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고유미-
dc.creator고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2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284-
dc.description.abstractIf education aims at cultivating desirable human beings, it's required to achieve education for balance of intellect and emotion, or harmony between them. With the social atmosphere to value too much of cognitive aspects, emotional education has not been performed actively in the educational fields. Recently,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emotional education acts as the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cognitive ability and links closely with the motivational aspect and social ability so recognition on its necessity is rising rapidly. Cultivating of emotion through emotional education may be achieved in life. Of course, it may be done through other subjects but regarded to have great connection with art course. Especially, in the present curriculum, the aim of art education is to help desirable growth of human beings while making the best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art course. Therefore, it's important to develop and present art education programs fitting for the present curriculum to achieve emotional cultivation more effectively in the school fields.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with a view to preparing present and future of children to live as the leading part of the world culture as much as importance of emotional education. So,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rt education program for emotional cultivation under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and present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which can practice priorities of the present art curriculum. This study was done for elementary schoolers in the important periods which build up a foundation for the holistic growth and cultural attainments through value formation. This study applied an instruction-learning method using natural materials, which was identified to be effective for cultivation of emotion in art classes through many studies, to the traditional art classes by integral approach with science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s. It inte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natural materials use on cultivation of emotion in oriental ink painting classes as the main area of the traditional art in the fourth-grade art textbook of the elementary school which is the step entering into school art education. In addition, it examined what effect classes presented in this study had on the attitude on nature and the traditional art through students' satisfaction test. So, referring to educational contents, learning methods and aims of art, science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s with revised 2007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devised 8 times oriental painting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It also established an instruction-learning plan by class from the direction of the elementary traditional art found through examination of the related literature and then developed tools for class and measurement. For 57 fourth graders of 2 classes located at Seoul, it used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performed oriental painting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general oriental painting classes for the control group. After experimen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done separately for class results, test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below. First,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in pre ․post tests for emotional intelligence, so it shows that oriental painting classes have an effect on cultivation of emotion regardless of applied instruction-learning methods. However, compared with oriental painting classes applying general instruction-learning,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d much more in oriental painting classes applying the method using natural materials, so it shows that oriental painting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have a greater effect on cultivation of emotion compared with the general.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every area of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ing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self-regulation and other-regulation, and especially showed relatively higher improvement in emotional expression, self-regulation and other-regulation. It shows that oriental painting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while experiencing nature of the school as familiar environment, are effective for improving abilities to express their emotion properly, regulate and change emotion of themselves and others. Second, as for satisfaction areas on oriental painting classes,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achieved higher effects in all of 3 areas, 'Satisfaction on oriental painting classes', 'Attitude change on nature' and 'Attitude change on the traditional art' compared with general classes.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have close interaction with nature through courses to observe, record, sketch nature and then draw oriental painting using an instrument rather than using a brush. So it could higher class satisfaction compared with general oriental painting classes. Third, oriental painting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could outstanding effects in expression. Oriental painting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showed higher improvements in thematic expression, expressive method, formative element and principle and expression process. Especially it showed striking effects in the expressive method compared with general expression activities using a brush. In particular, the effect of shading, which couldn't get in oriental painting using general brushes, was shown well in painting using natural materials. It shows that oriental painting using natural materials makes rapid improvements and various uses possible in the acquisition of oriental painting techniques. As the result, it's regarded that oriental painting classes using natural materials are effective for learners' cultivation of emotion, satisfaction on the classes, attitude changes on nature and the traditional art, acquisition and use of expressive techniques in oriental painting compared with the general instruction-learning method.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presented oriental painting classes for various educational effects including emotional education through the concrete instruction plan fitt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by integral approaches with science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s.;교육이 바람직한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을 둔다면 지와 정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교육, 즉 지성과 감성(정서)의 조화를 이루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동안 인지교육에만 치중해있던 학교교육의 문제점이 속속들이 드러나며 균형 잡힌 인간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방안으로서 정서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서의 함양은 생활 속에서 길러질 수 있고 다른 교과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별히 미술교과와의 연관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현행 교육과정은 미술교육의 목적을 미술이라는 교과의 특성을 살려 바람직한 인간의 성장을 돕는데 두고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7).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정서의 함양을 보다 효과적으로 성취해 낼 수 있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현행 교육과정에 맞게 개발해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정서교육만큼이나, 전통미술교육은 세계문화의 주역으로 살아갈 아이들의 현재와 미래를 대비하고자 한 목적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미술교육 차원에서 정서 함양을 가능케 하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 미술교육과정에서의 중점사항이 골고루 실천될 수 있는 효과적인 미술과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미술수업에서 정서 함양의 효과를 거두는데 효과적이라고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자연재료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을 과학과와 국어과와의 통합적 접근으로 전통미술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학교 미술 교육에 입문하는 단계인 초등학교 4학년의 미술교과서의 전통미술 관련 주요 영역인 수묵화 단원 수업에서 자연재료를 활용했을 때 정서함양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수업만족도 검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수업이 자연과 전통미술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이 본 연구의 수업에서 제작한 수묵화 작품 분석을 통해 수묵화 수업에 자연재료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했을 때 수묵화 기법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미술과와 과학과와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학습방법과 학습 목표를 참고하여 총 8차시에 해당하는 자연 재료를 활용한 수묵화 수업을 구안하였다. 또한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모색한 초등 전통미의 방향에 따라 각 차시별 교수-학습 지도계획을 수립 한 후 수업 도구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서울시 소재 4학년 2학급 57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방법에 기초하여 실헙집단에는 자연재료를 활용한 수묵화 수업을,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수묵화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후 수업결과물과 검사지, 설문지를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정서지능 사전․사후 검사에서 향상을 보인 것을 봤을 때 수묵화 수업은 어떠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정서의 함양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교수학습을 적용한 수묵화 수업에 비해 자연재료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묵화 수업에서 정서지능 향상의 폭이 더 큰 것을 봤을 때, 수묵화 수업에서 자연재료를 활용해 수업을 했을 때 일반적인 수묵화 수업을 하는 것에 비해 정서 함양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실험집단은 자기인식, 타인인식, 정서표현, 정서이입, 자기조절, 타인조절에 해당하는 정서지능의 모든 영역에서 향상을 보였는데 특히, 정서표현과 자기조절, 타인조절에서 비교적 높은 향상을 나타냈다. 이는 자연재료 활용 수묵화 수업에서 학교 안 자연을 체험하며 자연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것이 자신의 정서를 바르게 표현하고,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하고 변화시키는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수묵화 수업의 수업 만족도 영역 중 ‘수묵화 수업에 대한 만족’, ‘자연에 대한 태도 변화’, ‘전통미술에 대한 태도 변화’ 세 영역 모두 자연재료를 활용했을 때 일반적인 수업방식에 비해 더 높은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재료를 활용한 수업은 자연을 관찰해 기록하고, 스케치한 후 붓 대신 도구로 활용해 수묵화를 그리는 일련의 수업과정에서 자연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반 수묵화 수업에 비해 수업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수묵화 수업에서 자연재료를 활용해 수업을 했을 때 수묵화 표현 면에 있어서 월등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자연재료를 활용한 수묵화 수업은 주제표현과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과정의 전반에 걸쳐 높은 향상도를 보였는데 이중에서도 표현방법에 있어서 일반 붓으로 그리는 표현활동에 비해 두드러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일반 붓을 활용해 수묵화를 그렸을 때 찾아보기 힘들었던 농담 표현의 효과가 자연재료를 활용한 붓에서는 잘 나타나 있었다. 이는 자연재료를 활용해 수묵화를 그렸을 때 수묵화 기법의 습득에 있어서 빠른 진보와 다양한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고 분석할 수 있다. 위 결과로 볼 때, 자연재료를 활용한 수묵화 수업은 일반적인 교수학습방법의 수묵화 수업에 비해 학습자의 정서를 함양하고, 수묵화 수업에 대한 만족, 자연과 전통미술에 대한 태도 변화, 수묵화 표현기법 습득 및 활용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정서 함양을 비롯해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자연재료를 활용한 수묵화 수업을 초등학교 교육의 특성에 맞게 과학과와 국어과와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구체적인 수업지도방안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내용 및 방법 3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A. 초등 전통미술교육에서 자연재료 활용 6 1.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 6 2. 초등 전통미술 수업에서의 자연재료 활용 12 B. 자연재료 활용 전통미술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정서함양 16 1. 정서의 함양과 미술교육 16 2. 초등학생의 정서발달 21 3. 초등학생의 정서함양을 위한 전통미술 수업에서 자연재료 활용의 필요성 2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5 A. 연구대상 및 절차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설계 및 수업처치 26 3. 연구절차 27 B. 연구도구 30 1. 수업도구 30 2. 측정도구 48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5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3 A. 연구결과 53 1. 정서지능 검사 결과 분석 53 2. 수업 만족도 검사 결과 분석 60 3. 수업 결과물에 대한 질적 분석 73 B. 논의 91 Ⅴ. 결론 94 참고문헌 97 부록 103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70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4학년의 수묵화 수업에서 자연재료 활용이 정서 함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Natural Materials Use On Cultivation of Emotion In Elementary 4th Graders' Oriental Ink Painting Class-
dc.creator.othernameGo, Yoo Mi-
dc.format.pagexi,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