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이재은-
dc.creator이재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3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life-long physical exercise participa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physical exercise by focusing on art high school students and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on their percep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physical exercise.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esent a plan for normaliz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integration with high-quality life-long physical exercise activities for adults in order to prepare for basic information on improving the life-long quality of life by maintain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the youth and establishing desirable leisure culture. Accordingly,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total of 643 students in enrolled in 5 art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s of October 2010,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608 students were used by excluding the responses that were considered to be incomplete or reliable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one-way ANOVA was us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chool grade, major) of the students, and chi-square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used for their perception on life-long physical exercise. In addition, chi-square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for their perception on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physical exercis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n life-long physical exercise activities by the students, school physical education, life-long physical exercise and connection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physical exercise.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physical exercise on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physical exercise. As for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verified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and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 study method and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by general background (grade and major) of art high school students display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grade and major, but there was no regularity or probability for the outcomes of the study discovered. Second, the perception in lifetime physical education by general background (grade and major) of art high school students displayed meaningful outcomes statistically in terms of the difference among grades in whether to have participated, participating facility and value for participation, and the difference among majors in participating factor, necessity of participation and value for participation. Third, the percep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time physical education by general background (grade and major) of art high school students displayed meaningful outcomes statistically in all 4 subordinate questions included in the relationship. Fourth, in the percep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lifetime physical education by whether to have participated in lifetime physical education of art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ted students displayed meaningfully and statistically higher outcomes in interes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knowledg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understand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environ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comparing to the non-participated students. Fifth, regarding how the percep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time physical educatio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time physical education, the outcomes showed that the more interest, knowledge and methodolog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higher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time physical education. As the satisfaction of an individual on his or her initial experienc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time sports is highly likely continued to the next lifetime stage, the satisfaction in sports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will be continued to adult and old days through the adolescent perio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which is being suggested as a measure for overcoming the problem which the people must face from the childhood which is a period of adaptation to the adolescent period at which there are lots of changes in physical, mental and psychological element. However, even though schools should take charge of the above-mentioned role in such educational environment as they spend their time in school with lack of leisure activities,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various sports activities are very limited due to limited facilities and insufficient organization of spare time. Therefore,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sports activities, to experience meanings and values of the activities and to aware of the necessity should be provided through the advancement of physical education sector in schools. Moreover, diversified sport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sports which the people enjoyed playing in school days and frequently experienced in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ther than academic purpose as lifetime physical education, and such efforts should be provided from the adolescent period.;본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체육의 운영 및 평생체육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이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실증 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체육의 정상화 및 성인 이후 질 높은 평생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학교체육과의 연계 방안을 제시 함으로서,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유지와 올바른 여가문화 정착을 통한 평생 삶의 질 개선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 10월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예술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총 64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내용이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60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학년, 전공)에 따른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교체육에 대한 인식은 일원분산분석, 평생체육에 대한 인식은 x² 분석과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은 x² 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평생체육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학교체육, 평생체육, 학교체육과 평생체육 연계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학교체육, 평생체육에 대한 인식이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반적 배경(학년, 전공)에 따른 학교체육에 대한 인식은 학년과 전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연구결과에 대한 규칙성이나 개연성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둘째,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반적 배경(학년, 전공)에 따른 평생체육에 대한 인식은 참여유무, 참여시설, 참여가치에 대한 학년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전공별 차이에서는 참여요인, 참여의 필요성, 참여가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반적 배경(학년, 전공)에 따른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은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관성에 포함된 4개의 하위문항은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평생체육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학교체육, 평생체육,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은 체육수업 관심도, 체육수업의 지식, 체육수업의 내용이해, 체육수업의 방법, 체육수업의 환경에 대해서 참여가 비 참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학교체육, 평생체육에 대한 인식은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체육수업의 관심도, 체육수업의 지식적 측면, 체육수업의 방법적 측면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활동은 사회화 과정 적응기인 아동기부터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요소에 많은 변화가 있는 청소년기까지 그들이 겪어야 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에 경험한 체육활동의 인식 및 만족은 청소년기를 거쳐 상 년기, 노년기까지 이어지는데 대다수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낼 수 밖에 없고 여가활동이 적은 예술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이런 교육현실에서 학교가 그 역할을 담당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시설과 시간편성의 부족으로 다양한 체육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계속 줄어들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체육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필요성을 자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학교 체육교육 6 1. 학교체육의 개념 6 2. 학교체육의 목적 및 목표 8 3. 학교체육의 역할 및 기능 12 B. 평생체육 13 1. 평생체육의 개념 및 필요성 13 2. 평생체육의 역할 및 문제점 16 3.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의 필요성 19 C. 예술계 고등학교의 체육수업 21 1. 체육수업의 시수 현황 21 2. 체육수업 환경의 문제점 24 Ⅲ. 연구방법 28 A. 연구대상 28 B. 연구도구 29 C. 조사방법 30 D. 자료처리 방법 30 Ⅳ. 연구결과 분석 32 A. 기술통계분석 결과 32 B.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체육, 평생체육,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 차이 32 C. 학생들의 평생체육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학교체육, 평생체육,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에 대한 인식 차이 40 D. 학교체육, 평생체육에 대한 인식이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미치는 영향 44 Ⅴ. 논의 및 결론 47 A. 논의 47 B. 결론 50 참고문헌 53 부록. 설문지 56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72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체육 및 평생체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Perception of Art High School Student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time Physical Education-
dc.creator.othernameLee, Jae-Eun-
dc.format.pageix,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