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이권-
dc.contributor.author유은화-
dc.creator유은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0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67-
dc.description.abstractMost anuran species produce species-specific advertisement calls that are attractive to conspecific females. The calls are loud and are usually produced at specific times, suitable for acoustic monitoring. I recorded mixed-species frog calls in a temporary wetland, using a digital recorder for a day once a week throughout an entire year. There were three frog species Rana dybowskii, Rana nigromaculata, and Hyla japonica in the study site, which was located at the foot of mountains, south of Seoul. R. dybowskii called between late February and mid March, whereas R. nigromaculata and H. japonica started calling at the same time in May. The calling season of R. nigromaculata lasted only for five weeks, whereas that of H. japonica was more than three months. The diel calling patterns showed that R. dybowskii called in the afternoon and at early night before midnight, but R. nigromaculata and H. japonica called throughout the night. The temperature ranges of calling were the highest in H. japonica and the lowest in R. dybowskii. Both R. nigromaculata and H. japonica called with relative humidity over 90 %, but R. dybowskii called at a much wider range of relative humidity. In R. nigromaculata and H. japonica,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the important factors for producing calls, whereas in R. dybowskii, only temperature was the significant factor. There was an indication that R. nigromaculata and H. japonica interacted with each other during calling. That is, R. nigromaculata tended to produce calls, following the calls of H. japonic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coustic monitoring is ideal for understanding calling phenology and species interaction in frogs.;대부분의 양서류들은 번식기에 자기와 같은 종인 암컷들을 유혹하기 위해 종특이성 노래를 갖고 있다. 또한 양서류들의 노래행동은 특정한 시간에 큰 소리로 하기 때문에 음향학적 모니터링을 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 음향학적 모니터링은 일년간 매주 24시간 하루 동안 논에 서식하는 여러 종의 개구리들의 노래활동을 디지털 녹음기를 이용해 녹음함으로써 진행되었다. 성남시 맹산의 산기슭에 위치한 조사지역에서는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3종의 개구리의 노래활동이 관찰되었다. 북방산개구리 2월 하순에서 3월 중순 사이에, 참개구리와 청개구리는 5월부터 노래활동이 관찰되었다. 참개구리의 노래활동은 약 5주간 지속되었으며 청개구리의 노래활동은 3개월 이상 관찰되었다. 북방산개구리의 일일 노래활동은 오후와 이른 저녁에 집중되었고 참개구리와 청개구리의 일일 노래활동은 밤새도록 지속되었다. 3종 중 청개구리는 가장 높은 온도범위에서 노래활동이 관찰되었고 북방산개구리의 경우 가장 낮은 온도범위에서 관찰되었다. 참개구리와 청개구리는 상대습도가 90%이상일 때 노래활동을 하였으나 북방산개구리는 넓은 상대습도 범위에서 노래활동을 하였다. 이를 통해 참개구리와 청개구리에게 온도와 습도는 노래활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고, 북방산개구리는 온도에 의해서 노래활동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모니터링에서 참개구리와 청개구리는 서로 노래활동에 영향을 주고받았고, 참개구리가 청개구리의 노래행동에 따라 노래하는 경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음향학적 모니터링이 노래행동을 통한 생물계절학을 연구와 개구리의 각 종간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에 매우 적합함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4 A. Study species 4 B. Study site 5 C. Acoustic monitoring 7 D. Data analysis 7 E. Statistical analysis 8 Ⅲ. Results 11 A. Seasonal calling pattern 11 B. Diel calling pattern 13 C.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13 D. Interspecific interaction 18 Ⅳ. Discussion 19 A. Seasonal calling pattern 19 B. Diel calling pattern 19 C.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20 D. Interspecific interaction 21 References 24 Appendix 1.Tthe diel calling pattern of each observed day: Rana dybowskii 28 Appendix 2.Tthe diel calling pattern of each observed day: Rana nigromaculata 29 Appendix 3_a.Tthe diel calling pattern of each observed day: Hyla japonica 30 Appendix 3_b.Tthe diel calling pattern of each observed day: Hyla japonica 31 국문초록 32 감사의 말 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8386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Phenology of Amphibian Population through Acoustic Monitoring-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에코과학부-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