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6 Download: 0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Parent Empowerment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강혜원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Family-centered support, placing parents and families to important environmental componen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being on the rise as recent changes into an ecological view have significantly affected support for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such, parental roles are to be more active than ever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and professionals are being transformed into more collaborative and companionate ones which used to be unilateral or even vertical. A parenting support program of reinforcing competency of parents is a program that increases their confidences by promoting relevant knowledge and specialty and provides family with information and available regional resources surrounding them resulting elimination of a helplessness feeling and strengthen immanent merits of their family. In addition, it is to promote parents' specialties, provid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using the given resources, and consolidate capability of families. Through discourse of group meeting, the families are to cultivate their knowledge and skills and meet another families ha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ch leads them to share feeling and sympathy of hardship they have and gain psychological state of balance. Also, through individualized home visit, parents get to practice their newly learned knowledge and skills and set goal that are suitable to their family environment as well as situation, and collaborate with professionals to deliver the intervention, and cross-check their spous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support program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in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xteen families(the total of thirty two peopl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iding Seoul or Geong-gi provice and having children between the age of 2 to 6 diagnosed as disability or developmental delayed, participated for the study. They were to actively implement strategies learn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with researcher and take part in seven times of group sessions and five times of home based programs. The famil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eight families each, composed of sixteen people. For seven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parenting support program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including recruiting process of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Gibaund-Wallston & Wandersman, 1978)’ and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s(Mahoney, 1990)'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arenting support program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in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rove the result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was appli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for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those of experimental group were analyzed using dependent t-tes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i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y levels of mothers presenting a notable high level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y levels of fat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found in parent's interaction behavior with child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t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found in child's interaction behavior with parents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Fifth, a consistency of changes was observed in improved parent-child interaction level twelve weeks after the program clos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parent empowerment gives positive affects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in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this, various studies on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parent empowerment regarding diverse programs with subjects and contents are necessary in order to benefit more parents and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최근 생태학점 관점이 장애유아 가족지원의 주요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가족중심지원이 대두되었다. 기존의 가족지원 프로그램들을 고찰해 보면 유아 또는 부모 중 어느 한 편에만 초점을 두고 실시됨으로써 각각의 내용은 심층적으로 다루어졌으나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들을 함께 다루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유아에 대한 상호보완적인 두 가지 양육기술, 즉 문제행동지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지원을 함께 다루고 부모 자신을 심리적으로 역량강화시키는 내용을 통합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시도하였다. 또한 기관 중심 가족지원 프로그램과 가정방문의 장점을 살려 집단회기와 가정방문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아직까지 가정방문이 활성화되지 않고, 인력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또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어머니 위주의 중재가 아니라 어머니와 아버지를 중재에 포함시켰고, 가족중심 패러다임에 근거한 지원이라는 데 중점을 두어 부모가 함께 토의하고, 중재 목표를 결정하고, 중재를 전달하고, 서로 피드백을 하는 활동들을 통하여 가족의 역량강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중재 종료 후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고, 의료기관에서 장애나 발달지체로 진단받은 만 2-6세 유아의 가족 중 연구자와의 개별면담을 통해 부부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배운 전략을 실행하고, 소집단회기 6회와 전체모임 1회, 가정회기 5회로 구성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6가족(40명)으로, 실험집단 8가족(24명: 부모16명+장애유아8명)과 통제집단 8가족(16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8가족에게는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며 연구참여자 모집기간을 포함하여 총 7개월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다. 집단 회기에서는 강의를 통하여 지식과 기술을 함양하고 다른 장애유아 자녀를 둔 가족을 만남으로써 서로 공감하고 심리적 안정을 얻으며, 가정방문을 통하여 각 가정의 환경과 상황에 맞는 목표를 가족 스스로 설정하고 전문가와 더불어 협력하여 장애유아에게 중재를 전달하며, 부부가 서로 점검함을 통하여 가족 스스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획득하고 선택하는 연습을 하였다.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육효능감 척도(Gibaud-Wallston & Wandersman, 1978)’와 ‘어머니행동평정척도와 아동행동척도(Mahoney, 1999)'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양육효능감 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전, 후에 실시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토대로 사전-사후검사의 차이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행동 평가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전, 후에 걸쳐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종속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유아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변화 정도와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유아 부모의 자녀와의 상호작용 행동은 사전-사후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유아 의 부모와의 상호작용 행동은 사전-사후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변화된 부모-유아 상호작용은 프로그램이 종료된 지 12주 후에도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양육 전문성 함양, 자원 이용을 돕는 지원, 심리적 지원을 포함하는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양육에 있어 많은 도전을 경험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더 많은 장애유아 부모와 그 가족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과 내용들의 프로그램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