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강릉관노가면극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양상에 관한 연구

Title
강릉관노가면극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양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munication aspect shown in Kangneung Kwanno Mask Play
Authors
정진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희
Abstract
Since the past that languages were not existed, physical movement has played a role of symbolic system for the communication in the life of the whole mankinds till the modern period. People's movement is used for various meanings by ethnic groups with several media except for languages, as the non-verbal measure of communication. Dance as a general art, makes non-verbal communication possible, beyond the barrier of languages. By playing a role of international common language, it not only makes communication possible but also shows deep truth hidden in the other side of language. Talchum is the artistic form expressed by rooting people's culture while meeting new situation after 18th century. It is not only liberative communication criticizing false awareness of governing system from various angles and relieving suppressed sense but also play of festival characteristics people are playing all together. Among them, Kangneung Kwanno Mask Play is a mask play of Seonangje, so it was a mask play orienting social combination with suggestive nature, rather than social criticism factors. Kangneung Kwanno Mask Play excludes carnality and increasing sacredness in the play by progressing the whole without any word as well as communicates with spectators by playing a role of physical gestures instead of languages under the emphasis of symbolic expression of dances and physical gestures comparatively.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d the value of dancing art communication of Kangneung Kwanno Mask Play showed with only dances and physical gestures as domestic only non-verbal play and studied the aspect communicating with spectators in it. For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oretical background focusing on concept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function of dance and origin, transmi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angnung Kwanno Mask Play, the communication factors of Kangnung Kwanno Mask Play were analyzed. For examining what the meaning the play intends to convey is, what non-linguistic symbolic system for the message conveying is and which appearance of space and time occurred by the communication is, the communication factor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 communication factors into meaning factor, sign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individually. Based on them,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Kangneung Kwanno Mask Play can be arranged by three things. The first, Kangneung Kwanno Mask Play delivers meaning of play through the non-verbal symbolic system including dance. The second, there is continuous interaction between players and spectators in the play and they share the common meaning through it. The third, they improve communal link awareness and form social relationships finally, through the mask play. Like that, Kangneung Kwanno Mask Play was a folk art displayed by communicating with people with conditions for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show the value of common arts created by people beyond the self-expressive art, focusing on Kangneung Kwanno Mask Play formed by communicating with spectators. Furthermore, we expect that high artistry of Kangnung Kwanno Mask Play which is organized by dance and motion, the primary expression measure of dancing art can be recognized and it can contribute to organize dancing art which can communicate with spectators freely through the production of works which possess popularity and artistry for the whole performance in the future.;언어가 존재하지 않았던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신체의 움직임은 전 인류의 삶 속에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상징체계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인간의 움직임은 언어 이외의 여러 전달매체와 더불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민족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총체적인 예술로서 무용은 언어의 장벽을 뛰어넘어 비언어(non-verbal)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만국공통어의 역할을 수행하며 의사전달뿐만 아니라 언어 이면에 감춰진 깊은 진실까지도 보여준다. 탈춤은 18세기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아 민중문화에 뿌리를 두고 표현된 예술 형태이다. 지배 체제의 허위의식을 다각도로 비판하며 억눌린 감정을 해소하는 해방적 커뮤니케이션이자 모두 함께 어울려 노는 축제적 성격의 놀이였다. 그 중 강릉관노가면극은 서 낭 제 탈놀이라는 점에서 사회비판적 요소보다는 제의성을 띄고 사회 통합을 지향하는 성격의 가면극이었다. 강릉관노가면극은 전체 무언으로 진행하여 연희 내에서 세속 성을 배제하고 신성성을 높이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춤과 몸짓의 상징적 표현이 강조되어 언어를 대신하는 몸짓언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관중과의 의사교환을 이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유일의 무언극으로서 오로지 춤과 몸짓으로만 연희되는 강릉관노가면극이 지닌 춤 예술 커뮤니케이션의 가치를 인식하고, 그 안에 내재된 관중과의 커뮤니케이션 양상에 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있어서 먼저 커뮤니케이션 개념과 춤이 지닌 커뮤니케이션 기능, 강릉관노가면극의 기원 및 전승, 특징을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강릉관노가면극이 지닌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희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는 무엇이며 메시지 전달을 위해 동원되는 비언어 상징체계는 무엇인지, 또한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는 공간과 시간의 모습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각각 의미적 요소, 기호적 요소, 환경적 요소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강릉관노가면극에 내재된 커뮤니케이션 특징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강릉관노가면극은 춤을 비롯한 비언어 상징체계를 통해 연희가 지닌 의미를 전달한다. 둘째, 연희 내에서 연희자와 관중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공동의 의미를 공유한다. 셋째, 가면극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공동체적 유대의식을 증진시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강릉관노가면극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민중과 의사소통하며 연희된 민속예술이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관중과의 호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강릉관노가면극을 중심으로 자기표현적인 예술을 넘어 관중과 함께 창조하는 공동의 예술이 지닌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춤 예술의 일차적인 표현수단이라 할 수 있는 춤과 몸짓을 중심으로 이뤄진 강릉관노가면극 내의 높은 예술성을 인식하고, 앞으로 공연전반에 있어 대중성과 함께 예술성을 지닌 작품생산을 통해 관객과 자유로이 소통할 수 있는 춤 예술을 이루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