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정열-
dc.contributor.author임지은-
dc.creator임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6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0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610-
dc.description.abstract소득이동성은 장기적 소득불평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볼 때 중요한 지표이다. 소득이동성에는 여러 가지 개념이 존재하나 본 연구는 소득 계층별 소득 이동성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에서 조사된 가구를 저소득층, 중산층, 고소득층으로 나누고 프로빗 모형을 사용하여 각 계층의 소득 이동성 결정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1년간 소득이동과 5년간 소득이동 결과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단기와 중기의 소득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달라지는지 여부와 그 효과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러나 충분한 시계열이 확보되지 않아 패널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합동 자료로서 분석하여 다른 거시 변수들의 영향은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실증분석 결과 소득 계층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구주 교육수준, 취업상태 변화, 가구주 직종, 가구 내 고령자 비율, 취업자 수 비율이 나타났다. 이 외에도 기준 연도에 가구주가 임금근로자였는지 자영업자였는지 여부와 가구주 성별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난 모형도 있었다. 또한 가구 특성으로는 고령자 비율이 소득 계층 이동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비율은 대체로 계층 상승 확률을 낮추고 하락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 비율의 경우 고소득층을 제외한 저소득층이나 중산층에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Income mobility is an important index as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 long-term income inequalities considering its effect on society and economy. Although there are several concepts of income mobility, this paper focuses on analysing the determinant of income class mobility. This paper classifies the households surveyed in KLIPS into three income classes which includes low-income class, middle-income class and high-income class with the purpose of analysing each classes' income mobility determinant using Probit model. By suggesting both one-year mobility and five-year mobility,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variables which are significant in short-term to those significant in mid-term and the size of marginal effects in each cases. However, this thesis has limitations that it did not include the macroeconomic variables as explainatory variables since KLIPS panel data set was considered and analysed as pooled data set due to the short time-serie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it is shown that householder's education level, changes in employment state and job classification are significant. In some models, whether the householder is employed or self-employed in initial year and the householder's gender are also significant. Additionally, as properties of households, the ratio of elderly household members and the ratio of working members are significant. The ratio of elderly household members mostly reduces probability of upward mobility and raises probability of downward mobility. The ratio of working members is shown that i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income mobility of household except high-income class househo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선행연구 4 A. 기존 연구 정리 4 B. 기존 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8 III.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10 A. 분석자료 및 변수 설명 10 B. 분석방법 25 IV. 실증분석 30 A. 이행행렬 및 계층 변화와 독립변수 30 B. 절대 소득 계층별 이동 분석 36 C. 이동 확률 추정 및 예측 45 V. 결론 48 참고문헌 51 부록 57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31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소득 계층 이동 결정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 of income class mobility-
dc.creator.othernameLim, Ji-eun-
dc.format.pagev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제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