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미-
dc.contributor.author김주희-
dc.creator김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4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492-
dc.description.abstract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 문명의 발생과 함께 생성되어 인간 삶의 한 부분으로 존재해온 가장 근원적이면서 원초적인 표현수단이자 인간과 가장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관계를 가진 예술이다. 이러한 춤이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형태는 한국 전통 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 중 탈춤은 민간들의 정서와 의식, 생각을 충실하게 표현하는 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판이 열렸고, 다수의 사람들이 하나가 되어 공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공동체의 축제성격을 띠면서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춤과 재담, 노래로 맘껏 풀어내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대중들의 바쁜 생활과 춤에 대한 관심부족으로 과거에 민중적이며 대중적이었던 전통탈춤을 접하기 어려워졌고 그로 인해 전통 춤의 모습은 차츰 사라져 갔다. 하지만 최근 한국 춤의 세계화와 대중화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현대에 적합한 전통 춤을 새롭게 창조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에서 등장한 The광대는 전통탈춤을 새롭게 각색하고 연출하여 많은 관객들의 시설을 모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희집단 The광대의 연희 컬 연출형태를 분석하여 전통탈춤 고성오광대의 대중화 양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중화의 개념과 대중화의 제조 건을 살펴보았고, 고성오광대의 역사와 연출형태를 고찰했으며, 구체적인 사례로써 The광대의 연희 컬 중 <타이거 헌터>, <양반 나가신다>, <아비 찾아 뱅뱅 돌아>을 중심으로 각 작품의 연출형태를 분석했다. 그리고 고성 오광 대와 The광대 연희 컬의 연출형태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대중화 양상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The광대의 연희 컬 은 전통탈춤의 옴니버스 스타일(Omnibus style)의 구조를 벗어나 이야기가 있는 서술적 전개구조로 전환한 작품을 창조했다. 이는 관객들의 작품 감상의 이해력을 고려하여 그 내용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연출형태였으며, 전체작품을 이루는 명확한 컨셉트(concept)와 구성요소들의 자연스러운 완결성을 추구하고 있었다. 둘째, The광대의 연희 컬 은 미장센(mise-en-scene)을 통해 다양한 오브제들을 총체적으로 설계한 작품을 무대화시켰다. 이를 통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의 구성과 내용을 가진 전통 공연예술 창작품을 현시대의 다양한 계층의 관객에게 극장무대에서 볼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셋째, The광대의 연희 컬 은 크로스오버(cross-over)를 기반으로 한 현대적인 예술 기법과 매체들을 활용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예술형태를 겸비한 전통 춤의 현대화를 추구했다. 이것은 현대예술이 지향하고 있는 예술성향에 발맞추어 연희 컬 이란 새로운 공연예술장르의 형태와 개념, 작업방식을 창출하고 있었으며, 현대 관객들의 예술적 감각과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작품의 구성과 내용의 표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The광대의 연희 컬 은 대중 매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연희 컬 이란 예술장르와 연희 컬 작품을 대중들에게 보급하였고, 전통예술의 보급화를 비롯하여 현대의 대중들이 극장예술로서의 전통 춤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전통탈춤 고성오광대의 대중화 양상은 예술에 대한 대중의 편견과 예술과 관객간의 괴리를 극복하는 방안으로서 전통예술이 현대적 대중예술로서 발전하기 위한 변화와 창조의 가능성을 시사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발견한 전통탈춤의 대중화 양상은 한국 전통예술이 현대예술과 관객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하고 독창적인 대중예술로서의 창조를 이끈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 전통예술의 폭넓은 대중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In both East and West, the dance, which appeared at the time of rise of human civilization, and became the most basic mean of non-verbal communication, is the most familiar and natural art. A form of dance which expresses relation between dance and our life and feelings can be easily found in Korean traditional dance. Among Korean traditional dances the mask dance (ttal-choom) was a faithful mean of expression of people’s feelings and wisdom. It was easy to perform and appreciated by many people at the same time at any place. Through mask dance masses could relieve their joys and sorrows. But because of the busy life and lack of interest in dance among modern people the traditional ttal-choom that was once so popular among masses is gradually disappearing nowadays. But with the glob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dance th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reappears and Korean traditional dance suitable to modern times is being actively created. The Guangte which appears in this social environment is newly dramatizing traditional dance and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researches the popularity of a Goseong oguangte traditional mask dance by analysis of Yeon-hui-kchol of the domestic The Guangte formation. Taking a look at the concept of popularization and its’ criteria and considering the history and staging of Goseong oguangte the concrete examples among The Guangte’s Yeon-hui-kchol are <Tiger Hunter>, <Yangban Goes Out>, <Wandering in search of father>. Each of the above will be respectively analyzed. Also by comparison of the Goseong oguangte and The Guangte Yeon-hui-kchol’s staging the following popular aspects were found. First of all, The Guangte’s Yeon-hui-kchol structure of the omnibus style of the traditional mask dance disappeared and was converted to a descriptive structure with narration. This staging form took the audience’s understanding capabilities into consideration and was pursuing notions of clear concepts and natural completion of integral elements throughout the performance in order to make the story easily understandable. Second, through the mise-en-scene The Guangte’s Yeon-hui-kchol used diverse objects which were then staged into the complete work. This led to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tructure and content and allowed it to be enjoyed by various audiences today. Third, The Guangte’s Yeon-hui-kchol cross-over takes advantage of the use of modern art techniques and media. By combination of this new and unique form of art it pursues the modern concept of traditional mask dance. The Guangte is matching the modern art trends and creating a notion and form of new performing arts genre called Yeon-hui-kchol. It is also actively applying expressions of content and structure to meet the artistic sense and expectations of the modern audience. Fourth, The Guangte’s Yeon-hui-kchol effectively uses mass media. By this the art of Yeon-hui-kchol is popularized and, together with the propagation of traditional art, today’s audience is offered a chance to watch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Consequently, this research reveals the overcoming of popular critiques and estrangement of Goseong oguangte and it suggests there is a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modern entertainment from the traditional art. In conclusion, we show that by the aspects of traditional mask dance revealed in this study, the Korean traditional art can create unique popular art that is easily approached by the modern art and audience. Thanks to this Korean traditional art can expect wider popular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3 C. 선행연구 고찰 4 II. 이론적 배경 9 A. 대중화의 개념과 제조건 9 1. 대중화의 개념 9 2. 대중화의 제조건 11 B. 전통탈춤 고성오광대의 역사 및 연출형태 22 1. 고성오광대의 역사적 맥락 22 2. 고성오광대의 연출형태 26 III. The 광대 연희컬의 개념 및 특징 35 A. The 광대 연희컬의 개념 및 연출형태 35 1. The 광대 창단배경과 연희컬의 개념 35 2. The 광대 연희컬의 연출형태 39 B. The 광대 연희컬의 특징 55 1. 이야기의 구조화 55 2. 다양한 오브제의 사용 56 3. 타 장르와의 결합 57 4. 대중 매체의 활용과 극장으로의 유입 58 IV. The 광대 연희컬의 대중화 양상 61 A. 서술적 전개방식 61 B. 미장센(mise-en-scene) 61 C. 크로스오버(cross-over) 63 D. 예술의 보급화 64 Ⅴ. 결론 및 제언 65 참고문헌 67 부록 1. 면담 질문지 71 부록 2. ‘The광대’연혁 73 부록 3. 심층면담 내용 원문 76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560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전통탈춤 고성오광대 대중화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The광대' 연희컬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f popular aspects of traditional mask dance Goseong oguangte : With the focus on ‘The Guangte’ Yeon-hui-kchol-
dc.creator.othernameKim, Ju-Hee-
dc.format.pagei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