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Duo-trio test sensitivity

Title
Duo-trio test sensitivity
Authors
김민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Duo-trio test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overall difference tests. To investigate more sensitive version of the duo-trio test procedure,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reference scheme such as the number, position and nature, on the sensitivity of the duo-trio tests were investigated using tomato juice with various salt concentrations based on a roving discrimination design in two experiments. In the Experiment 1, the sensitivities of three versions of duo-trio tests (DTF, DTM and DTFR)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reference stimulus. Estimates of d?S indicated a superior sensitivity of the duo-trio when the reference was tasted twice, first and last as a reminder (DTFR),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traditional duo-trio (DTF) and the duo-trio with the reference tasted in the middle (DTM). In the DTFR and DTM, the sequence of the last two stimuli in the te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st sensitivity, probably due to its aid in identifying the sensory dimension of difference. Comparison of the test sensitivity of the DTF and DTM tests for sequences having the same ordering (WWS or SSW) revealed that d?S estimates tended to be higher for the DTF, despite the suggestion that the memory requirement is reduced in the DTM. In the Experiment 2, a newly modified version (DTFM; duo-trio with the reference presented twice, first and middle) as well as three versions of duo-trio tests as described above, were conducted under the two different reference schemes (constant-reference scheme and balanced-reference scheme) in order to additionally study the effects of not only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reference, but also the range. Across the four protocols, estimates of d?S indicated that test sensitivity was superior when the reference was constant, compared to when the reference was balanced. These findings were probably due to cognitive effects stabilizing discriminative dimension, thereby leading to reduced errors in sensory distance measures. Comparison of d?S estimates among four test sequences within each protocol revealed that only protocols having a single reference (DTF and DTM) showed significant sequence effects. For DTF, having a stronger stimulus as a reference (W-odd) was superior to the tests having a weaker stimulus as reference (S-odd), while the opposite was true for DTM. In the presen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roviding the reference twice did not harm the test sensitivity, as it help subjects stabilize the discriminative dimension, although it could increase the fatigue and memory load. Within each protocol, there was a significant sequence effect, influenced by the actual order of the stimuli presented in a test rather than the number of stronger stimuli. Especially, the discrepancies in test sensitivity between DTF and DTM were successfully explained by the Sequential Perception Analysis model, developed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response biases such as the position bias, adaptations, contrasts effects, and the first tasting bias.;일‧이점 검사 (duo-trio test)는 식품 학계 및 산업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종합적인 차이식별검사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토마토 주스를 roving design으로 평가하여 첫째,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 일‧이점 검사 수행 시 발생하는 응답 오류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둘째, 이들 일‧이점 검사 방법들간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비교하여, 더 예민한 평가방법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제공되는 기준검사물의 수와 제시위치가 다른 세 가지 일‧이점 검사의 상대적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연구된 방법은, 기준검사물이 먼저 제시되고 이어서 두 평가시료가 제시되는 ‘전통적 일‧이점 검사(DTF)’와, 기준검사물을 평가하고자 하는 두 시료의 중간에 제시하여 기준검사물과 각 평가시료가 직접 비교될 수 있도록 제안된 ‘기준시료 중간-일‧이점 검사(DTM)’, 그리고 전통적인 일‧이점 검사의 시료 제시와 동일하되, reminder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마지막에 기준검사물을 한번 더 제공하는 ‘두 기준시료-일‧이점 검사(DTFR)’였다. 각 검사방법의 예민도를 d´으로 계산하여 비교해본 결과, DTFR이 DTF, DTM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예민도를 나타냈고, 특히 DTM과 DTFR의 경우, 한 평가 내에서 마지막에 제공되는 두 검사물이 동일할 때, 유의적으로 높은 예민도를 나타내었다 (p≤0.05). DTF와 DTM에서 동일한 시료 구성(시료제시순서)을 갖는 평가들 간의 비교 시, DTM에서 요구되는 memory load가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DTF의 예민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는, 제공되는 기준검사물의 수와 제시위치가 다른 네 가지 일‧이점 검사에 대하여 두 가지 다른 평가조건 하에서 상대적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연구된 방법은, 실험 1에서 연구된 세 가지 방법과, 기준검사물이 처음과 중간에 제시되는 ‘두 기준시료 처음-중간 일‧이점 검사(DTFM)’였고, 이러한 네 가지 종류의 검사방법을 기준검사물이 균형되게 제시되는 조건과 일관되게 제시되는 조건하에서 평가하였다. 각 검사방법의 예민도를 d´으로 계산하여 두 가지 다른 평가조건을 비교해본 결과, 기준검사물이 일관되게 제시되는 일‧이점검사가, 균형되게 제시되는 일‧이점검사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예민도를 나타내었다 (p≤0.05). 기준검사물이 균형되게 제시되는 경우에서는 DTFR이 실험 1에서와 같이 가장 높은 예민도를 나타낸 반면, 일관되게 제시되는 경우 내에서는 DTFM이 더 높은 예민도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한 평가 내에서 기준검사물이 한 번 제공되는 검사(DTF, DTM)에서만 시료구성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고, DTF에서는 상대적 자극강도가 강한 시료가 기준검사물로써 제공되는 경우가 약한 시료가 제공되는 경우보다 높은 차이식별 예민도를 나타내었고, DTM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료와 같은 간단한 식품 평가 시에는 한 평가 내에서 기준검사물을 한번 더 제시하는 것이, 비록 감각피로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감각차이식별 축을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평가 예민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각 평가방법 내에서는 검사물 간의 실제 제시 순서에 따라 예민도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존재하였고, 또한 시료구성이 동일하더라도 기준검사물의 위치가 다르면 memory뿐 아니라 다른 인지적인 정보처리과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예민도가 달라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평가방법 간의 차이는 first tasting bias, contrast effect, time order error 및 adaptation 등의 정신물리학적 및 인지적 요인들에 의한 영향으로 발생하며, 이러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을 본 논문에서는 Sequential Perception Analysis (SPA) 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