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대금산조와 봉장취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Title
대금산조와 봉장취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Daegeum Sanjo and Bongjangchui : On the basis of Park jonggi's Bongjangchui and Han Juhwan's Daegeum Sanjo
Authors
임미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Sanjo ,among the traditional music present, is a solo instrumental music with a great formality and one which requires experts with skilled crafts. There are two theories about the origin of Sanjo. one is that each Sanjo is originated from Gayageum Sanjo made by a musician Kim Chang Jo, and the other is that each Sanjo is originated from Shinawi. but there is not exact origin. One of the San-jo's related music considered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Sanjo is Bongjangchui. Bongjangchui is the music in which solo instrumental music Sanjo is played in ensemble form. In other words, Bongjangchui is the music which had been played in solo, concerted music ,or ensemble form and had existed before the music named "Sanjo" which is played by each instruments like the current form played was formed. it is considered that San-jo was formed like the current form by absorbing many part of Bongjangchui. This thesis is contemplated on the relevance of the two music "Park jonggi's Bongjangchui and Hanjuhawn's Daegeum Sanjo" by examining each musical activities of Park jonggi and Han juhawn ,an initiator and player of Sanjo, by transcribing directly Jajinmori rhythm of a record "korai CM809-B which contains bird melody and Jajinmori rhythm of Daegeum Sanjo Ⅱ of a record "Han juhawn's music world" in order to compare widely Park jonggi's Bongjangchui with Han juhawn's Haegeum Sanjo, by separating them by its rhythm, note, and melody’s beginging motive and cadance form, and by examing them. According to it, the result is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rhythm of them, both Bongjangchui and Han Juhawn's Jajinmori proceed with a beat by dotted quarter notes(󰁜×4). Although their tempo take slow jajinmori form which appears as a tempo 󰁜= 70, generally the rhythm of Bongjangchui tends to be heard less and Bongjangchui uses a rhythm in normal form and it is hard to find a modified rhythm. Unlike Bongjangchui, Han juhawn's Daegaum Sanjo at first begins to proceed with normal form of leisurely jajinmori rhythm whose tempo is as a tempo 󰁜=75-80, and the more it is in progress, the faster it is. Also, it sounds loudly with a variously modified rhythm. Second, bird melody is in both Han Juhwan's Daegeum Sanjo and Bongjangchui. Bongjangchui appears that the Gayageum copies bird melody of the Daegeum and those melodies are crossed each other. But Han Juhwan's Daegeum Sanjo has highpitched range and hemiola melodies bch des bird melody of Bongjangchui. By comparison of their bird melody,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fact that Han Juhwan's Daegeum Sanjo which makes use of various melodies and rhythms is more advanced than Bongjangchui.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Bongjangchui and Han Juhwan's Daegeum Sanjo Jajinmori rhythm by it's beginning motive and cadence form classified by the paragraph, both musics have beginning motive whose form is compound times. And it is possible to know that both musics have kyemeankey scale whose dominant keys are 淋, 중, 汰, and 南. But, Bongjangchui go along with keymeankey constantly, unlike Han Juhwan's Daegeum Sanjo whose mood change from keymean key to Hogeolje and back into keymean key. As above, as a result of analysis and comparison of two music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melodies, rhythms, beginning motive and cadence form, Bongjangchui and Han Juhwan's Daegeum Sanjo have the similarities. Two musics both have form of crossed tune, and similar ornament. These Similarities in the cs uty form and structure of Bongjangchui and Sanjo mheseit possible to figure out the great influence on development of Sanjo. And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Daegeum Sanjo, which receive and develop Bongjangchui, is more advanced and structured music in that it makes use of complex rhythm and various melodies than those of Bongjangchui.;산조는 현존하는 전통음악 가운데 빼어난 형식미를 갖춘 기악 독주음악으로 기교적인 숙련을 요구하는 전문가들의 음악이다. 산조의 연원에 대하여 김창조가 만든 가야금 산조에서 각 산조가 발생하였다고 하는 이론과 시나위에서 파생되었다는 이론이 있으나 정확한 연원은 밝혀지지 않았다. 후기 산조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시 되는 관련악곡으로 봉장취가 있다. 봉장취는 독주곡인 산조를 합주곡 형태로 연주한 음악으로, 현행과 같이 각 악기별로 연주하는 산조가 형성되기 이전에 독주나 병주 혹은 합주로 연주되던 음악을 일컫는 말이다. 산조는 봉장취의 많은 부분을 받아들여 오늘날의 모습으로 발전하였다. 본고는 대금산조의 창시자이며 연주자인 박종기와, 한주환 각자의 음악활동을 알아보고, 박종기의 봉장취 음악과 한주환의 대금 산조를 폭넓게 비교하기 위하여 새소리 선율형이 등장하는 음반인 korai CM809-B 자진모리장단과 ‘한주환의 음악세계’ 음반에 수록된 대금산조Ⅱ의 자진모리장단을 직접 채보하고 장단, 새소리 선율형, 내드름 및 종지형으로 나누어 분석 하여 두 음악의 관련성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장단을 분석한 결과 두 음악 모두 점 4분 음표(󰁜×4)를 한 박으로 진행하며, 템포는 늦은 자진모리 형태를 취한다. 봉장취는 전체적으로 장단 소리가 작게 들리고 기본 장단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에 한주환류 대금산조는 기본 장단으로 시작하며, 음악이 고조될수록 다양하게 변형된 장단과 함께 속도가 빨라지고 장단 소리 역시 크게 들리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새소리 선율형은 봉장취와 한주환류 대금산조 두 곡 모두 등장하는 선율 형이다. 봉장취는 대금과 가야금 두 악기가 서로 번갈아 가며 연주하는데 그 형태는 대금이 새소리 선율을 연주하면, 가야금이 대금선율을 흉내 내는 것이다. 한주환류 대금산조는 봉장취와 동일하게 나타나는 새소리 선율 외에도 상청에서 내는 음정과 헤미올라의 리듬 형태가 자주 등장하여 새소리 선율이 다양하게 구사된다. 새소리 선율형 비교를 통해서, 봉장취에 비해 다양한 선율과 리듬 형태를 구사하고 있는 한주환류 대금 산조를 발견하였다. 셋째, 단락별로 구분한 내드름 및 종지형을 분석 해 본 결과, 봉장취와 한주환류 대금산조 두 음악 모두 도입구의 내드름 형식이 ‘대마디 대장단’으로 시작하였다. 또한 본청을 淋으로하고 중, 汰, 南을 주음으로 하는 두 음악이 계면조임을 확인하였다. 구성 음이 변하면서 계면조-호걸제-계면조로 음악의 분위기가 조금씩 변하는 한주환류 대금산조와는 다르게 봉장취는 끝까지 계면조로 음악을 진행 하는 차이가 있었다. 이상 두 음악을 장단, 새소리 선율형, 내드름 및 종지형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고 비교해 본 결과, 가락이 대비되는 형태의 새소리 선율형과 장단, 꺾는 음, 시김새 등에서 봉장취와 한주환류 대금 산조가 유사하게 닮아있었고, 이로부터 봉장취가 산조음악이 형성되는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봉장취를 수용하고, 발전시킨 대금산조는 봉장취에 비해 복잡한 리듬형태와 선율을 다양하게 구사하여 더욱 짜임새 있는 음악으로 발전하였다는 결론을 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