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외상 경험자의 외상 죄책감 특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Title
외상 경험자의 외상 죄책감 특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rauma-related guilt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traumatized victims
Authors
정희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The effects of trauma-related guilt on psychological symptoms have not been studied widely compared to other emotions such as fear. However,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rauma-related guilt could influence psychological adaptation. In order to examine trauma-related guilt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Trauma-Related Guilt Inventory(TRGI)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related guilt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traumatized victims. 32 items developed by Kubany, Haynes, Francis, Manke, Brennanm, and Stahura(1996) went through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dures to be properly adapted. In the preliminary study,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in a 214 traumatized sample. As a result of common factor analysis, 4 factors were yielded: Distress, Wrongdoing, Responsibility/hindsight bias, and Lack of Justification. The TRGI scale had high internal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was replicated through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ther guilt scales. Divergent validity with the self-esteem scale was also appropriate. Following preliminary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243 traumatized s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4 factor model of the preliminary study was better fit than the original model. Differences in levels of trauma-related guilt and psychological symptoms were examined according to a diagnosis of PTSD and types of trauma. First, based on the criteria for a diagnosis of PTS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non PTSD, partial PTSD, and full PTSD group, and each group was tested on guilt levels of TRGI and psychological symptom scores by ANOV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on BSI-18 subscales, the total TRGI score, TRGI 3 subscales(Distress, Responsibility/hindsight bias, and Wrongdo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dividuals with partial PTSD, although somewhat less impaired than those with full PTSD, exhibit meaningful levels of psychological impairment in association with their symptoms. Second, PTSD severity and psychological symptom severity were compared between interpersonal trauma group and non-interpersonal trauma group.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Distress, Responsibility/Hindsight bias, and Wrongdoing subscales as well as in PTSD subscales. Finally,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4 TRGI subscales, Distress and Wrongdoing subscal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everity of posttraumatic symptomatology.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trauma-related guilt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and that trauma-related guilt could contribute to psychological symptoms including PTSD. In addition, they provide strong evidence toward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type of trauma events and associated guilt and guilt cognitions. These findings mean that clinicians need to focus not only on fear but also on trauma-related guilt. Future research needs to focus on expanding knowledge on trauma-related guilt by using the TRGI with other samples and with different types of trauma populations.;본 연구에서는 외상 죄책감이 외상 후 심리적 적응에 있어 중요한 정서 중 하나라는 기존 연구를 토대로, 외상 관련 죄책감 척도를 타당화하고 외상 경험자의 죄책감이 외상 후 심리적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예비 연구에서는 Kubany와 Haynes, Abueg, Manke, Brennan, Stahura(1996)이 개발한 외상 관련 죄책감 척도(Trauma-Related Guilt Inventory, TRGI)를 번안한 후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216명을 대상으로 TRGI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TRGI는 원저자의 연구와 유사한 4요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 역시 양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243명의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예비 연구에서 타당화한 TRGI를 사용하여 외상 유형과 PTSD 진단 여부에 따라 외상 죄책감과 심리적 증상이 차이가 있는지, 외상 죄책감 중 어떤 요인이 심리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PTSD 진단 여부와 외상 유형에 따라서 외상 죄책감과 심리적 증상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과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TRGI의 하위 영역에서 정당성 결여를 제외하고, 비 PTSD, 부분 PTSD, PTSD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당성 결여를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에서 PTSD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부분 PTSD, 비 PTSD 순으로 나타나 부분 PTSD 집단 역시 외상 후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밝혀주었다. 또한 대인간 외상 집단이 단순 외상 집단에 비해 TRGI 하위 영역 중 부정적 스트레스, 책임 및 사후 해석 편향, 부적절한 행동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PTSD 하위 증상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외상 죄책감 중 어떤 요인이 PTSD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TRGI 4개의 하위 요인을 독립 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적절한 행동, 부정적 스트레스가 PTSD 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4개의 하위 변인과 전반적 심리적 증상에 대한 단계적 회귀 분석에서 외상 죄책감 중 부적절한 행동과 부정적 스트레스 하위 요인이 전반적인 심리적 증상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외상 관련 죄책감 척도가 대체로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이며, 외상 유형과 PTSD 진단 여부에 따라 외상 경험자가 느끼는 죄책감에 차이가 있고, 외상 죄책감이 외상 후 심리적 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상 죄책감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외상 경험자를 상담하는데 있어 외상 죄책감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외상 경험자를 상담하는데 있어 외상 죄책감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개입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