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6 Download: 0

신국론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사상과 하우어와스의 교회론 연구

Title
신국론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사상과 하우어와스의 교회론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Political Thought of Augustinus in The City of God and Ecclesiology of Stanley M. Hauerwas
Authors
이남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명수
Abstract
Aurelius Augustinus(354.11.13~430.8.28) is a theologian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Christian theology. His idea that presents in-depth study on the nature of human reality has influenced not only theology but also the tradition of western philosophy.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human nature through his early view on human being and time. It is also helpful to discover his later political idea appeared in The City of God(De civitas Dei), which based on his unique perspective on human being and time that comprehends a human being as a sinner, especially for Christians of today to reflect their identities who are freely open to be mingled with the secular world. Particularly, his concept of ‘two cities’, which explains the history of ‘the city of God’ and ‘the earthly city’ unfold together and separately until the end of the world,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hristians who live in eschatological hope to contemplate what attitude of life they should choose. Such discovery of identity and consideration on attitude are important because actions are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 clear understanding of self existence. To understand the political idea of Augustinus appeared in The City of God, his life and early thoughts need to be considered because his view on politics contains self-examination features related with conversion of individual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 It is also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active writing of the prelate was started after the conversion and he become not to have hope on any worldly matters as shown in many references in The Confessions. B.C.5, the time of confusion when Christianity was blamed for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his thoughts, which were changed through the conversion, turned out to be the foundation of specific writing about the history of two cities. According to Augustinus, two cities consist of two kinds of love: the love toward God(amor Dei) and the love for self(amor Sui). He believed that a human being, the creature modeled after God the Love, also has nature of love. He thought that when a human being loves(caritas) God first, the eternal existence, then the characteristic of the human being can also be permanent so that it can reach the level of stable, everlasting peace in the end. On the contrary, if a human being is in love with mortal subjects, he is not able to be remained in the eternal peace, therefore he becomes to suffer from continuous existential anxiety. In the end, the problem is not the self-love itself, however, problems occur when a human being loves(cupiditas) wrong subject that disturbs the order of love. It can also be considered in the perspective of peace. Every human being wants to pursue peace in order to maintain the good condition for himself. Augustinus believed that such human habit causes the inner desires to control and possess toward the same subject which end up with confusions. In other words, the pursuit of the peace that is only for my own good, not for everyone else, is likely to bring violence and control over one another. This is where the politics comes in. Politics, the necessary evil, is required to temporarily control the human desire to rule and posses and distribute the daily necessities with possibly the most just way. Augustinus admitted the politics in reality only for the role of controlling problems caused by human desires and prevent the bigger confusions. From his perspective, the only solution for above problems is to find the right subject to love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eart, i.e. the direction of love. He thought that the right usage of free will completely depends on the grace of God, not on human beings. Augustinus claimed that the peace brought by political activities in reality is not the same with the everlasting one pursued by Christians, so that Christians should live the life of ‘pilgrim’. Even though Christians live in secular(saeculum)reality and cooperate with political order and system, their ultimate purpose lies in the advent of the kingdom of God. Augustinus stressed that churches on the earth hold the existential appropriateness as a demonstration of the eternal peace of the kingdom of God. Stanely M. Hauerwas, who was influenced by Augustinus and established theological political idea based on his thoughts, described the political influence of church. Church is not precisely accordant with the city of God, yet he thought the duty of church is to let people in the earthly city know the eternal peace. We understand the society as a community of people who have same purpose to achieve. From that point of view, church is also a kind of society and it is this very earth that church will stand on until the end of the world. As long as the church exists as antithetic society compared to the usual societies not losing the original identity and reason of existence, it can play a role to penetrate and criticize the limit politics in reality. It can perform to reveal the limit of the ordinary societies by being the most authentic figure of the church, not by criticizing and condemning for pursuing different types of peace each other. Also, even though church can participate in a area of politics in terms of helping people collaborate with politics in reality to reach more eternal peace, it should always be cautious about that such political participation basically cannot bring everlasting peace. When the political idea of Augustinus, who discussed the problems in reality with spiritual perspective, is misunderstood, it might end up with the life of sectarian who extremely opposes the secular world or with extreme deification of the authority of church which result in the severance between church and the world. But church is required to teach us the tradition of Christianity and lessons of Jesus properly so that we can firmly identify ourselves as Christians. When the identity is confirmed and life becomes accordant with the identity, Christians are able to carry out the role of pilgrim and also the members of antithetic society who are in the community that hopes for eternal peace. It is because Jesus taught that the kingdom of God does not come only to a certain place but it comes to everyone and everywhere. The generation that the peace pursued by church and society is alike has already come. That’s why there has been continuous comments and criticisms saying church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world in every aspect. Looking into the source of the criticism should be the first task Christians and churches must do for solving the problems. This study explains that the source can be found in the political idea of Augustinus, the fist prelate, which influenced Christian theology and tradition in a great deal. Also, the more generally known problem is the recovery of distinguished identity compared to the secular world. To restore the identity that can penetrate the sensitive conscience and the limit of peace pursued by society, ‘who we are and what we should live for in the secular(saeculum) world’ must be asked. And the answer can be found in the two cities of Augustinus.;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354.11.13~430.8.28)는 기독교 신학의 초석을 둔 신학자이다. 인간 현실의 본질을 심도 있게 다룬 그의 사상은 신학 뿐 아니라 서양 철학 전통에 있어서도 확고한 자리를 갖는다. 본 논문은 먼저 아우구스티누스의 전기 사상에 해당하는 인간관과 시간 관을 통해 드러나는 인간 본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간을 죄인으로 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독특한 인간관과 시간의식을 토대로 펼쳐지는 아우구스티누스의 후기 저작 『신 국론』에 나타난 그의 정치사상을 발견하는 것은 세상과 합하는 것에 대해 거리낌 없는 오늘날 그리스도인의 자기 정체성 반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별히 ‘하나님의 도성’과 ‘지상의 도성’의 역사가 종말 이전까지 함께 또 따로 진행된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성’ 개념은 종말론적 희망을 갖고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에게 어떤 삶의 자세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지 깊게 생각해 보게 한다. 이러한 정체성 발견과 삶의 태도에 대한 고찰이 중요한 것은 본 논문은 자기 존재에 대한 명확한 이해로부터 사람의 행동이 시작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신 국론』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사상 이해를 위해 그의 삶과 이전 사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은 그의 정치사상은 개인의 회심과 시대적 상황에 따른 자기성찰적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회심의 순간을 기점으로 교부의 본격적인 저술 활동이 시작되었으며,『고백록』곳곳에서 발견되는 교부의 고백을 통해 더 이상 세상의 것이나 육의 세계에 대한 희망을 갖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회심을 통해 변화된 아우구스티누스의 생각은 BC 5세기 로마의 몰락과 그 이유를 기독교의 탓으로 돌리는 어지러운 상황 속에서 이전부터 계획하고 있던 두 도성의 역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저술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두 도성은 두 가지 사랑, 즉 하나님을 향하는 사랑(amor Dei)와 자기 자신을 위하는 사랑(amor Sui)에 의해 각각 이루어진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사랑이신 하나님에 따라 지어진 인간 역시 사랑하는 본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는 영원한 속성을 갖는 하나님을 사랑(caritas)하게 되면 그 사람의 사랑의 성격 역시 영원한 것이 되고 결국 변하지 않는 안정된 평화의 차원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 반대로 사멸할 차원의 대상을 사랑하게 되면 영원한 평화를 유지할 수 없어 계속해서 존재적 불안에 시달리게 된다. 결국 자기 자신을 위한 사랑을 하는 것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인간이 사랑의 질서에 어긋나는 그릇된 대상을 향한 사랑(cupiditas)을 할 때 문제가 생겨나는 것이다. 이것은 평화와 관련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인간은 모두 자신에게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평화 추구의 습성을 갖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이런 습성이 같은 대상을 두고 인간 내면의 지배욕과 소유욕을 촉발시켜 혼란을 일으킨다고 보았다. 즉 모두에게 좋은 평화가 아닌 나에게 좋은 평화 추구를 위해 사람들은 서로에 대한 폭력과 지배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정치가 필요하다. 삶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물질을 두고 벌이는 인간의 지배욕과 소유욕을 일시적으로 제어하여 최대한 공정하게 나누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필요악으로서 정치가 필요한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현실 정치를 이러한 인간의 본성에 따른 문제를 순간적으로 조정하고 더 큰 혼란을 방지하는 차원에서만 인정했다. 그에게 있어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인간이 자신의 마음의 방향, 즉 사랑의 방향을 돌이켜 올바른 사랑의 대상을 찾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의지를 올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인간에게 달린 문제가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총의 개입을 전제로 한다고 보았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현실 정치 활동을 통해 가져오는 평화가 그리스도인들이 추구하는 영원한 평화와 같은 차원의 것이 아니므로 이 세상을 살 때 ‘나그네’와 같은 삶을 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현세를 살아가면서 정치적 질서와 제도에 협력하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지상의 교회가 그 하나님 나라의 영원한 평화가 무엇인지 지상에 시연하는 존재적 당위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신학적 정치사상을 수립한 하우어와스(Stanley M. Hauerwas)에 따르면 교회가 갖는 정치적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비록 교회가 하나님의 도성과 완벽히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지만, 교회를 통해 지상의 도성에 속한 이들에게 영원한 평화를 알리는 것이 교회의 의무가 된다. 우리는 ‘사회’를 일컬어 같은 목적과 성취하고자 하는 것이 같은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라고 본다. 교회 역시 그런 점에서 하나의 사회이며 종말이 오기 전까지 교회가 있어야 할 곳은 바로 이 땅이다. 교회가 그 정체성과 존재 이유를 잃지 않고 일반 사회와 대조되는 사회로 존재할 때, 교회는 현실 정치의 한계를 통찰하고 비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자가 추구하는 평화가 다르다는 이유로 내놓는 비난과 정죄를 통한 지적이 아닌, 아닌 교회다움을 잃지 않는 교회의 모습 그 자체로 일반 사회의 한계를 드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교회와 교인이 현실 정치와 협력을 이루어 인간이 보다 영원한 차원의 평화에 이를 수 있는 일에 도움을 준다는 뜻에서 일반 정치의 한 영역에 참여할 수는 있지만, 그러한 정치적 참여가 근본적으로 영원한 평화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없다는 점을 늘 조심해야 할 것이다. 현실의 문제를 영적인 눈으로 보고 답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사상을 잘못 이해하면 자칫 세속을 등지는 소 종파적 삶을 초래하거나 교회의 권위를 지나치게 신격화시켜 교회와 세상을 단절시키는 결과를 맞게 된다. 그러나 우리에게 교회가 필요한 것은 기독교의 전통과 예수의 가르침을 올바로 이해하고 배워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것이다. 정체성을 확고히 하여 그 정체성에 합당한 삶을 살 때, 나그네이자 대조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영원한 평화를 소망하는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마땅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예수가 가르친 것은 특정한 한 곳에서만 하나님의 나라가 임한다고 믿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과 모든 곳에 그 나라가 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일반 사회가 추구하는 차원의 평화가 곧 교회와 성도가 추구하는 평화와 별반 다르지 않은 세대가 되었다. 그래서 교회가 세상과 다를 것이 하나도 없다는 지적과 비판이 교회 안팎에서 끊이지 않는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그 비판의 근원이 무엇인지 찾아보는 것이 기독교인과 교회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다. 본 논문은 그 근원을 기독교 신학과 전통에 큰 영향을 미친 초대 교부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본다. 아울러 세상이 더욱 잘 아는 우리의 문제는 곧 세상과 구별되는 정체성 회복이라고 생각한다. 예민한 양심과 일반 사회가 추구하는 평화의 한계를 볼 수 있는 정체성 회복을 위해서는 ‘우리가 어떤 사람들이며 무엇을 위해 이 현세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답을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성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