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한국, 미국, 이스라엘의 과학고등학교 음악교육과정 비교 연구

Title
한국, 미국, 이스라엘의 과학고등학교 음악교육과정 비교 연구
Authors
김덕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about influence and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to science-gifted students, examines and analyzes music curriculum in science high schools at home and abroad, and eventuall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s of study on music education for them. Despit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to science-gifted students, its study has not been conducted actively.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it is true that level of interest in art curriculum of domestic science high schools is very low and even basic study has not been properly carried out. So, prior to study on music curriculum in domestic science high schools, this study firstly examined definition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of science-gifted students, and conducted data research regarding influence and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to them. Also,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s and curriculum of 18 domestic science high schools, and for comparative study of their curriculum, it reviewed music curriculum of science high schools in the US and Israel. Through analysis by country based on this, the study finds issues of music curriculum in domestic science high schools, which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common basic subject『Music』is the only available one in their music curriculum, and any other subjects such as 『Music Practice, 『Music & Society,『Understanding of Music』 as elective course have not been established at all. Secondly, only six schools, one third of total 18 schools, run music education by regular teachers, and remaining schools run through part-time lecturers below six months or visiting adjunct music teachers from neighbour schools. Thirdly, merely five schools have music rooms out of 18 science high schools and other schools conduct music education in various places including audio-visual classrooms and auditoriums. In comparison, the curriculum of science high schools in the US runs music subjects at least three to 11 depending on schools, which outnumbers by far those of domestic high schools. And also its diversity of contents enables the US students to select subjects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and preference. These features of music curriculum in the US may significantly suggest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music curriculum in domestic science high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 curriculum in Israeli science high schools emphasizes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s by means of inter-science approach,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domestic schools centered on science subjects. Based on above deduction, this study proposes methods of study on music education for science-gifted students as below. Music education for science-gifted students should above all start from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educatee 'science-gifted students', and based on this, be followed by full discussion about methods of music education for them. Along the way, music teachers specialized for them should be fostered together with various program developments for music education. Above suggestions would not be materialized in a short time. At this early stage of study on music education for science-gifted students, it is suggested continuous attention and study by music educators be followed.;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에게 있어 음악교육이 미치는 영향력과 그 중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국내•외 과학고등학교에서의 음악교육과정을 조사•분석하여 과학영재를 위한 음악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교육과정에 있어서 국내 과학고등학교에서의 예술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며 기초 연구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과학고등학교의 음악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우선 과학영재들의 정의 및 심리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에게 음악교육이 미치는 영향력과 중요성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국내에 설립된 18개의 과학고등학교의 현황 및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하였고, 국내 과학고등학교의 음악교육과정과의 비교연구를 위하여 미국과 이스라엘의 과학고등학교 음악교육과정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각 국가별 분석을 통해 국내 과학고등학교 음악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국내 과학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등학교에 개설된 음악교과가 국민 공통기본교과의『음악』이 유일하며, 선택중심교과과정의 『음악실기』,『음악사회』,『음악의 이해』는 단 한과목도 개설되어 있지 않다. 둘째, 음악과 정교사가 재직 중인 곳은 단 6곳으로 전체의 1/3에 불과하며 그 이외의 학교들은 6개월 미만의 시간강사를 채용하거나, 인근 고등학교에 재직중인 음악교사가 겸임으로 순회 지도를 하고 있다. 셋째, 전체 18개의 과학고등학교 중에서 음악실이 마련되어 있는 곳은 5곳에 불과하며, 그 이외의 학교들의 경우 시청각실, 강당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음악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 과학고등학교의 음악교육과정은 음악교과목의 수가 학교 별로 최소 3과목에서 11과목까지 개설되어 있어 국내의 현황과 비교해 양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내용적 측면에서도 다양성을 띄고 있어 학생들 각자의 흥미와 선호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이 국내 과학고등학교의 음악교육과정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또한 이스라엘 과학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간 학문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과학과 예술의 만남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과학교과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국내 과학고등학교와 차이를 보인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은 우선 학습대상자인 ‘과학영재’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 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과학영재를 위한 음악교육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그 방법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만 한다. 또한 사회적으로 과학영재에게도 음악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과학영재에 대한 전문성을 지닌 음악교사 육성이 시급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다양한 음악교육프로그램 개발 역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위에서 제언한 내용들은 결코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는 없다. 아직 과학영재를 위한 음악교육연구가 시작 단계인 만큼 음악 교육가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