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조직문화의 개방성이 지식공유를 통하여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조직문화의 개방성이 지식공유를 통하여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Knowledge Sharing
Authors
황윤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삼
Abstract
Today, many enterprises have introduced knowledge management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in the complicated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despite their various efforts, many enterprises failed in knowledge management owing to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ulture is a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all over the enterprise, it has a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knowledge management. Thus, enterprises should determine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first, and then establish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se strategy, they need to develop the systematic program which aim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knowledge sharing.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es the theoretical causal model of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knowledge shar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uitable f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econd, are there direct effect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knowledge shar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rd, are there mediated effect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knowledge shar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ested using the collecting data from a sample of 178 employees in company H. But 170 ca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because 8 respondents did not complete their survey.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Sobel's test were used. The finding about direct effec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job satisfaction. That is, when employees had a lot of conversation and felt the strong trust among themselves, they share more knowledge and feel satisfaction about their job.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knowledge shar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because knowledge sharing is a activity influencing company's success as well as personal development, it performs an important rol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knowledge sharing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Fifth, job satisfac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when employees had high satisfaction on their job, they spontaneously work toward a company's goal and take pride in their company. The finding about mediated effec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sharing was a meaningful mediator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knowledge sharing was not a meaningful mediator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and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was a meaningful mediator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result means that it needs the vitalizations of knowledge sharing and job satisfaction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was composed with many elements. But three elements was measured in this study.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ther elements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comparative analysis is a significant analysis method in culture studies. Thus,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llect a lot of data from some companies and use comparative analysis among companies. Third, it will be meaningful study that companies apply some programs to improve knowledge sharing and job satisfaction and verify effects of the program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this study verifi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outcome variables. But financial results of enterprises are most important interests in business environment. Thu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about financial results of enterprises.;오늘날의 경쟁적인 기업 환경에서 많은 기업들이 조직성과 향상의 전략으로 지식경영을 도입해왔다. 그러나 지식경영 정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조직문화로 인해 지식경영이 실패로 돌아가는 사례가 많다. 조직문화는 조직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지식경영 뿐만 아니라 조직몰입, 직무만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업의 조직문화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지식경영 전략을 마련하여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향상을 도모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의 개방성을 확인하여 조직 구성원의 지식공유,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각 변인들 간에 관계에서 나타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의 개방성을 영향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지식공유를 매개변인으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결과변인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지식공유,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연구 모형은 적합한가? 둘째.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지식공유,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의 직접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지식공유,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H기업의 임직원 2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얻은 17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먼저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통해 다변량정규분포성을 검증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측정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합성을 검증한 후, 변인 간의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Sobel의 검증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지식공유,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연구모형은 적합하였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지식공유,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지식공유,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직접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첫째, 조직문화의 개방성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였다. 이는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한 여러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조직문화의 개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역시 두 변인간의 관계를 검증한 기존의 연구들과 일관된 결과를 보인다. 셋째, 조직문화의 개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선행연구들과는 반대로 유의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이는 본 연구의 연구 모형 특성상, 연구 모형의 영향변인인 조직문화의 개방성이 매개변인인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기 때문에 조직문화의 개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다는 통계적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넷째, 지식공유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식공유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다섯째, 지식공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선행연구들과는 반대로 유의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이는 앞서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검증에서 나타난 결과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의 연구 모형 특성에서 나타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한다. 다음으로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지식공유,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첫째,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조직몰입 사이의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구성원들 간의 지식공유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직무만족 간의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앞서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직무만족 간의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것과 비교해 볼 때,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보다는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직무만족 간의 직접효과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조직몰입 사이의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이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조직몰입의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조직문화의 개방성에 대해 본 연구에서 측정한 요인들 외에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보다 다각적인 차원에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 연구에서 비교분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만큼, 사업 분야가 다른 대기업 내의 여러 계열사 및 관계사를 함께 연구 대상에 포함한 비교분석 연구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조직 내의 지식공유를 활성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연구 또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직문화의 개방성과 지식공유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정적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기업이 조직 구성원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