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胡適의 文學史 敍述에 관한 硏究

Title
胡適의 文學史 敍述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關於胡適的文學史書寫研究 : 以《白話文學史》爲主
Authors
김혜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석표
Abstract
본 논문은 20세기 초 중국에서 근대적 ‘문학’의 의미가 정립되고, 문학사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에 착안하여, 胡適의 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의미를 연구했다. 1928년에 쓰인《백화문학사(白話文學史)》는 胡適의 쓴 대표적 문학사로서 백화문운동의 연장선상에서 기술되었다. 문학사의 서술 대상이 ‘백화문학’이라는 점에서《백화문학사(白話文學史)》는 기존의 ‘중국문학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고, ‘백화’, ‘문학’ 그리고 ‘역사’라는 세 가지 층위에서 胡適의 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의미를 알아보았다. 2장에서는 胡適이 문학사를 구상하게 되기까지 큰 영향을 미친 당시 학술적 분위기와 胡適 자신의 학술태도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었다. 당시 사학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문학도 역사적 체계로 재편되었다. 그 가운데 백화문학 또한 역사적 근거를 찾고 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또한 학술적 분과체계가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학술 영역이 세분화되었고, 학생들에게 학문 대상의 전체적 윤곽을 제시할 수 있는 역사적 기술 형태가 필요해졌다. 문학 교육과 전파의 도구로서 활용하기 문학사가 등장하였으며, 胡適 또한 국어강습회의 강의록으로서 문학사를 구상하여 편찬하였다. 뿐만 아니라 역사적 진화 관은 胡適이 백화와 고문 문학의 사활(死活)을 논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고, 이를 통해 백화문학을 고문문학에 대체시키고 중국문학의 중심으로 세우려는《백화문학사》의 기본구상이 가능해졌다. 胡適은 듀이 의 실험주의의 영향으로 ‘과학'이 가설과 검증이라는 인식 아래, 송 대(宋代) 이학(理學)과 청 대 고 거 학(考據學)에서 일종의 ’과학적 방법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는 ‘백화문학이 중국문학의 중심부분‘ 이라는 대담한 가설과 사료를 통한 세심한 고증으로서 문학사 서술 가운데 드러났다. 3장에서는 ‘백화’에 대한 胡適의 기본적 인식을 다루었다. ‘백화’는 胡適이 근대적 글쓰기의 자원으로 선택한 언어로서 ‘고문’을 대체하고자 하였다. ‘백화’는 사실상 명 청 대(明淸代) 백화소설의 언어로 일종의 북방 관 화 라 할 수 있다. 胡適은 백화소설이 널리 민중에게 보급되어 있는 것을 보고 일종의 공통어로서 ‘백화’를 발굴하였고, 속어속자를 담은 살아있는 문자로서 ‘백화’를 상정하였다. 그러나 ‘백화’는 언어 개혁의 돌파구로서 선택된 언어적 자원에 부여된 이름이며 하나의 상상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백화’의 개념에서는 그것이 일종의 민중의 언어이며 또한 언문일치를 이루고 있다는 胡適의 인식이 투영되었다. 백화문운동은 당시 언문일치를 지향하는 국어 운동과 긴밀한 연합 가운데, 백화는 근대적 ‘표준국어’로서 의 지위도 획득하게 된다. 胡適은 무엇보다 교육 이나 같은 제도적 장치의 보완보다 문학 생산을 통해 근대적 언어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문학에 기초한 국어의 확립은 근대적 민족국가를 수립하려는 ‘신문학운동’의 핵심과제 중 한 부분이었다. 백화가 표준국어의 위치를 차지함 으로 서 전통의 복고적 글쓰기가 지탱하던 문화 권력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고, 또한 중국에서 근대적 의미의 문학을 구현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胡適의 백화문학에 대한 인식을 다루었다. 胡適은 중국문학의 흐름을 ‘살아있는 문학’으로 서의 백화문학과 이와 대립하는 ‘죽은 문학’으로 서 고문문학을 대립하는 이원적 구조로 제시하였다. 胡適은 기존의 문학 관념에서 철저히 배제되었던 ‘백화문학’을 ‘고문문학’의 대립 상대로 격상시켰고, 이는 ‘평민문학’, ‘민간문학’의 개념이 중국 문학의 무대에 등장 할 수 있게 하였다. 백화가 언문일치를 이루고 있다는 전제는 백화가 뜻과 감정을 구현할 수 있는 문학 언어이란 인식을 가능하게 했다. 이 같은 사고를 문학에 비추어 보면, 백화문학 또한 내면을 반영한 문학이라 생각될 수 있다. 또한 백화문학의 지위를 중국문학의 중심부로 이동시켰다는 것은 일반 민중이 함께 즐기고자 하는 문학을 만들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5장에서는《백화문학사》가 가진 문학사적 특징과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백화문학사》는 문학사 가운데 백화문학의 역사를 찾아, 오늘날 필요한 살아있는 문학이 바로 백화문학이라는 주장에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쓰였다. 胡適은 문학사 가운데 백화문학을 위한 영역을 마련했으며, 문학사에서 다루지 못한 많은 백화문학들을 발굴해냈다. 그러나 동시에 백화 문학에 역사적 의미가 가미 되면서 부득이하게 초창기에 견지했던 백화문학의 정의나 범위에 수정을 가하지 않을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는 ‘백화문학’의 의미가 더욱 모호해졌다.《백화문학사》는 문학사(文學史)가 문학사가(文學史家)의 손을 거친 가공된 산물임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胡適은 당시 백화문운동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있던 시점에서《백화문학사》를 기술하였고, 둘째로 충분한 시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권만 있는 문학사의 나머지 하반부를 이어서 쓰지 않았다. 胡適은 문학사 서술을 통해 드러내고자 의도가 이미 부분밖에 없는 문학사를 통해 다 드러났다. 胡適의 문학사 서술은 그의 문학의식이 구현하고자 가치를 공고히 하고자 한 움직임이었으며, 결국 그 가치는 백화문학이 문학사적 중심 지위를 부여 받음으로 오늘날 중국의 ‘문학’이 되기를 소망한 것이었다. 이는 문학의 생산자와 수요자를 ‘民’의 범위로 확장시킴 으로 서 진정한 ‘오늘날’의 문학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결과적으로는 언어와 문학이란 자원을 통해 하나의 근대적 ‘상상의 공동체’를 구상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 胡適의 문학사 서술은 문학 관념의 주관성과 역사서술의 객관성이 충돌하고 있는데, 강한 주관성에 때문에 시정 해야 할 문제들도 많이 남겼다. 많은 학자들은 胡適의《백화문학사》가 고전문학을 폄하하고 백화문학에 지나치게 편향되어 있으며, 문학의 미적 가치를 홀시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는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예리한 감각과 분명한 사고를 통해 중국문학의 문제 핵심을 잘 찾아내었고 이를 역사적 근거를 통해 논리적 실증하고자 하였다. 문학사 서술에서 드러난 분명한 관점과 체계적인 논증은 새로운 학술적 기풍을 열었으며, 현재와 과거를 관통하고 언어와 문학, 역사를 꿰뚫는 하나의 밑그림을 당시 중국 학술 계에 제시하였다. 胡適은 문학이 사회계급과 교육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이의 진실한 목소리를 담을 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문학이 ‘무엇을 담고 누구를 위해 종사해야 하는지’에 관해 나름의 관점을 제기하며 당시 문학의 외연을 확장시켰다. 胡適의 문학사는 중국에서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만들어내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本論文從文學史書寫的角度來看,考察胡適的文學史著述的特點和意義。 文學史是文學和曆史的結合物, 對某個對象作曆史性的記述,基於作者對於文學和曆史認識的基礎之上。 如果文學這個概念,在曆史限定的過程中通過作者加工來實現,實際上蘊含了作者的個人視角和意見。如果在文學史書寫過程中,隱蔽了作者其中的意圖而我們不能認識到的話,對於文學史及文學我們的認識要應該重新形成。中國文學史書寫是19世紀末眾多學者在探討‘文學’活動中產生出來的。要進行文學史研究,一定要回歸到在‘現代的’意義上文學發生的出發點。我們能夠發現那個出發點上發生文學語言的轉變。 站在現代文學發生的起點上的中心人物是胡適。胡適作爲中國學術思想的代表的人物,通過對文學語言的變革,建設了現代性“新”文學。 胡適在這種文學觀念的延長線上記述了一種中國文學史,這就是1927年出版的《白話文學史》。《白話文學史》的書寫對象是“白話文學”,可以表明這一本中國文學史與既有的中國文學通史,根本是完全不同的。其實《白話文學史》雖然在形式上具有文學史的面貌,可也是具有胡適本人的主觀思想。因而要研究胡適的文學史書寫,應該要從‘白話’和‘白話文學’的概念開始。本論文圍繞從語言到文學,從文學到文學史的意識源流來闡述關於胡適的文學史書寫。 第二章,首先闡述胡適對文學史書寫的構想給以影響的學術上氛圍和學術態度。胡適的文學史的著作,基本上是在曆史研究的興起和國語教育的必要學術氛圍下產生出來的。胡適的文學史書寫態度受了“科學的方法”和“曆史進化論”的影響。 當時史學研究的活躍,西方和日本的文學史著作的傳入,引發了要求用西方知識體系來再寫中國曆史的呼聲。 隨著在教育方面的學術分科體制的西式化, 學術領域也開始細分化,爲學生提供學術面貌的整體輪廓,用曆史性記述方法來書寫各種文學史。最古中國文學史的著作都是作爲文學教學的用具來編撰的。 第三章, 以“白話”爲中心闡述胡適對文學語言的觀念,這是胡適文學思維的來源。 胡適所提倡的“白話”來源於明清時代的白話小說的語言,不是今日的語言而是過去的語言。“白話”是以北方爲中心的官話,只是多種語言形式之一而已。從明清時代人們廣泛愛戴的白話小說裏,胡適找出了合適於新時代的語言資源,其實“白話”是通過有意地選擇來得到“現代性”文學語言的地位。即,“白話”本身的就是一種不存在的語言。“白話”這一語言身上投影了一種‘想象’,這就是民眾的語言,並且還是言文一致可以從聲音直接表達的語言。適要賦予白話作爲文學語言的權威,進而,不是從教育和政治制度的完善,是從文學的生產來創造出現代性的語言。“白話”和當時要求“語言一致”的國語運動緊密聯結,獲得了“標准國語”的地位。國語的確立, 成爲近代性民族國家樹立的核心課題中重要部分。 第四章,以‘白話文學’爲中心, 闡述胡適的文學觀念,這是文學史書寫對象。胡適認爲中國文學由白話文學和古文文學的雙線文學對立發展而來。這一對立關系以‘平民文學’和‘貴族文學’或者‘民間文學’和‘廟堂文學’來可以代替。胡適把以前文學史徹底被排除的‘白話文學’放置於古文文學的對手,‘平民文學’、‘民間文學’的觀念可以登上曆史的舞台上。胡適要把白話文學的地位提升在中國文學的中心,這裏面隱含著創造跟普遍人生一起共享的文學的意圖。在白話是言文一致的提前下,被選爲一種表情達意的手段,白話文學也想到真實地反映主體‘內面’的文學。這種認識裏面強烈的投影胡適的文學觀念,則文學應該是真實地傳達感情的。胡適的文學觀念通過文學史書寫,賦予文學曆史的中心的地位,願望白話文學成爲‘今日’的文學。乃至這使把文學的生產者和消費者的身份擴張到民眾的範圍上,促使真正的意義上‘國語’文學能夠成立。 第五章,以《白話文學史》爲中心,檢討胡適的文學史書寫的特征。以《白話文學史》爲代表的胡適的文學史著作,想要對白話文學的觀點加以曆史性格觀性證據。他在文學史上備置了白話文學的位子,發掘無數價值的白話文學材料。同時,文學觀點作爲文學史編輯時,難免加減,結果他所提說的白話文學的意義,反而變得模糊了。胡適想要書寫文學史的構想從1921年產生,過了7年才完成了一本正式的文學史,就是《白話文學史》(1928)。考慮這一本文學史在一定程度白話文運動結束的時點上記述的,若胡適有充分時間補充這本文學史的後半部,因該可以繼續完成,但沒有寫完。這意味著胡適把自己想要提到的意圖都透露出在已有的半部文學史上。補充缺略的下半沒有本質上大變化,只是文學史的數量上的增加而已。胡適之所以書寫文學史,是因爲將要鞏固他所顯示的文學意識,他強烈希望白話文學采取文學史上的中心地位,而成爲‘今日’的文學。他想要把文學的生產者和消費者擴張到一個‘民’的範圍。通過‘語言’和‘文學’這一資源,打下了可以形成一個‘想象的共同體’的基石。胡適給當時中國學術界提示了一個貫通東西文化,貫穿語言和文學的一個學術的體系。 諸多學者都指出了 胡適的《白話文學史》過於偏向於“白話文學”,較爲忽視文學本身的美的價值等一些文體。在胡適的文學史書寫上,文學觀念的主觀性太突出,與曆史觀念的客觀性不免互相沖突,留下了很多需要糾正的問題。然而,他以敏銳的眼光,廣泛的學術知識來找出了中國文學的問題所在,以曆史的證據來考證白話文學的曆史來源。他的文學史著作,通過分明的觀點和條理的論證,提示了嶄新的學術風格。 本文總結正文的內容,闡述胡適的文學史書的意義。胡適的文學史根本在於對文學語言和文學觀念上產生而來的。胡適的文學史書寫是在言文一致的‘想象’基礎上,打下了形成一種‘想象的共同體’的基石。這‘共同體’是以‘民’爲中心在編的。 胡適想要以語言的改革爲一種突破口而展開的文學的改革。通過語言和文學的改革,引發的社會和文化的改革。胡適主張的文學觀念加以曆史性更爲具有說服力和影響力。本研究的結果,讓筆者可以相信,胡適把文學史書寫采取了加強他文學觀念的一種手段。胡適的文學史書寫是政治上寓言化的產物,這一事實更明顯地表達出文學史是通過文學史家的手裏加工而來的。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