 'feeling repulsion' and 'others', and learned the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by studying about the diversity of Islamic culture. Experiential learning as a means of cultural learning allowed students to experience diverse cultural aspects in everyday life, instead of screens or books, and was very effective in cultural learning. Understanding diverse cultures and acquiring knowledge in multicultural society must be achieved across all areas of life, not through assignments in certain subjects. However, more responsibility should be assigned to geography education that learns about regions with diverse natural and humanistic backgrounds, than other subjects. Therefore, although not necessarily the contents of a particular secti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learning related materials that can assist students become the citizens of multicultural society with necessary skills and qualities is required.;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현 시점, 지리과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적합성과 필요성을 전제로 우리나라에 빠르게 유입되고 있는 이슬람 문화를 사례로 다문화 수업을 구성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에 앞서, 학생들이 ‘이슬람’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고, 7차 교육과정 10학년 사회, 심화 선택 세계지리, 2007년 개정 교육과정 7학년 사회, 10학년 사회 교과서의 '지리'영역 이슬람 관련 서술을 분석하여 교과서의 지식 구성이 이슬람 문화의 올바른 이해에 적합한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는데, 첫 번째로, 지리교과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적합성을 살펴보았다. 지리교과는 세계의 여러 공간적 단위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각 국가나 지역의 고유한 지역성에 대한 이해를 학습 내용으로 하고 있으므로 다문화 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에 적합한 교과로 인식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학생들의 지역 인식이 정형화 되어 나타나는 이유를 메타지리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문화’의 이해에 있어 지역을 구분하여 학습하는 것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지 몰라도 경계를 넘어 분포하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세 번째로,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 지식의 공정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다양한 지식 중 취사선택된 교과서의 지식이 이슬람 문화의 이해에 과연 적합한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네 번째로, '문화'로서의 '종교'의 의미를 재정립해 보는 과정을 통하여 지리교과에서의 종교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교육의 학습 방법으로 효과적인 현장 체험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타 문화를 접촉해 보고 문화의 다양성을 체험하여 봄으로써, 상호 문화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슬람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의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교과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치며 우리 교과서의 이슬람 관련 서술은 상당히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여성에 대한 차별적 관점, 독특한 이슬람 문화의 강조 등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슬람의 발달된 문화에 대한 언급은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있었다. 이러한 교과서의 내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슬람 문화에 대한 편견을 가지게 할 수 있다. 학생들의 '이슬람'에 대한 인식 형성에 교과서화 함께 영향을 주는 것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내용들이며 대개 매스컴을 통해 접하는 내용들이다.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습득한 이슬람 관련 지식으로 형성된 '이슬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정확한 정보와 편견으로 인한 부정적 인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문화의 다양성을 인지하고 이슬람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편견을 바로잡기 위한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이슬람 문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견이 컸던 만큼, 수업 후 학생들의 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체험활동 후, 학생들은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형성하였고,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태도를 습득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이슬람을 '알고 싶지 않은, ‘거부감 느껴지는’, '타자'에서 '우리사회의 함께 살아갈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이슬람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학습을 통해, 문화의 다양성과 공존을 배울 수 있었다. 문화 학습의 방법으로서 체험학습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의 모습을 화면이나 책을 통해서가 아닌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게 도와주었고, 문화학습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다문화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지식을 습득하는 일은 특정 교과에서의 과제가 아닌 생활전반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다양한 자연적, 인문적 배경을 가진 지역에 대하여 학습하는 지리과에서는 타 교과보다 더 큰 책임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반드시 특정 단원의 내용이 아니더라도, 학생들이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의 소양과 자질을 갖출 수 있는 다문화 학습 관련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1 B. 연구목적 2 C. 연구 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0 A. 지리교과에서의 '다문화 교육' 10 B. 정형화된 지역 인식과 메타지리학의 한계 13 C. 지식의 공정성 -이슬람 문화의 왜곡 16 D. 문화로서의 종교 18 E. 방법으로서의 현장 체험학습 20 Ⅲ. 이슬람 관련 지식의 공정성에 대한 분석과 평가 22 A. 사실적 오류 23 B. 내용의 누락 24 C. 편견을 줄 수 있는 내용 27 D. 2007 개정 교육과정상의 '이슬람'내용 33 Ⅳ. 이슬람 문화 수업의 재구성 및 적용 35 A. 수업 설계 35 B. '이슬람'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인식 조사 37 C. 수업 과정 분석 42 D. 수업결과 분석 46 E. 다문화 수업에서의 현장체험학습의 효과 56 Ⅴ. 결론 및 제언 61 참고문헌 64 부록 1. 수업지도안 69 부록 2. 사전조사 설문지 74 부록 3. 학생 활동지 77 부록 4. 탐방 기록장 81 부록 5. 사후검사 설문지 83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57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지리교과에서의 이슬람 관련 내용의 평가와 재구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Valuation and Reconstruction on Islam-Related Materials In the Geograph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Cho, Sun Young-
dc.format.pagev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