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조은애-
dc.creator조은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56-
dc.description.abstract상담 과정에서 상담을 효과적으로 진행시켜 내담자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데에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은 상담자 자신이다. 상담자는 상담과정에서 자신의 개인적 요인, 내담자 요인 그리고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받고 소진할 수 있다.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원인으로 가장 주목받는 영역은 직무환경으로, 직무환경이 상담자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넘어서 과도하게 요구적이라고 지각될 때 스트레스가 유발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상담자가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심리적 소진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은 상담의 성과뿐만 아니라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리적 소진과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직무열의가 있다. 현재 직무열의에 대한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대두와 더불어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직무열의는 일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상태를 말한다.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함께 직무열의에 대한 연구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은 줄이고 직무열의를 촉진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많은 상담자들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돕는 것이 자신의 삶의 의미이며, 자신의 직업을 소명으로 여기고 있어 상담자의 소명의식은 상담자에게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소명의식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줄이고, 직무열의를 촉진하는 변인으로, 상담자에 대한 질적 연구에서 보고되었다(박한샘, 2009; 채은영, 2009). 또한 기존의 소명의식에 대한 연구를 보면,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며, 낮은 스트레스와 우울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상담자에게 있어서 소명의식은 심리적 소진을 줄이고 직무열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에 대한 직무환경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담자의 소명의식이 조절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상담센터와 청소년지원센터에서 일하는 전임상담자 161명을 대상으로 직무환경,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 소명의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업무관련특성에 따른 각 변인들의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t 검증과 F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상담자의 직무환경의 하위요인들이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직무환경 요소들과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이 부정적일수록 심리적 소진을 증가시키고, 직무환경이 긍정적일수록 직무열의를 증가시켰다. 직무환경 요소 중 심리적 소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소는 역할갈등, 역할명료성, 도전이었고 직무환경 요소 중 직무열의를 유의하게 촉진시키는 요소는 도전, 업무량, 역할갈등이었다. 소명의식은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직무환경과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지는 못했지만,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에 대하여 각각 주 효과를 보였다. 또한 소명의식은 심리적 소진보다는 직무열의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상담자의 소명의식이 심리적 소진은 줄이고, 직무열의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변인이고, 심리적 소진보다는 직무열의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연구가 이루어졌던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뿐만 아니라 일의 긍정적인 태도인 직무열의를 다룬 점과 상담자에게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소명의식의 영향력을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Counselor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leading counseling process effectively and helping clients change positively. Counselors can get stressed out and exhausted resulting from personal, client-related and environmental factors arising in counseling process. It is job environment that draws more attention than any other aspect as the cause of burnout among counselors. Job environment that is perceived to be overly demanding beyond resources counselors have causes stress. In case counselors do not manage the stress properly, burnout arises. Counselors' burnout will have bad influence on clients and counseling performance as well as counselors themselves. Job engagement is a relative concept to burnout. Currently, studies on job engagement are considered necessary in light of the rise of positive psychology. Job engagement is defined as a positive and enthusiastic state generated by engaging in works. Studies on counselors' burnout and job engagement seek to reduce counselors' burnout and to promote job engagement. Many counselors regard helping those in need as the meaning of their life and their profession as a calling, therefore the consciousness of calling among counselors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m. The consciousness of calling was reported in qualitative studies on counselors as a variable that reduces the burnout and facilitates job engagement(Park HS, 2009; Chai EY, 2009). Also, previous literature on the consciousness of calling found that those who have a consciousness of calling tended to assume a positive attitude toward works and to display a low level of stress and depression, which indicates that the consciousness of calling is conducive to lessening burnout and to promoting job engagement among counselor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job environment on counselors' burnout and job engagement, and identified whether counselors' consciousness of calling could play a moderator role affecting burnout and job engagement. This study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survey to 161 dedicated counselors working in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and youth support centers nationwide in terms of job environment, burnout, job engagement and consciousness of calling. To determine whether each variable leads to differenc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business-related characteristics, t test and F test were us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counselors' job environment on burnout and job engagemen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urther, to see if the consciousness of calling plays a moderator role in relations between job environment factors, burnout and job engagemen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negative the job environment is, the higher the burnout goes, whereas the more positive the job environment is, the higher the job engagement goes.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crease burnout among job environment factors include role conflict, role clarity and challenge. Factors that facilitate job engagement among job environment factors include challenge, workload and role conflict. The consciousness of calling did not play any moderator role in relations between job environment and burnout and between job environment and job engagement, but it showed main effects on burnout and job engagement, respectively. Also, the consciousness of calling, compared to burnout,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on job engage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unselors' consciousness of calling is a significant variable reducing burnout and promoting job engagement and can have a greater influence on job engagement than burnout.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toward work, or job engagement, as well as counselors' burnout, which has been frequently studied so far and that it analyzes the influence of counselors' consciousness of calling, which is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counsel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II. 이론적 배경 6 A. 심리적 소진 6 1. 심리적 소진의 개념 및 특성 6 2. 심리적 소진의 원인 8 B. 직무열의 12 1. 직무열의의 개념 및 특성 12 2. 직무열의의 원인 14 C 소명의식 16 1. 소명의식의 개념 16 2. 소명의식과 일에 대한 태도 19 III. 연구방법 22 A. 연구참여자 22 B. 측정도구 22 C. 분석 방법 26 IV. 연구결과 28 A.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 28 1. 연구참여자의 특성 28 2. 상담자의 직무환경 31 3.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33 4. 상담자의 직무열의 34 5. 상담자의 소명의식 36 6. 각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36 B. 직무환경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40 C. 직무환경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41 D.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42 E. 직무환경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43 V. 논의 및 결론 45 A. 연구결과의 논의 및 결론 46 B.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실제를 위한 제언 50 참고문헌 53 부록. 질문지 67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24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상담자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unselor’s calling on the relation of job environment with job engagement and burnout-
dc.creator.othernameJoe, Eun Ai-
dc.format.pagev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