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여성주의 교회공동체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주의 교회공동체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eminist Church Community
Authors
안정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허라금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여성에게 평등과 해방의 종교로 소개된 기독교가 왜 지금은 성차별의 종교가 되었는지, 한국사회에서 성차별은 상당부분 개선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반해, 한국 교회의 변화속도는 왜 이렇게 느린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출발했다. 그리고 여성신학에서 한국 교회의 가부장성에 대한 비판과 여성신학적 교회 론 에 대해 연구와 실천이 상당히 진행되어왔지만, 한국교회의 대다수의 여성들과는 잘 접속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개신교 내에서 대안적 흐름을 만들려는 여러 시도 중에 교회공동체를 통한 실천에 집중하였다. 그 이유는 여성주의 교회공동체가 그 동안 한국교회에 부재했던 여성으로서의 독자적인 의식과 주체성을 형성하는 사회적 공간인 동시에 개신교 내 변혁가능성과 교회 여성들을 매개할 수 있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부장적 교회구조에서도 대안적인 흐름을 만들려고 노력한 여성들과 이들이 만들어낸 교회공동체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들이 파악한 한국교회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새로운 교회에서는 어떻게 극복하고자 했는지, 그 과정 속에 ‘여성주의’라는 지향은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앞으로도 여성주의 교회공동체들의 미래와 발전을 위해 지속가능성과 세대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이들 교회의 가능성과 한계를 짚고, 지속 가능한 여성주의 교회공동체의 조건은 무엇인지 대한 물음을 던지고 답을 찾아나가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 아래 연구대상으로 여성주의 의식을 기반으로 한 교회인 A, B교회를 선정하였다. A, B교회는 여성신학을 바탕으로 ‘여성들을 위한 교회’라는 뚜렷한 지향을 가지고 세워졌고, 1980년대 말이라는 비슷한 시기에 세워져 2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대안적인 예배 형식과 문화를 창조한 교회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향후 지속가능성이라는 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인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병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교회의 가부장성과 물신주의에 대한 불만족은 연구참여자들이 A, B교회로 진입하는 주요 동기이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이 기존 교회에 불만족을 느꼈다고 해서 바로 다른 교회를 찾는 실제적인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연구참여자들은 교회에 대한 불만이 누적되다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결정적인 계기를 만났을 때, 여성주의 교회로의 이동을 감행한다. 이러한 행동은 회피나 도피라기보다는 교회의 보수성과 위계를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실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교회의 가부장성에 체념하고, 포기하기보다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나서는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 능동적 행위자로 의미화할 수 있다. 새로 정착한 A, B교회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갈등의 해소와 안정감을 경험한다. 이는 성 평등, 구체적인 나눔의 실천과 대안적인 삶의 양식에 대한 추구, 이웃종교에 대한 열린 태도 등 여성주의 교회공동체의 특성이 A, B교회 구성원들에게는 흡인요인으로 작용했음을 뜻한다. 이러한 교회들은 소수이고, 비주류교회임을 연구참여자들은 알고 있지만, “내 종교 안에 남아있을 수 있게 하는” 흔치 않은 교회이기 때문에 고마움과 애정을 드러낸다. 둘째, 여성주의 교회공동체에서는 여성주의 가치는 예배 속에서, 제도와 문화 속에서 내재화되어 있었다. 먼저 여성들은 여성들의 모임에서뿐 아니라 남녀가 모두 속한 공동체에서도 리더십을 발휘하며, 특히 대다수의 교회에서 여성들이 배제되고 있는 교회 정치구조에서, 여성의 지도력을 인정받고 있었다. 다음으로 남성중심적인 사고와 가치관을 강화시키는 성차별적인 언어 대신 여성적이고 포괄적인 언어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A, B교회는 성직자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가지고 목회자와 평신도 간의 수평적인 관계를 만들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들을 시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A교회의 경우 보살핌의 가치가 일상적으로 공유되는 교회문화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여성주의 교회공동체의 한계와 가능성을 특별히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B교회가 지속 가능한 교회가 되기에 어려움이 있었던 지점을 살펴보았다. B교회의 이중멤버십과 초 교파는 목회자나 신학 생 들이 교회에 올 수 있게 만드는 조건이지만, 동시에 공동체 성을 약화시키고 평신도들이 교회에 오기 어렵게 만드는 딜레마로 작동한다. 다음으로 여신학자, 목회자, 신학 생 등 여성신학 연구자와 평신도 사이의 갈등은 평신도들이 교회를 이탈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지속 가능한 교회공동체의 필수적 물 적토대인 인원과 재정의 부족은 B교회의 존립기반을 흔드는 요소가 되었다. 넷째, A, B 교회의 경험을 통해서 여성주의 교회공동체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조건들을 찾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건은 구성원들이 ‘자기 교회’라는 주인의식을 가진 관계중심적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이념보다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인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평신도들이 교회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삶의 이야기가 솔직하게 나눠지는 분위기가 되는 것은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이루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세 번째로 청년들을 교회의 주체로 인정하고, 이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교회의 미래와 다음세대의 재생산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네 번째로 시대와 지역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 번째로 A교회는 교회의 출석인원은 적지만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통해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과거의 복지적 마인드에서 공동체마인드로 전환이 되어 마을 공동체를 이루고자 하였다. 지역에 뿌리를 두고 대안적 삶을 실천하는 것은 이 땅에 평화를 이루어 나가는 대안적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사명을 감당하는 일이기도 하다.;This study is ba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Why the Christianity has turned into a religion of gender discrimination from a religion originally introduced as equality and liberation of women in Korea; Why there is still little change in women's status in church while the role of women has significantly transformed in our society. Moreo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reality in which Korean feminist theology has made progress in both theory and practice towards alternative ecclesiology based on criticism against patriarchy in church while those attempts have not been reaching to many laywomen in Christianity. This thesis takes a deeper look at the alternative church community among many other trials for a new movement within the Christian beliefs. This is mainly because feminist church communities have been establishing places for women's own subjectivity and consciousness, thus creating an opportunity to lead a revolutionary movement in connecting many Christian women to a world of progressed reality. Therefore,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church community established by women's efforts to make a new wave within the patriarchal church system. Through the research, I tried to figure out what those church communities had identified as problems in the current church; how they have tried to overcome those drawbacks; and in what aspects feminist consciousness reveals itself in the history of those communities. Finally, for further advancement and existence of feminist church communities, I have defined thei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the aspects of sustainability and generation reproduction. Under these research purposes, two feminist conscious oriented churches A and B have been selected. They have common characteristics as follow. First, both clearly identify themselves as 'church for women' based on the feminist ecclesiology. Second, they both have been acting for 20 years after initially being established in the late 1980s. Third, they have created alternative church worship and culture. The methodologies applied in this research ar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a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outcomes of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discontent over the existing patriarchal and fetishism churches have 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o A and B churches. However, they do not seek and join the alternative church right after the dissatisfactions. However, after some crucial moments, which no longer made them resist against the churches' conservatism and hierarchy, they have turned themselves into non-patriarchal churches. Their somewhat revolutionary decision should not be seen as some avoidance and escape towards the reality of churches that time but rather as realistic choice and the best alternative to remedy their complaints and frustrations. Moreover, their choice have shown their leadership to seek the new possibility rather than just resignation and abandonment under the patriarchal churches. In this sense, they have given the meaning of active and positive actor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the settlement of conflict and a sense of stability. These mean that A and B churches attracts the church members with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gender equality, ordinary sharing practices, the pursuit of alternative lifestyle and the openness towards the neighbor religions. The interviewees know that their churches are minority and non-mainstream, but they appreciate the A and B churches expressing that "this church make me remain in my religion." Secondly, the feminist consciousness is internally adopted in the worship, church system and culture. Women take leadership not only in community consisted with men and women but also the women-only community. Particularly, these respected women's leadership is the one that apparently excluded in most of the political system of church. The languages of A and B churches are different from most patriarchal churches which reinforce the gender discrimination. Their languages are more feminine and inclusive. Furthermore, they try to make the system of church horizontal between the lay members and the clergy under the critical point of view against clergy-centric hierarchy. Lastly, the culture of churches is grounded on the value of caring as an ordinary sharing. Thirdly, I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 and B churches with a special focus on sustainability. A, B churches have visible differences regarding the sustainability. At first, B church have had a significant difficulty in becoming a durable community. The dual membership and inter-denominationalism let clergy and seminary students join the B church, at the same time, these conditions make the community bond weak and lay persons unapproachable. Next, the conflict between feminist theologian including researchers, clergy and seminary students and layperson made the layperson out of church. The lack of number of members and finance, the essential condi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continuity of community, threatened the existence of B church. In conclusion, by analyzing A and B churches, the conditions to make non-patriarchal churches sustainable are as follow. First, the church members need to feel the church as 'their own' place so that the church could be 'relation-oriented' community. Second, the church should be composed of laypersons who live the everyday lives not of ideologies. It is important to become a settlement place for laypersons who can share their lives freely and honestly. Thirdly, for the reproduction of next generation and future of church,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em as essential members of churches and encourage young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 process. Fourth, it is needed to offer the new vision and accommodate the changes of times and region where the church settle. Lastly, although the number of members of A church is not huge, the church is closely related with local people and have strong solidarity within the regional communities. They transform their value from 'welfare' to 'community' for building the village community. Like this, to live alternative lives with deeply rooted in a region is also a way to accomplish church's mission. This mission, to make an alternative society, is to bring about shalom on ear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