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경-
dc.contributor.author박윤지-
dc.creator박윤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02-
dc.description.abstractPrior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the Great Depression in terms of its causes, process and effects. In addition, studies on the New Deal, an economic stimulus program to pump-prime the economy as a breakthrough, have also been concentrated on the issue of their practical effectiveness and tangible results. Hence, prior studies on this field have failed to properly examine fundamental and macroscopic influences the Great Depression and the New Deal have brought upon the society. This thesis is designed to prove that with the Great Depression as a momentum, a paradigm shift has taken place: from a "Production-centered society" to a "Consumption-centered society". Moreover, this thesis also addresses how the economic marginal players of the consumption-centered society have transfigured themselves as main agents of consump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Deal. Not merely to relieve sufferings from poverty and unemployment of the economic marginal players during the Great Depression era but to stimulate demand creation, the nature of the New Deal was converted from controlled poor-relief into social security policies. The specific reformative trait of the New Deal should be perceived in such perspective. Then the main goal was to encourage dema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oversupply even with the state intervention. The New Deal was a program reflecting such paradigm of the era. Awareness of the gravity of securing purchasing power of the general public led entrepreneurs to pay higher wages to laborers. Entrepreneurs recognized that giving higher wages to their employees will in turn stimulate economic growth and lead to increased long-run profits. The social necessity of the demand towards home-consumer goods led to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of banning housewives entering the labor market. As a result, more and more married women became labor suppliers in the market with the intention of enhancing living standards of their families. The change of values towards the role of the nation in terms of supporting the purchasing power of the general public began after the 1950s, which expanded the scope of social welfare system particularly for women and African-Americans. Likewise, the alter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economic marginal players and their roles was only possible due to the paradigm shift after the era of Great Depression. This study plans to picture the main flow of social changes during the post-Great Depression era. It also examines how the Great Depression and the New Deal have contributed to such chang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expects to balance out the existing negative viewpoints of the Great Depression and the New Deal.;대공황에 대한 기존 연구는 대공황의 원인, 전개과정, 그리고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대공황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실시되었던 뉴딜정책에 대한 연구도 경기부양의 실질적 효과에 대한 논쟁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 결과 대공황과 뉴딜정책이 사회변화에 미친 근본적이고 거시적 영향을 포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대공황을 계기로 사회적 패러다임이 ‘생산중심사회에서 소비중심사회’로 전환되었으며, 뉴딜정책을 계기로 소비중심사회에서 경제적 주변인들이 소비의 주체로 성장하였음을 밝히는 것이다. 대공황 기 빈곤과 실업의 해결을 위해 억제적이고 시혜적인 구빈정책이 수요창출을 위한 사회보장정책으로 전환되었다. 뉴딜정책의 개혁적 성격은 이러한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뉴딜정책은 공급이 과잉인 시대에 적극적 수요창출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 시기 패러다임을 반영한 정책이었으며, 대중구매력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기업가들로 하여금 노동자들에게 높은 임금을 지불함으로써 이윤을 증가시키고 경제성장을 지속시킬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하였고, 가정소비재 수요에 대한 사회적 필요로 기혼 여성들이 가족의 생활수준 향상을 위해 노동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가정 가치관이 변화되었다. 대중 소비력 지지를 위한 국가의 역할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는 1950년대 이후 여성과 흑인에 대한 사회복지정책의 확대를 가져왔다. 이처럼 경제적 주변인들에 대한 인식과 이들의 역할 변화는 대공황을 계기로 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본 연구를 통해 대공황 이후 사회 변화의 큰 흐름을 파악하고 대공황 기 뉴딜정책이 현대사회의 변화에 기여한 측면을 드러냄으로써 대공황과 뉴딜정책의 부정적 영향에 주목하는 기존연구들에 균형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또한 향후 대공황과 경제적 주변인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 연구를 통해 역사학에서 대공황에 대한 다양한 측면들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대공황에 대한 기존 연구 7 A. 경제학 및 경제사학에서의 연구 7 B. 역사학에서의 연구 11 Ⅲ. 대공황 이후 패러다임의 전환 : 생산중심 사회에서 소비중심 사회로 16 A. 공급과잉 문제의 부각 16 B. 수요중심 경제학의 등장 21 C. 구빈법의 폐지와 사회보장정책의 확대 26 Ⅳ. 대공황을 계기로 한 1930년대~1960년대 미국사회 변화 31 A. 소비의 주체로서 여성의 경제적 역할 증대 31 B. 여성 및 흑인에 대한 뉴딜 혜택의 확대 36 Ⅴ. 결론 및 제언 42 참고문헌 44 ABSTRACT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21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대공황 기 뉴딜정책과 경제적 주변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제적 객체에서 주체로-
dc.title.translatedThe Status of Economic Minorities during the New Deal Era : From the Fringe to the Center-
dc.creator.othernamePark, Yun Ji-
dc.format.pagev,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