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연경-
dc.contributor.author이가영-
dc.creator이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5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plan for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of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in the university library which provides selected and organized scholarly web resource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and survey were performed. First, literature research made it possible to explain a definition and importance of the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Also, it included function of systematic subject classification for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Next, for the case studies, 11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s of the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of domestic and foreign were analyzed in terms of coverage of subject area, logicality of system, accuracy of terminology, and efficiency of categorizing and searching. The development plan through case studies is as followings. First, an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which is expanded to sub-divisions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ective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of domestic. Second, in the aspect of coverage of subject area, it needs to reflect tendency of scholarly web resources by subject and user's interest for improving diversity and practical use. Third, in the aspect of logicality of system, it needs to refer traditional library classification for hierarchical logic and standard of subject terms of the classification. Fourth, in the aspect of efficiency of categorizing and searching, a non-decimal classification is better to organize web resources which have active appearance and division for new subject. And using of only main-divisions and sub-divisions makes it possible for an effective browsing at the moment. Finally, to arrange co-related subject topics closely is better than to arrange in alphabetical order for gathering related subjects and distributing scholarly subject topic and general subject topics. Based upon those findings, a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rules. First, 11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s of the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and 3 classification schemes of directory services of internet portal site such as Naver, Daum, and Yahoo! Korea were compared to select common subject topics. Second, main-divisions and sub-divisions were selected by frequency of appearance and tendency of web resources by subject appeared on the 11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s and 3 classification schemes in directory services. Third, an actual categorizing was performed for targeting web resources by subject that were contained on the domestic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It was to verify the practicality of selected topics and to adjust the number of topics. Fourth, main-division and sub-divisions were arranged in the same order of topics in the fif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5). Fifth, terminology of each topics were based on subject terms of the KDC 5 for researchers, student, and librarians. Sixth, survey questionnaire conducted targeting 87 librarians in charge of the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and 40 questionnaire were returned. It was to evaluate the expanded classification and draw further improvements. Finally, based upon the result of analysis and survey, the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service in the university library was suggested in terms of 10 main divisions and 101 sub-divisions.;본 연구는 학술적 웹 자원을 학문 분야별로 군집하고 이용자가 관심 분야의 웹 자원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국내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의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현황조사,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웹 기반 참고정보원의 개념과 필요성을 살피고 웹 자원 분류체계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정리한 후 웹 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의 기능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현황조사를 위해 국내 7개 대학도서관과 국외 4개 웹 기반 참고정보원 서비스의 주제별 분류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첫째, 국내외의 11개 분류체계는 규모나 전개의 깊이에는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학문분류의 성격을 가지고 공통되는 주제 항목이 다수 나타났다. 둘째, 주제의 포괄성 면에서 국내의 경우 중분류 확장전개를 하는 곳이 많지 않아 하위 학문 분야에 대한 포괄성과 새로운 주제의 수용 가능성이 낮은 편이었다. 국외의 경우 학문 분야 이외에도 다양한 주제와 유형의 항목을 포괄해 해당 주제와 관련된 모든 웹 자원을 한곳에 모으고 있었다. 셋째, 분류체계의 논리성 면에서 국내외 모두 대 분류 항목으로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기술과학, 예술 등의 주요 학문 분야를 공통으로 채택하고 있었고 경제‧경영, 교육, 의학 등의 분야도 빈번하게 나타났다. 중분류 항목은 국내에서 중분류 확장전개를 하는 곳의 경우 문헌분류체계와 유사한 학문의 분화나 대학의 전공 분류를 따르고 있었지만 국외의 경우 철학적 학문 분화에 근거하기보다 분야별로 수록된 웹 자원의 양과 웹 상의 학술적 경향에 따라 항목을 세분하고 있었다. 항목의 배열은 국내는 DDC나 KDC와 유사한 문헌 분류 순을 국외는 알파벳순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주제어의 명확성 면에서 국내외 모두 명료한 항목명을 사용하는 편이었으나 지나치게 학술적이거나 긴 항목명을 사용하는 경우 효율성이 저해되었다. 다섯째, 분류와 탐색 시의 효율성 면에서 국내의 경우 학술적으로 유용한 웹 자원을 상당량 수록하고 있음에도 체계적인 중분류 확장전개를 하지 않아 하나의 대 분류 항목에 지나치게 많은 웹 자원이 집중되어 있고 여러 하위 학문 분야의 웹 자 원이 뒤섞여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DDC나 KDC에 기반을 두었을 때 그 의미와 주제 범주가 모호한 ‘총류’가 문제가 되었다. 국외의 경우에는 분야별 웹 자원의 양과 유통 경향을 고려한 실용적인 전개를 하는 편이었지만 전반적으로 항목수가 많고 지나치게 세분된 전개로 브라우징 시 비효율적인 면이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한 국내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적 웹 자원의 특성을 고려해 중분류 이하 확장 전개된 분류체계를 구축한다. 국내의 경우 체계적인 중분류 확장전개를 하는 곳이 드물어 하나의 대 분류 항목에 지나치게 많은 웹 자원이 집중되고 큰 범주 아래 다양한 하위 학문의 웹 자원이 뒤섞여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학술적 웹 자원의 효과적인 분류와 탐색을 위해 중분류 이하로 전개한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포괄적이면서 실용적인 분류체계를 위해 기존의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에 수록된 웹 자원의 주제 분야뿐만 아니라 학술적 웹 자원의 경향을 반영해야 한다. 이는 실물장서와는 차이를 보이는 웹 상의 학문적 경향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실용적으로 구성된 포털 사이트 디렉토리 분류체계를 참조할 수 있다. 셋째, 분류체계의 논리성과 명확성을 위해 문헌분류체계를 참조할 수 있다. 오랜 시간 수정과 보완을 거쳐 보편적인 개념과 계층구조를 지니는 문헌분류체계의 기본 원칙은 웹 자원 분류체계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한국표준분류표인 KDC 제5판은 국내 웹 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에 참조하기에 적절하고 주제어의 선정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새로운 주제의 삽입과 기존 주제의 통‧폐합이 용이한 유연한 분류체계를 위해 비 십진분류 방식을 따른다. 주제의 생성과 분화가 활발한 웹 자원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다섯째, 전개의 깊이는 중분류로 한정한다. 지나치게 깊은 전개는 웹 자원 탐색 시 효율성을 저해하고 현재는 소분류까지 전개할 만큼 하위 학문 분야의 웹 자원이 많지 않다. 여섯째, 항목은 상호 관련된 주제를 인접해 배열한다. 자모순 배열을 하는 경우 유관한 주제가 분산되어 나타나며 학문 분야 항목과 일반 주제 항목이 구분되지 않는다. 이러한 원칙을 토대로 구축한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의 전반적인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웹 기반 참고정보원에 수록된 웹 자원의 주제 분야와 웹 상의 학술적 경향, 이용자의 관심 분야를 반영한 포괄적이고 현실적인 분류체계를 위해 분류체계 분석대상인 국내외 11개 분류체계와 국내 포털 사이트 디렉토리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항목을 선정하였다. 대 분류 항목은 11개 분류체계에서, 중분류 항목은 11개 분류체계와 네이버, 다음, 야후 디렉토리 분류체계의 해당 분야 세부 항목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항목 중 출현빈도가 높은 것을 우선 선정하고 나머지는 웹 상의 학술적 경향과 웹 자원의 양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둘째, 우선 선정한 항목으로 국내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에 수록된 웹 자원을 실제로 분류하여 항목의 실용성을 확인하고 항목 수를 조정하였다. 또한, 대 분류 항목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학문 분야 항목에 분류하기 어려운 웹 자원을 위해 통계, 기관 등의 일반 주제 항목의 삽입 여부를 결정하였다. 셋째, 항목은 상호 관련된 주제를 인접해 배열하였다. 이를 위해 유관 주제의 근접 배열 성이 높은 KDC 제5판의 항목순을 기준으로 하였다. 넷째, 주제어는 연구자와 학생, 사서 모두를 고려하여 학문 분야를 총칭할 수 있는 문헌분류 수준의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KDC 제5판을 주제어 선정 도구로 활용하였다. 다섯째, 1차적으로 설계한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를 평가하였다. 분류체계를 적용해 웹 기반 참고정보원을 운영하고 있는 국내 87개 대학도서관의 담당사서를 대상으로 1차 주제별 분류체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이를 평가하고 추가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여섯째, 설문조사로부터 도출된 개선방안을 적용하여 최종적인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 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의 정의와 범주를 살피고 웹 자원의 주제별 분류 결과를 재검토해 항목을 통합하거나 배제함으로써 전체적인 항목 수를 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0개의 대 분류와 101개의 중분류를 가지는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 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웹 기반 참고정보원에 수록된 웹 자원의 주제 경향과 웹 상의 학술적 경향을 함께 반영한 실용적인 분류체계로서 주제별 웹 기반 참고정보원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C. 선행연구 6 II. 웹기반 참고정보원과 분류체계 16 A. 웹기반 참고정보원의 개념과 필요성 16 B. 웹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의 의의 25 III. 주제별 웹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의 현황 30 A. 국내 30 B. 국외 47 IV. 주제별 웹기반 참고정보원 분류체계의 구축방안 73 A. 기본 원칙 73 B. 구축 과정 75 C. 분류체계 평가 97 D. 분류체계안 제시 105 V. 결론 117 참고문헌 123 부록1. 국내 웹기반 참고정보원 목록 127 부록2. 웹기반 참고정보원 담당사서 대상 설문지 129 ABSTRACT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78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대학도서관의 웹기반 참고정보원 주제별 분류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veloping a Plan for Subject Classification of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in University Library-
dc.creator.othernameLee, Ga-Young-
dc.format.pagexi, 1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