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계층별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진로성숙

Title
계층별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진로성숙
Other Titles
A Study on Social Capital and Career Maturity of Children in Family at Each Social Class
Authors
이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인희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직업은 단순히 생계유지의 수단이라는 차원을 넘어 직업을 통해 개인의 가치를 실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진로선택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의식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것은 갑자기 이루어질 수 없는 것으로 진로에 대한 인식이 발달하는 청소년기부터 준비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진로성숙에 관한 많은 실증적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가족 외 요인(학교환경, 진로관련 활동 및 교육요인)이나 가족 요인 중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미치는 요인이 대부분이고,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과의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부모-자녀관계에 있어서 자녀에 대한 부모활동은 사회자본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회자본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개인의 지지체계나 삶의 만족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개념적 틀로 사용하면서, 가족을 둘러싼 여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부모와 자녀관계 측면에서 연구를 축적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가족 내 사회자본이 어느 정도 진로성숙에 영향력을 행사하는지에 대한 보다 밀도 있는 실증적인 분석을 연구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의 효과를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경제자본이 동일한 집단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이 자녀의 진로성숙에 어떻게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이는, 교육을 통해 사회계층 지위의 유지 또는 상승을 위한 한국 사회의 맥락에 근거하여 사회계층이 동일한 집단 내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만약 가족 내 사회자본이 경제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집단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는 부모의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로 인해 야기되는 교육적 불평등이 완화될 수 있으며, 교육이 경제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진다는 사회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개별변인들(가족 내 사회자본(가족 배경의 사회자본,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자본), 가족 외 사회자본(학교 교사 및 친구관계), 진로관련 활동 및 교육요인)을 모두 투입하여 진로성숙과의 회귀분석결과를 보면 상대적으로 가족 외 사회자본 중에서 학교 친구관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부모-자녀관계(신뢰)의 사회자본’이 모든 모형에서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영향력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기존의 진로성숙에 영향력이 있다고 밝혀진 모든 변인들을 통제하고서도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자본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진로성숙이 높게 나타나 부모와 자녀의 친밀한 유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을 높이는 기제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자녀의 진로발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의 영향은 구체적으로 관심, 기대, 신뢰, 애착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분석인 ‘사회자본’의 효과를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경제자본이 동일한 집단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이 자녀의 진로성숙에 어떻게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즉, 경제자본과 사회자본의 상호작용 측면에 초점을 맞춰서 경제자본이 동일한 집단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이 자녀의 진로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기 위해, ‘월 소득’ 수준에 따라 고소득층, 중소득층, 저소득층으로 나누어 보다 면밀하게 진로성숙 결정요인을 회귀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소득층에서는 부모-자녀관계(신뢰)의 사회자본이 자녀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이미 진로와 관련된 좋은 교육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자본’은 활용되지 않고, 다른 경로를 통해 자녀의 진로성숙을 높인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둘째, 중소득층에서는 부모-자녀관계(신뢰)의 사회자본이 진로성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비록 경제적으로 유리함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이것을 대체할 만한 자본으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자본’을 자녀에게 투자함으로써 자녀의 진로성숙을 높이는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저소득층에서는 부모-자녀관계(신뢰)의 사회자본이 진로성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족배경의 사회자본인 ‘형제자매 유무’를 통해 자녀의 진로성숙을 높이는 변인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그들은 자녀의 수를 줄임으로써 자녀에게 뒷받침할 수 있는 경제자본 혹은 그들을 위해 쏟을 수 있는 애정이나 관심과 같은 사회자본의 양을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녀의 진로성숙을 높이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배경이 열악하지만,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자녀의 진로성숙을 높일 수 있다는 믿음을 주었다. 이는 한국적인 풍토에서 사회경제적 배경과 같은 가족 배경이 좋을수록 자녀의 진로성숙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가 높게 나타난다는 결과가 보편적인 상황에서 하나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둘째, 이를 통하여 가족의 월 소득 뿐만 아니라 자녀의 가족배경 중 부모의 학력이 낮거나 어머니가 취업한 상태인 열악한 가정환경의 자녀일지라도 가정생활에서 부모-자녀관계(신뢰)의 사회자본이 풍부하다면 즉,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좀 더 애정을 가지고 그들과 관계를 포용적으로 하면서 가족생활을 유도한다면 얼마든지 열악한 교육적인 환경을 타개하거나 극복할 수 있을 가능성을 본 연구결과에서는 보여주고 있다. 셋째, 가족배경의 사회자본과의 비교뿐만 아니라 가족 외 사회자본인 학교 교사·친구관계와 진로관련활동 및 교육경험과 같이 기존의 진로성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논의되었던 가족 외 요인들이 결핍될지라도 ‘부모-자녀관계(신뢰)의 사회자본’으로 그 결핍을 충족시킨다면 얼마든지 진로성숙발달의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월 소득을 저·중·고로 분류하여 각 수준에서 사회자본이 진로성숙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중소득과 저소득층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은 부모-자녀관계(신뢰)의 사회자본이 중소득층에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자본에 따른 진로성숙의 영향이 소득계층에 따라 상이하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에서는 가족배경의 사회자본 중 ‘형제자매 유무’가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처럼 부모의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로 야기되는 교육적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해 중소득층에서는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자본을, 저소득층에서는 가족배경의 사회자본에서 ‘형제자매 수’를 하나의 자본으로 활용하여 가족 내 사회자본이 자녀의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경제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가족이라도 사회자본을 활용하여 얼마든지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라 생각한다.;In modern society, the profession is not only for living, but also for accomplishing personal achievement. Therefore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have a right attitude and conscience about the selection of the career, and this is not done at once, so it is required to be prepared from adolescence period step by step. So far, many empirical studies about career maturity have been done, however mostly they were concentrated on the factors out of family (school environment, activities related with career and education) or factors from social and economical background in a family, while the study to analyse effects on career maturity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children has been rare. Parents' activities about children in their relationship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The scholars studying social capital are using it to understand the personal supporting system and satisfaction of the life, have accumulated the studies in the aspect of parents and children to understand various situations surrounding family. Accordingly, this study would be carried out to study analysis about how the social capital affects on the family as a factor to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of children. Besides, this study has also analysed how the social capital discriminately influences on the career maturity in the family having the equal economic capital to clearly know the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This is to take a close look at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in family of the group belonging to the same social class on basis of Korean society. If the social capital influences on the group in a disadvantageous stage economically, this can reduce the educational unfairness caused from low social and economical class of the parents and the social problem that education is determined by economical theory could be solved out.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after all the individual factors (social capital in a family (social capital of the family background,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 social capital out of family (relationship with school teachers and friends), activities related with career and educational factors) are applied, it is analysed that the influence from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social capital out of family relatively, however,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trust)' has meaningful influence in all models. And also, as the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 goes upper, career maturity is higher, so it is seen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Next, in order to clearly analyse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s one of the important analysis, the study has examined how social capital of the family in the group having equal economic capital influences discriminately on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Namely, it is focused on the aspect of interaction of economic capital and social capital to study how social capital influences on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in the family of the group having equal economic capital,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done about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career maturity more closely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of 'monthly income', classifying high-middle-low income classes. After analysis, first in high-income class,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 (trust) does no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for children. It is analogized that as they are already revealed in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related with career, social capital between parents-children is not used and improve the career maturity in other ways. Second, in middle-income class, it is reported that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 provides meaningful influences on career maturity of the children by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trust). This result shows that though they does not have economical advantages, they apply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 to their children to make educational environment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Third, in low-income class, it is not verified that social capital between parents-children(trust) does not provide any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however, it is shown that through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siblings' as a social capital of family background, they use it as a factor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In other words, as they reduce the number of the children, they can intensively invest economic capital or the volume of social capital of affection and concern toward their children, then using this, they apply it as a one of factors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If the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study is presented. First, it provides the confidence that though the family background is inadequate, as the social capital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ren goes higher,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can be improved. It would be a new alternative solution in the situation that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family background is better, the career maturity and scholarly achievement become higher. Second, from this, even the children from the background of not only low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but also the parents with low academic ability or the mother having a job can hav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f they have abundant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trust), in other world, if they lead the family life with full of affection and tolerance. Third, it shows that in spite of the lack of the factors out of family background which have been regarded to give the large influence, such as activities related with career selection with school teachers and friends or educational experiences, if the social capital between parents-children(trust) can make up for the deficiency, the children can hav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obstacles against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after analysing how social capital influences on the career maturity in each class which classifies the monthly income as low, middle, high classes, social capital from the families in low and middle income classes, gives positive influence. Specifically,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 (trust) statistically without meaningful influence in high-income and low-income classes appeared in middle-income class. From this, it presents that each income class receives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from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 Besides, in low-income class,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sibling' of social capital in family ground becomes a positive factor for the career maturity. Like this, it shows that to overcome the educational unfairness caused from low social and economical class of the parents, middle-income class uses the social capital of parents-children and low-income class uses 'the number of sibling' as a capital.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shown that even the family in economically low class can hav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obstacles, as taking advantage of social capit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