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4 Download: 0

1930년대 후반 만주국의 동원체제구축을 위한 교육제도 활용양상

Title
1930년대 후반 만주국의 동원체제구축을 위한 교육제도 활용양상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for Mobilizing Minor Ethnic Society in late 1930's Manchukuo : focused on Manchu Jiankuo University
Authors
차현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진세정
Abstract
Manchukuo, established by Imperialist Japan in 1932, was the space had multiple meanings. To Japan, it was a supply base for their imperialistic war. But to immigrants who came from colony of Japan such as Chosun, it meant "El Dorado" in Asia. Since Manchukuo was the projected country by Japan, it was not racially homogeneous. So the government introduced '五族協和' and '王道樂土' as the ideology of the national foundation for justifying their governing. With strong atmosphere asking the role of supply base, the government of Manchukuo tried several actions to mobilize masses effectively. Following this movement, the government issued new educational system in 1938 which called 新學制. I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obscuring the colonized people, training them as labor resources that could be put immediately to the field and fostering some of them as mid-elite to achieve government's policies.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Manchu Jiankuo University, the highest level institution under 新學制. First feature of the University was the fact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Manchurian Concordia Association(協和會), the large organization for mobilizing masses. So the main goal set by the University became 'training future officers' that could make up the need for nationalism and totalitarianism. Consequently they put heavy emphasis on technical education. Another distinct feature was the fact that the University gave students from diverse ethnic groups the opportunity to enter and divided all selected students into several communal life groups which called 塾. That was not only because the University stood for 五族協和, but also because it intended to make them as mid-elite group for mass mobilization. But like the case of Korean immigrant society shows, the Government's intention had just little possibility to achieve their goal through the educational system. That's because it was limited by the old systemic structure which individual society had formed for so lo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Korean Immigrant Society, the local wealthy people held strong leadership representing their society's interest. Also the Society still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even though extraterritorial right was abolished in 1937. With these reasons, it could be assumed that Jianjuo University students who came from colonial Chosun and lacked connection to Korean Immigrant Society couldn't have enough room to accomplished their role as mid-elite. This research's main goal is to analyze the intention of Manchukuo Government and assume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process of performing government's policy in the view of mutual relations with society, especially focused on the Korean Immigrant Society.;1932년 일제에 의해 건립된 滿洲國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 공간이었다. 日帝에게 만주국은 제국주의 전쟁을 위하여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기지였고, 식민지 출신자들에게는 오히려 희망의 공간이기도 했다. 만주국은 구성원이 동일한 정체성을 갖고 있는 민족국가가 아닌 다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라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만주국 정부는 ‘五族協和’와 ‘王道樂土’라는 이데올로기를 등장시켰다. 1930년대 후반 만주국을 동원기지화 하려는 분위기가 강화되면서 만주국 정부는 구성원들을 효과적으로 동원하기 위한 기제를 강화하였다. 새로운 교육제도로써 1938년부터 新學制를 시행하면서 피지배민족계층을 우민화하고 당장 투입 가능한 노동력으로 양성하는 한편 일부를 중간 엘리트로 육성하여 각 민족사회를 통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신학제 하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인 ’滿洲帝國建國大學‘을 중심으로 한다. 건국대학은 協和會와 같은 동원조직과 유기적으로 연관된 대학으로 국가주의․전제주의 정책에 따라 관료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관료로 즉시 활용 가능한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따라서 기능교육 위주로 교과과정이 구성되었고, 졸업 후 관료 진출을 규정으로 명시해 놓고 있었다. 건국대학은 오족협화의 이데올로기를 표방하고 있었기 때문에 각 민족 출신의 학생들을 선발하고 학생들을 ’塾‘을 중심으로 하여 공동 생활하도록 함으로써 공동의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는 사실상 만주국 내에서 민족 갈등을 무마시키고 효과적으로 각 민족을 동원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중간 엘리트(mid-elite)'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재만 조선인 사회의 예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만주국의 교육제도를 활용하여 동원 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던 만주국의 의도는 근본적으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개별 민족 사회가 가지고 있었던 ‘구조’가 국가의 의도에 따라 움직이지 않을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재만 조선인 사회는 지역 유지들이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37년 치외법권의 철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조선총독부와의 연결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식민지 조선 출신으로 재만 조선인 사회와의 연결고리가 약했던 건국대학 출신 조선인들이 ‘중간 엘리트’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었음을 밝힌다. 즉,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국가의 의도를 분석하고 그 의도가 국가와 사회의 상호 관계 속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났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