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훈-
dc.contributor.author박성원-
dc.creator박성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2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21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한국 근대미술시장의 형성 배경을 조사 연구하여 당시 일본인이 우리의 문화재를 어떻게 상품화하고 이미지화했는지에 관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전시회 또는 경매회란 명목으로 도자기, 범종, 불상, 석탑 등 한국의 고미술 문화재가 수 만점 일본으로 반출되었다. 공식적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의 문화재는 6만 1천여 점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자료를 보면 미국, 중국, 영국, 러시아 등 외국에 흩어져 있는 문화재가 10만 7천857점으로 집계되고 있는 가운데, 이는 현재 일본에 있는 고미술 문화재만 8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셈이다. 한 나라에 이러한 대규모 반출사례는 세계 어디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다. 1922년 일본인들이 경성미술구락부(京城美術俱樂部)를 창립하여 운영하기 시작한 그 당시는 일제에 의한 경제적 수탈과 토지조사 및 고적조사사업이 대대적으로 진행되었던 시기였다. 특히 고적조사사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발굴조사라는 미명하에 많은 우리의 문화재가 훼손되고 약탈당하였으며 밀거래까지 횡행하는 가운데, 미술품 유통체계의 필요성을 느낀 일본인들이 경성미술구락부를 창립하였고, 같은 시기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완공하는 등, 식민통치를 위해 조선인의 동화를 유도하는 회유정책과 근대를 지향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타자의 시선에서 조선인의 미술품이 해석되고 거래되는 양상에 이른 것이다. 고미술품의 상품화 가치가 높아지는 사회적 인식이 확산하기 시작하면서 경성미술구락부를 통해 수많은 한국의 문화재가 유통되었는데, 간송미술관의 설립자이자 우리 문화재의 지킴이 역할을 자임했던 간송 전형필 선생도 경성미술구락부를 통해서 우리 문화재를 사들인 것으로 전한다. 일제강점기의 경성미술구락부는 오늘날의 예술품 경매회사로 인식할 수 있겠으나, 식민통치라는 암울했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우리 문화재에 대한 타율적 시선과 해석은 그 당시의 시대적 산물이었다. 경성미술구락부가 일본인의 상업 자본을 바탕으로 그들이 지향했던 우리의 문화재가 어떻게 상품화되었는지, 그들이 선호했던 미술시장의 활용방안은 어떠했는지, 한국미술사의 역사적․시대적 정체성이 던져주는 담론을 살펴보는 것은 학술적으로 중요하다. 경성미술구락부가 우리의 주체적인 의지에 의한 움직임이었다고 할 수 없음을 인식하면서도, 과거의 암울했던 시기를 지나치게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아닌지, 이 논문을 통해 많은 부분을 긍정적 시선으로 끌어안고, 경성미술구락부를 통한 한국 근대미술시장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일본인들에 의해 착수되고 조사된 고미술품 목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자 한 부분은, 한국 고미술품의 판매와 유통으로 말미암아 그 당시 실정을 알려주는 사진 자료가 목록 안에 다수 수록되어 있다는 점, 따라서 오늘날 실물이 남아 있지 않아 소장처를 알 수 없는 고미술품에 대한 시각적 자료가 존재한다는 점에 있다. 이 연구의 범위는 우선 첫 단계로, 경성미술구락부가 창립된 전후 한국 근대미술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미술품을 재화(財貨)적 가치수단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근대미술시장 형성 초기의 미술품 매매기관으로서 경성미술구락부가 갖는 의의와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발표된 기존의 학술논문자료 및 관련서적을 바탕으로 미술시장의 역사적 전개배경과 그에 따른 해석과 논의점, 그리고 구락부 목록을 통하여 미술시장의 규모와 내용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일제강점기라는 식민통치 아래 ‘근대(近代)’라는 개념의 인식과정을 살펴보는 것으로서 기초연구자료의 틀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미술사 인식문제 있어서의 첨예한 갈등은, 조선후기화단의 혼란기와 더불어 일제강점기 탓에 자생적으로 성장했어야 할 미술계가 긴 침체기와 단절을 겪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성미술구락부의 재평가가 필요한 부분은, 당시 미술시장의 호황기를 맞이함으로써 일본인 외에도 한국인 수장가도 경매에 다수 참여하였다는 사실과 더불어 근대적 전문 경매회사의 시스템을 갖추고 미술품을 공개 자료화했다는 점, 따라서 미술시장의 근대화를 불러일으킨 나름의 역할기능이 존재했다는 것에 있다. 이번 연구에 따른 추후의 과제는 일제강점기의 미술시장을 한국 근대미술의 일부분으로 과감히 수용․포용함으로써 이제는 식민사관이라는 국한된 틀에서 벗어남으로써 한국 근대미술시장을 보다 폭넓게 분석하고, 한국미술계의 자생력과 자정력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나갔으면 한다.;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background of Korean modern art marke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analyz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how the Japanese commercialized Korea’s cultural heritage and turned it into images. Tens of thousands of Korea’s antique cultural properties – ranging from chinaware to temple bells, Buddha statues, and stone pagodas – were taken out to Japan under the pretext of exhibitions or auctions. Those properties that were moved to Japan through either official or unofficial routes are estimated to be around 61,000 pieces. According to Korea'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s data, an estimated total number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currently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China, Russia, the U.K., the U.S. and so forth are as many as 107,857 pieces. However, in terms of antique cultural properties, nearly 80 percent of them are in Japan. Smuggling of cultural properties to a foreign country in such a huge scale is unprecedented and can be hardly found in any other part of the world. The 1920s, during which time Gyeongseong Art Club (京城美術俱樂部, 경성미술구락부) was launched, saw Imperialist Japan's conducting extensive surveys on land and historical remains in Korea along with economic exploitation. In the process of the excavation for the survey project on historical remains, many cultural properties were damaged, stolen, and trafficked. Yet, the increasing social awareness of cultural heritage’s commercial value stimulated art trades. It was this state of chaos in which the Japanese realized the necessity of art trade system and subsequently set up Gyeongseong Art Club. During the same period, they constructed the Japanese General-Government building for colonial governing of Joseon and further reinforced the colonization policies that attempted to assimilate Koreans, leading to a state where Korean art was interpreted and traded by outsiders. A huge number of antique artworks were traded via Gyeongseong Art Club. For instance, Gansong(澗松, 간송) Jeon Hyeongpil(全鎣弼, 전형필), the well-known protector of Korean cultural heritage and also the founder of Gansong Art Museum, is also said to had purchased his collections of cultural properties through this institu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Gyeongseong Art Club played a role as an art auction house, but the fact that Korean cultural heritages were subject to outsiders’ value judgement and interpretation was an inevitable byproduct of the dismal historical context. Thus, it is of academic importance to revisit the ‘lost’ modern art history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Examining the roles played by Gyeongseong Art Club seem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 how it commercialized Korean cultural heritages, what the utility of modern art market based on the commercial capital of the Imperialist Japan was, and what historical as well as ideological impacts it had produced to Korea’s art history and Korean people’s cultural identity. While recognizing that Gyeongseong Art Club was part of Japan’s colonization scheme and that, therefore, it was not Korea’s own initiative, it is puzzling why many Koreans tend to perceive this dismal period only too negatively. Gyeongseong Art Club as a part of the early period of Korea’s modern art market is thus worthy of thorough reexamination in different perspectives. To note some of the positive points, there is a list of antique artworks, found and researched by the Japanese, which includes many pictures that provide important clues for us about the sales and trades of Korean antiques at that time. Also, it serves as valuable visual data for us because we have lost the traces of many antique artworks and also many of them simply no longer exist. This research first attempts to comprehend the early formation of modern art market by which artworks were beginning to be recognized as commercial commodity, and to analyz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seong Art Club as the biggest art trade organization in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modern art and the art market around the time Gyeongseong Art Club was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history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arguments, based on the previous academic literature and related publication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modernity’ in the midst of the imperialist colony. Along with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colonial historism and viewpoints have been repeatedly recognized as an obstacle to be overcome. The epochal division of the modern art history still remains largely unclear. Moreover, the academic documents and records regarding Korea’s modern art market, which generally cite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of those who studied in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re often polarized in terms of pro- or anti-Japan factions. This kind of strong conflict in perception of art history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long downturn and isolation, and the associated difficulties for Korea’s autonomous development of the art community due to Japanese colonization as well as the confusion that was prevalent within the community in late Joseon. Therefore, this research leaves room for further research and discussion.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ew tasks ahead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autonomy of Korean art by breaking away from the structural limits of Confucianist view in late Joseon when the artworks were studied with the focus on Korean modern art and by embracing the art market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part of Korean modern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의 방법 6 Ⅱ. 한국 근대미술시장의 배경 9 A. 한국 근대미술에 대한 고찰 9 1. 근대미술의 시원(始原)문제 9 2. 시대구분문제 11 B. 한국 근대미술시장 형성과 그 배경 15 1. ‘정두환(鄭斗煥) 서화포(書畵鋪)’ 15 2. 한성서화관 전속화가 조석진 16 3. 김규진의 ‘고금서화관’ 18 C. 한국 미술품 유통의 역사 20 1. 고대 한국의 미술품 유통 시기 20 2. 근대 한국의 미술품 유통 시기 23 Ⅲ. 일제강점기의 경성미술구락부에 대한 고찰 29 A. 경성미술구락부의 창립배경과 골동 ‘경매회’의 변천과정 29 B. 경성미술구락부의 증자 및 사옥개축 34 C. 경성미술구락부의 경매도록과 수록된 주요작품 40 D. 고미술품의 수집풍조 및 애호가 57 1. 조선후기 고미술품 수집풍조와 배경 57 2.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약탈과 밀거래 58 3. 일제강점기의 고미술품 수집 애호가 65 Ⅳ. 경성미술구락부의 긍정적 고찰 68 A. 1930년대 고미술품의 유통상황 68 B. 한국 근대미술시장, 근대경매사의 등장 71 Ⅴ. 결론 및 논의 75 참고문헌 78 부록 1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일본인 수장가 83 부록 2 일제강점기 이후 대표적인 한국인 수장가 85 부록 3 일제강점기 서울의 고미술상 88 부록 4 경성미술구락부 운영진 89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448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제강점기의 경성미술구락부 활동이 한국 근대미술시장에 끼친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京城美術俱樂部創業二十年記念誌: 朝鮮古美術業界二十年の回顧』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Gyeongseong Art Club on Korea’s Modern Art Marke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 An Examination of Gyeongseong Art Club’s Special Journal – Retrospect of Joseon Antique Business’ Past Two Decades (『京城美術俱樂部創業二十年記念誌: 鮮古美術業界二十年の回顧』)-
dc.creator.othernamePark, Seong Won-
dc.format.pagex,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