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숙-
dc.contributor.author김정래-
dc.creator김정래-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4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47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사위 자료를 종합하고 춤사위의 유형과 특징, 그리고 형태를 중점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문헌은『삼국유사』,『삼국사기』『삼국지』,『후한서』,『통전』,『구 당서』,『태평 어람』,『도덕경』,『북 사』등의 원전과 선행연구를 참조하였고, 벽화는 안 악3호분, 고산 동 10호분, 무용 총, 수산 리 고분, 마선구 1호분, 장천 1호분, 통 구 12호분, 팔 청 리 고분, 오 회 분 4호 묘, 오 회분 5호 묘의 것을 대상으로 총 10기의 벽화를 선별하였다. 연구방법은 본 연구자가 가장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분석했다고 판단한 5개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특히, 3세기말부터 7세기까지의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을 5개의 유형별로 분류하여 춤사위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였고, 시기별로 춤사위의 기능이 어떠한 변화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매 춤’의 무용 총에서는 역동적인 춤사위를 보이며, 장천 1 호 분의 경우 오른발로 중심을 잡고 무릎을 굽혀 왼발을 들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마선구 1호 분은 발을 앞으로 내딛는 동작으로 보았고, 통 구 12호 분은 쌍인 무로 해석하였다. 고산 동 10 호 분의 경우 소매 춤으로 분류하였고, ‘무소매 춤’의 안 악 3 호 분은 두 명의 악사는 직립한 채로 가벼운 동작을 하는 것으로 유추하였다. 둘째, ‘군사 춤’의 경우, 안 악 3호 분의 궁 검 춤은 춤의 성격상 활을 들고 있다고 보았고, 창 춤의 경우 칼이 아닌 긴 창을 들고 춤을 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통 구 12호 분은 칼춤을 통해 전쟁의 단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오락 춤’을 보여주는 팔 청 리 고분은 전문성을 보이는 예술 춤으로, 칼춤의 경우 검술동작을 연희화한 것으로, 그리고 말 타기 춤은 기예 춤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수산 리 고분의 공 춤 에서 보이는 원형 물체는 공이라고 판단하였고, 같은 벽화의 수레 바퀴 춤은 당시 민족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았다. 장천 1호분 의 말 타기 춤과 원숭이 놀이 춤은 동물과 호흡을 맞춰 기교를 부리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무예 춤’의 경우, 무용 총의 수박 춤 에선 왼쪽과 오른쪽 사람이 손뼉을 치며 각각 공격과 수비하는 무예동작을 하고 있고, 안 악 3호 분의 수박 춤은 놀이적 성격의 무예동작으로 보았다. 또한, 장천 1호 분의 씨 름 춤에서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반면, 역사 춤의 경우 강력한 국력을 표현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다섯째, ‘신•선인 춤’은 영혼불멸의 사상을 내포한 춤을 묘사하고 있다고 보았다. 여섯째, 고구려 춤에 사용된 기본 춤사위를 상체 사위, 하체 사위, 그리고 몸 사위로 구분하였다. 상체와 하체 사위의 경우 초기의 단순한 움직임에서 후기로 갈수록 역동적인 형태로 변화해간다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몸 사위의 경우 초기에는 현실적인 의미를 강조하였지만, 후기로 갈수록 그 의미가 탈 현실화되면서 비상(飛上)하고자 하는 원초적 욕망을 보여준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사위 유형과 특징, 그리고 형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고구려 춤은 물론 나아가 우리 춤의 뿌리를 제대로 해석하는 계기를 가지게 될 뿐 아니라, 무용 학의 거점을 넓힐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size information concerning the oriental dance motion portrayed on the ancient Goguryeo tomb murals and to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Precedent studies on 『Samguk Yusa』,『Samguk Sagi』,『Samguk Ji』,『Huhan Seo』,『Tong Jeon』,『Gudang Seo』,『Taepyongeoram』,『Doduckyoeng』, and『Buksa』were used as a reference of this research. 10 different murals were selected from Anack No. 3 Tomb, Gosandong No. 10 Tomb, Muyougchong, Susanli ancient tomb, Maseongu No. 1 Tomb, Jangchen No. 1 Tomb, Tonggu No. 12 Tomb, Palcheongli ancient tomb, Ohwebun No. 4 Tomb, and Ohwebun No. 5 Tomb. Five precedent studies of which the researcher found most adequate and comprehensively organized were selected to be comparatively analyzed for the research methode. Especially, tomb murals between the third and seventh century were considered to divide the dances into five different sections. Moreover, the changes of the functions of each oriental dance motions according to their tim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th ‘Sleeve dance' and ‘Sleeveless dance' compared to recent studies. Dynamic oriental dance movement could be found in Muyougchong while, in the case of Jangchen No. 1 Tomb, the right foot acted as the pivot while bending the knees during the elevation of the left foot. Maseongu No. 1 Tomb saw it as a foot step forward, and Tonggu No. 12 Tomb examined it to be Pair dance. Gosandong No. 10 Tomb classified it as Sleeve dance, and Anack No. 3 Tomb is interpreted as two musicians standing and slightly moving. Second, in the case of Military dance, Bow-sward dance of Anack No. 3 Tomb is concluded to be holding a bow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Spear dance is judged to be holding a spear instead of a sword. To add, Tonggu No. 12 Tomb portrays war of the days through Sward dance. Third, Amusement dance shown in Palcheongli ancient tomb is analyzed to be an artistic dance considering its professionality, while Sward dance was derived from the movement of fencing. Horse-riding dance was examined to be a martial dance, while round object of Ball dance of Susanli ancient tomb was to be concluded a ball. Wheel dance in the same mural is seen to imply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the time. Both Horse-riding dance and Monkey-playing dance are considered as a technique training with the animals. Forth, in the case of Martial art, Hand-clapping dance of Muyougchong mural is interpreted as the left person clapping the hand of the person on the right symbolizing attack and defence. Hand-clapping in the Anack No. 3 Tomb, however, sees it as a recreation type of martial art movement. Ssireum dance of Jangcheon No. 1 Tomb shows the lifestyle of the people while Strong-man dance shows the powerful strength which the nation had. Fifth, God and taoist hermit dance portrayed the idea of never dying spirits. Sixth, the basic movement used in the oriental dance of Goguryeo is divided in to the upper, lower and trunk movement of the body. As the dance gets to its climax, the simpl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body changes its motion more dynamically. Although, at first, the movement focuses on the practical meaning, as the dance reaches the end, it portrays its instinct to soar up. Accordingly this analyzation of the oriental dance motion's type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will give the chance to understand the origin of Korean dances and fundamental data to widen the area of d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3 Ⅱ. 고구려 고분벽화의 이론적 배경 5 A. 고구려의 시대적 배경 5 1. 사회·문화적 배경 5 2. 종교·사상적 배경 11 B. 고구려 고분벽화의 이해 15 1. 고구려 고분벽화의 분포 15 2. 고구려 고분벽화의 유형 19 Ⅲ.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사위 유형과 특징 26 A. 소매춤 및 무소매춤 26 1. 무용총 27 2. 장천 1호분 31 3. 마선구 1호분 36 4. 통구 12호분 39 5. 고산동 10호분 44 6. 안악 3호분 47 B. 군사춤 49 1. 안악 3호분 50 2. 통구 12호분 54 C. 오락춤 55 1. 수산리 고분 55 2. 팔청리 고분 57 3. 장천 1호분 60 D. 무예춤 63 1. 무용총 63 2. 안악 3호분 66 3. 장천 1호분 67 E. 신·선인춤 69 1. 오회분 4호묘 70 2. 오회분 5호묘 76 Ⅳ. 시기별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사위 형태 분석 80 A. 상체사위 80 B. 하체사위 84 C. 몸사위 87 Ⅴ. 결론 89 참고문헌 93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520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사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Oriental Dance Motion Portraed on the Ancient Goguryeo Tomb-
dc.creator.othernameKim, Jung-Rae-
dc.format.pageix,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