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1998~2009년 북한 경제정책과 경제연구 의 연계성 분석

Title
1998~2009년 북한 경제정책과 경제연구 의 연계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conomic policies of North Korea and Gyeong-Je-Yeon-Gu during the 1998 to 2009 period
Authors
김은숙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동호
Abstract
북한의 문헌자료는 로 동 당과 대중을 연결시키는 도구이며, 북한당국의 정책들을 관철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된다. 경제 관련 문헌자료도 경제통계나 경제현실보다는 경제와 관련된 사상과 정책선전의 내용으로 주로 김일성․김정일의 경제정책에 대한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의 경제 문헌자료로서 대표적인 출판물인 잡지『경제연구』는 북한 문헌자료의 특성과 경제 문헌자료로서의 특수성을 동시에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북한 경제정책과 『경제연구』의 연계성을 분석함으로써 이 잡지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연구 시기는 북한에서 김정일 체제의 공식적인 출범이라고 할 수 있는 1998년을 기점으로 2009년까지 12년간에 걸친 주요 경제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세 시기로 나누어, 제1시기(1998~2001): ‘새로운 정책 모색기’, 제2시기(2002~2005): ‘시장 지향적 개혁 기’, 제3시기(2006~2009): ‘시장의 통제 확대기’로 분류하였다. 제1시기에는 김정일 정권이 현안문제인 경제난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제방침을 마련했다. 제2시기는 경제정책의 실천방안을 강구하면서 제도와 정책들을 현실화 하는 시기이다. 제3시기에는 시장화의 모순으로 체제위기를 느낀 북한당국이 시장 영역을 축소하는 등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여 다시 ‘계획경제’로 회귀를 꾀하였다. 다음으로 주제는 북한 경제정책의 전개과정과 주요내용을 토대로 『경제연구』(1998~2009)의 논문 918편을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분류는 기타를 제외하고 크게 실물경제와 경제정책으로 구분하여 북한에서 주로 언급하고 있는 대표적인 산업과 경제정책을 근거로 세부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산업 부문은 ‘농업’, ‘경공업’, ‘중공업’, ‘국방공업’, ‘서비스 업’ 으로, 경제정책 부문은 ‘사회주의 고수’, ‘개혁․개방’, ‘과학․정보’, ‘일반관리’, ‘기타’ 등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경제연구』의 논문에서 나타나는 시기별 주제 분석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시기의 북한은 특히 1998~1999년에 산업부문 중 ‘농업’ 부문에 최우선순위를 두었지만, 『경제연구』에서는 ‘농업’ 부문에 중점을 두면서도 ‘중공업’ 부문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정책 부문에서는 ‘사회주의 고수’ 와 관련된 논문들의 비중이 제일 컸다. 이는 개혁․개방으로의 방안을 강구하면서도 사회주의를 지켜나가겠다는 양면적인 경제정책을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제2시기에는 산업부문에서 단연 ‘국방공업’ 부문이 앞섰다. 그 이유는 2002년 7•1경제관리개선조치 실시와 함께 그 해 9월 선군 시대 경제건설 노선을 표방한 것과 관련 지어 볼 수 있다. ‘경제정책’ 부문에서는 특히 7•1경제관리개선조치 시행과 함께 경제현장에서 ‘실리’와 ‘과학기술’을 강조했다. 제3시기에는 전 시기(2002~2005)와 마찬가지로 산업 부문에서 ‘국방공업’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북한이 첨단 국방과학기술 개발과 군수산업 육성 강화에 힘을 집중시킴으로써 국방공업을 산업 부문의 핵으로 삼고자 하는 의지를 더욱 더 강력하게 요구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와 더불어 ‘경공업’ 부문에 대한 논문들이 증가했다. 북한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있는 경공업의 발전을 위해 힘을 기울이고자 한 연유이다. ‘경제정책’ 부문에서는 ‘개혁․개방’ 부문 논문수가 상당히 감소한 반면, 예산이나 화폐유통, 금융, 재정 등과 같은 ‘일반관리’ 부문과 외국경제 소개, 자본주의 비판 등의 ‘기타’ 부문으로 분류된 논문들이 증가했다. 이는 북한 경제정책기조의 변화로 인해 주제에 대한 논점이 달라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경제연구』의 성격을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일성․김정일의 경제정책을 사후적으로 정당화 하였다. 둘째, 인민대중의 근로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현실적으로 북한 경제에서 대두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해외경제 정보를 소개하면서도 자본주의 시장에 대한 이론과 제도 등을 비난하고 국제교역관계와 IBRD(세계은행)의 활동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비판하고 있다. 다섯째, 북한 경제의 현실 상황파악이 가능하다. 여섯째, 북한 체제에서 드물기는 하나 『경제연구』가 사전적 토론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경제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이 잡지가 북한당국이 내세운 경제정책의 사후적 정당성만을 강조한 논문들뿐만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추진 될 경제정책에 관한 논의의 장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최근 2~3년간 계획경제의 강화정책이 전혀 예측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었다는 사실에 도달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제연구』에 대해 더욱더 면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향후 북한의 경제정책 전반에 대해 예측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The literature of North Korea is regarded as a tool to link the Labor Party to the public and a measure to carry the policies of North Korean authorities. Literature related to economy propagates economic ideologies and policies, mainly emphasizing the legitimacy of Kim Il-Sung and Kim Jong-Il's economic policies, rather than states economic statistics and conditions. Gyeong-Je-Yeon-Gu, one of representative economic journals in North Korea, is considered to have features of North Korea's literature at the same tim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literatur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is journal by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North Korea's economic policies and Gyeong-Je-Yeon-Gu. The subject to the investigation of this study is a 12-year period from 1998, when the Kim Jong-Il regime officially started, to 2009. Centering on major changes in economic policies, the period is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period (1998 to 2001) - 'finding new policies', the second period (2002 to 2005) - 'market-oriented innovation', and the third period (2006 to 2009) 'extending market control'. In the first period, the Kim Jong-Il regime prepared economic measures to resolve economic difficulties that were its pending problems. In the second period, they tried to find measures to realize the economic policies and readjusted its systems and policies. In the third period, the North Korean authority came to a system crisis due to the contradiction of marketization and strived to return to "planned economy" by taking various measures including reducing the market economy. With regard themes, we have classified 918 papers that were published on Gyeong-Je-Yeon-Gu (1998 - 2009)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major contents of North Korea's economic policies. The themes were broadly divided into object-economy and economic policies save for the others and these were sub-classified in detail, based on representative industries and economic policies that North Korea mainly mentioned. The industrial section was divided into "agriculture", "light industries", "heavy industries", "defense industries" and "service" while the economic policies section was divided into "adhesion to socialism", "reformation and opening", "science and information", "general management", and "other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n themes by period which were presented on papers in Gyeong-Je-Yeon-Gu is as follows: In the first period, in particular during 1998 and 1999, North Korea laid its priority on agriculture among industries, whereas Gyeong-Je-Yeon-Gu focused on the agricultural area at the same time emphasized heavy industries. With regard to economic policies, the most important weight was given to papers related to "adhesion to socialism". This is because that North Korea promoted a two-sided economic policies that aimed at reformation and opening at the same time tried to maintain its socialism system. In the second period, defense industries were distinguished among all industrial fields. The reason of this could be found from that North Korea enforced the July Economic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 on July 1 2002 and claimed to stand for economic construction in the era of military-first in September. In the field of economic policies, in addition to the enforcement of the July Measure, they emphasized 'usefulness' and scientific technology in the field of economy. In the third period, likewise the former period (2002 - 2005), a great deal of weight was given to defense industries among industries. It could be considered that North Korea strongly expressed its will to make defense industries a core of its industries, by concentrate its efforts to foster and raise latest defense scientific technology and war industries. In addition, papers in the field of light industries increased. It was because that North Korea strived to develop light industries, which were relatively weakened. With regard to economic policies, papers on reformation and opening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papers on "general management" such as budget, currencies, finance and monetary circulation and papers classified as "others" such as introduction to foreign economies and criticism of capitalism increased. This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point at themes shifted due to changes in North Korea's basic economic policies. We have examined the character of Gyeong-Je-Yeon-Gu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journal is used for ex-post justification of the economic policies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Secondly, it is used to promote the people's will to work. Thirdly, it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problems raised in the North Korean economy. Fourthly, it criticizes the theories and systems of the capitalism market and problems raised from international trades and the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introduces information on foreign economies. Fifthly, it implies current economic policies and actual conditions of North Korea. Lastly, although rare in the North Korean system, Gyeong-Je-Yeon-Gu is used as an ex-ante forum for discussion. In conclus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papers published in Gyeong-Je-Yeon-Gu we have understood that the journal not only publishes papers that emphasize the ex-post justification of economic policie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y but also is a forum to discuss economic policies that are currently being promoted or that are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On this, we could reach a fact that North Korea's planned economy strengthening policies in recent 2 or 3 years was not totally unpredictable. Accordingly, if Gyeong-Je-Yeon-Gu is analyzed more thoroughly, it may be feasible to predict North Korea's general economic policie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