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또래괴롭힘의 심리적 측면에서 바라본 무용창작작품 Why ? 에 관한 연구

Title
또래괴롭힘의 심리적 측면에서 바라본 무용창작작품 Why ? 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about Dance Creation Work Why ? on Mental Aspect from Peer Bullying
Authors
안태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a dance creation work, ‘Why’(2010), whose choreography is based on mentality of children who are suffer from alienation, depression and hopeless under bullying in peer group. Therefore the title was named in a way that the children ask themselves ‘Why’ about their position. Adolescence is seedtime to grow as an independent grownup and children of the period try to be separate mentally from their parents. Thus naturally, the needs of peer group have occurred and they focus on group activities. If the children of adolescence are casted by the group, they would feel alienation, shame, anxiety, depression, sorrow and insult. That leads to decrease problem solving ability, frustration, and sense of hopeless and it interprets formation of right self consciousness. In that case, they consider about suicide and even attempt it so that this work intended to express the situation. Moreover, it tried to have people recognized about the serious problems of bullying in peer group through imaging to working items to deliver the subject of work effectively. Dance creation work, ‘Why ?’, researched from dividing its meaning into subject and content, stage formation and scene, moving path and movement of dancer, use of item. The character of each scene is as follows. Scene 1 described the student feeling of isolation, loneliness and stifling from keeping distance from their peer groups, most case of bullying. It limits space of dancer and the dancer moves only at right side of stage. The extent of movement is low and the movement shows real expression movement in its figure such as tapping chest and sighing. Add to that, red and white color of mannequin means desire of students to be rid of bullying and their liberal situation. This scene, at last, already highlights mental image which is the base of work from the beginning of chapter 1, and intends to lead the whole mood of this work. Scene 2 expressed mental conflicts between the desire to attain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and its unrealized reality so that it used bisected space. On right side of stage, dancer shows painful feeling under bullying, and the movement and motion of dancer is figured in straight line, strengthening the meaning of red scarf of mannequin. At the same time, left side of stage expresses desire of escape the situation, stressing white scarf of mannequin. Scene 3 expresses every case of experienced mentality under bullying so that it images a person in swamp. The movement of dancer is limited only at right side of stage with pattern of straight line in its figure. It is fast and strong movement, on the other hand, it escalates tension through sudden stop and rapid direction change in its movement. Scene 4 is related to scene 3, which the person is drowned on the bottom of swamp because the mind of escape dies, feeling desperate. This scene shows mentality of victim student and the student escapes the situation from suicide. The movement of dancer is slow, soft and calm. Also, it has curve figure moving from right to left of the stage. In the meantime, the extent of movement is on upper body so that the movement of lower body is framed to move only. Moreover, it infers suicide as the dancer connects with white scarf of mannequin at the end of work. Therefore it etches seriousness because the bullying reaches extreme level in the end. As follows, dance creation work ‘Why’ which expressed mentality of student victim under adolescence bullying among society phenomenon, divided each expressed scene into composition of stage and movement. Its image-built scenes processed into complete work. Therefore the work tried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peer bullying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having solution and prevent of peer bullying problem.;오늘날 현대사회는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해 가족의 해체, 인간관계의 단절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인간소외현상을 가져옴으로써 현대인의 심리의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또래 괴롭힘 현상으로 소외감, 우울 감, 무망 감 등을 경험하는 아이들의 심리를 바탕으로 안무되어진 무용창작작품「 why ?」 (2010)에 관한 연구이다. 작품「Why ?」는 괴롭힘을 겪는 아이들이 자신이 처한 상황에 왜? 란 질문을 던지는 방식을 의미한다. 청소년기의 아이들은 자립적인 성인으로 성장해가며 부모로부터 정서적 독립을 준비한다.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또래 집단과의 관계 형성에 몰두하는데, 이 시기에 또래로부터의 배척은 소외감, 자괴감, 불안감, 우울 감, 비애감, 모욕감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문제해결 능력의 감소와 좌절감, 무망 감을 가져 올바른 자아개념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 경우 자살을 생각하고 행동으로 이어지기도 하는 현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소품에 이미지를 부여하여 또래 괴롭힘의 심각성을 인지시키고자 하였다. 무용창작작품「Why ?」는 주제 및 내용과 무대 구성 및 장면,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소품 사용의 의미를 각각 연구하였다. 각 장면마다 보여지는 안무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면 1 은 또래 괴롭힘의 가장 일반적 유형인 소외시키기의 방법으로 피해 학생이 느끼는 소외감을 외로움과 답답한 심리를 표현하였다. 무용수의 공간을 제한하여 상수에서만 움직임을 보이는데, 움직임의 범위는 낮으며 사실적 표현의 동작형태로 가슴 두드림과 한숨을 쉬는 듯한 움직임을 보인다. 또한 마네킹의 붉은 색과 흰 색으로 또래 괴롭힘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과 벗어난 상황을 의미 한다. 이 장면을 통해 작품내용의 바탕이 되는 심리 이미지를 발단 부분에서 미리 부각시켜 전체 작품 분위기를 이끌어가는 의도를 지닌다. 장면 2는 또래들과 긍정적인 관계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과 그렇지 못한 상황으로 심리 갈등을 겪는 장면이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무대 공간을 이등분하여 사용하는데, 상수에서는 또래 괴롭힘으로 괴로운 심리를 표현하여 무용수의 이동 및 움직임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졌고, 마네킹의 붉은 천 의미를 강조하였다. 또한 하수는 곡선의 형태로 벗어나고 싶은 심리를 표현하여 흰 천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장면 3 은 또래 괴롭힘으로 인해 경험하는 모든 심리들을 표출한 장면으로 늪에 빠진 사람의 모습을 이미지화 하였다. 무용수의 이동은 상수공간으로 제한하여 직선적 이동패턴을 보인다. 움직임은 빠르고 강하며 순간적 동작정지와 급격한 방향전환의 움직임으로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장면 4는 사람이 늪의 바닥에 가라앉는 모습과 연결하여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이 좌절되어 절망에 빠진 피해학생의 심리가 드러나는 부분으로써, 자살을 통해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장면이다. 무용수의 움직임은 느리고 부드러우며 조용히 이루어졌다. 또한 곡선의 형태를 띄며 상수에서 하수로 이동한다. 이때 움직임의 범위를 상체에 두어 하체 움직임을 오직 이동하는 것으로만 제한시켰다. 그리고 작품의 마지막을 무용수가 마네킹의 흰 천과의 연결로 끝맺음으로써 자살을 암시하고, 그로 인해 또래 괴롭힘이 극한 상황에 이르게 하는 심각성을 부각시켰다. 이와 같이 현대의 사회현상 중 청소년들의 또래 괴롭힘을 소재로 피해학생의 심리를 표현한 무용창작작품「Why ?」는 각 장면에서 표현한 심리를 무대 구성과 움직임으로 나누어 이미지화 된 장면들을 전개하여 작품을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또래 괴롭힘의 심각성을 인지시키고 또래 괴롭힘에 대한 대처방안과 예방의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