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이윤진-
dc.creator이윤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8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857-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ttempted to study the ecological art of Mark Dion(1961-) with relation to social and artistic contexts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Dion who has been interested in nature, ecology and environmentalism since long ago has worked on installations using specimens related to natural history, ordinary things and collectibles gathered through field studies or archeological excavations. In addition, he actively practiced the method of joint works by which he concentrated the entire communicative process collaborating with expert groups or the general public. Most of all, Dion is also an artist who has worked transforming himself into a naturalist, ecologist, archeologist, explorer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context which should be treated important in studying Dion’s ecological art include ecological worldview that stressed nature-centered thinking to cope with the crises of the eco-system faced by the human race now. Also, Western environmental movements start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implemented the ecological worldview at a realistic level, and especially the environmental movements in the U.S. are the key elements to examine the works of the artist. Meanwhile, New Genre Public Art since 1990s influenced by the ecological worldview and environmental movements aims at an art that is produced by joint work with other participants, that is based on process rather than production of objet, and that can be identified with everyday life. The artist’s ecological art also shares the same objective as the New Genre Public Art, and this paper tries to examine his works divided broadly into three aspects: changes of the concepts of an artist; of the methods of exhibit; and of communicative methods. Dion himself went out to ecological fields to work as part of the eco-system, and in the process, he considered it useful using studies such as biology, entomology and archeology, etc. to be involved in the issue of the eco-system, which he practiced. In addition, the artist carried out installation works in order to mention the issues of the eco-system at art galleries and museums, so that spectators could re-consider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 of the eco-system in modern exhibition halls called ‘a white cube.’ Along with this, his works functioned as education and enlightenment, as the artist attached importance to joint works and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he also paid attention to the point where the boundary between education as an art and art as an education is blurred. Like this, Dion attempted to expand the concept of an artist as an existing as part of the eco-system, and on the other hand, planned to change the modes of exhibition to speak for the issues of the eco-system, and approached art as a kind of education. Meanwhile, since the problem of the eco-system on which the artist focuse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rvival of the human race, no one can neglect that. Dion thought that he would be able to appeal this point to the audience through his own works, and tried to insist that art is not unrelated to th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ssues. He proposed new alternative, ecological art while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art as being able to carry out a productive function that deals with important issues in society of the time.;본 논문은 마크 디온(Mark Dion, 1961-)의 생태미술(ecological art)을 20세기 말의 사회적, 예술적 맥락과 관련하여 연구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자연과 생태학, 환경주의에 대해 관심이 있었던 디온은 자연사와 관련된 표본들, 일상적인 사물들, 그리고 현장 조사나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모은 수집품들을 이용하여 설치 작업을 해왔다. 이와 함께 전문가 집단이나 일반적인 대중들과 협업하면서 그들과의 소통 과정 전체에 집중하는 공동작업의 방식 또한 그가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던 것이다. 무엇보다도 디온은 자연주의자, 생태학자, 고고학자, 탐험가 등으로 스스로의 모습을 끊임없이 변화시키며 작업해온 작가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디온의 생태미술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사회적 맥락에는 현재의 인류가 직면한 생태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자연을 중심으로 사고할 것을 강조하였던 생태학적 세계관(ecological worldview)이 있다. 더불어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서구의 환경운동은 생태학적 세계관을 현실적인 차원에서 이행한 것으로, 특히 미국에서 있었던 환경운동은 작가의 작업을 알아보는데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한편 생태학적 세계관과 환경운동에 영향을 받은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은 참여자들과의 공동작업에 의해 생산된 미술, 오브제의 제작 보다는 과정에 토대를 둔 미술, 일상 자체와 동일시될 수 있는 미술을 지향한다. 작가의 생태미술 역시 새 장르 공공미술과 같은 목적을 공유하는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업을 크게 작가 개념의 변화, 전시 방식의 변화, 소통 방식의 변화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디온은 생태계의 일부로서 작업하기 위하여 생태의 현장으로 직접 나갔는데, 이 과정에서 그는 생물학이나 곤충학, 고고학 등의 학문을 이용하는 것이 생태의 문제에 관여하는 데 유용하다고 생각하여 이를 실천으로 옮겼다. 또한 작가는 미술관과 갤러리, 박물관에서 생태의 쟁점들을 언급하기 위하여 설치 작업을 하였는데 이로 인해 관람자들은 생태라는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화이트 큐브’로 불리는 모던 전시장 안에서 재고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그의 작업은 교육과 계몽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때 작가는 공동작업과 상호 소통의 과정을 중시하였으며 교육으로서의 미술, 그리고 미술로서의 교육이라는 두 개념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지점 또한 주목하였다. 이처럼 디온은 생태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가운데 작가의 개념을 확장하려고 했고, 한편으로는 생태의 쟁점들을 말하기 위하여 전시 방식의 변화를 꾀했으며, 미술을 일종의 교육으로 접근하였다. 한편 작가가 집중했던 생태의 문제는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누구도 외면할 수 없는 사안이다. 디온은 자신의 작업을 통해 관람자들의 감정에 이 점을 호소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환경문제에 동참하는데 있어 예술도 무관하지 않음을 주장하려고 하였다. 그는 현대미술이 당대 사회의 중요한 이슈를 다루는 생산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고 이해하는 가운데 생태미술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생태학적 세계관과 디온의 작업 7 A. 20세기 말 세계관의 변화 7 B.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과 생태미술 15 Ⅲ. 디온의 생태미술이 제시한 새로운 미술 개념 22 A. 생태계의 일부로서의 미술가 22 B. 생태계의 문화적 재현으로서의 전시장 33 C. 계몽과 교육으로서의 미술 44 Ⅳ. 결론 56 참고 문헌 59 도판 목록 65 도판 71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8170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마크 디온(Mark Dion)의 생태미술(Ecological Art)-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cological Art of Mark Dion-
dc.creator.othernameLee, Youn Jin-
dc.format.pagev,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