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옥-
dc.contributor.author도현경-
dc.creator도현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6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0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606-
dc.description.abstractHyeonakyeongsanhoesang(the String-Yeongsanhoesang), a suite of nine pieces, is a representative instrumental piece of pungnyu(aestheticenjoymentofnature) music of the Joseon Dynasty. Gunak is the final piece of Yoengsanhoesang and comprises off our jang(section). It is composed off or ty-eight jangdan(rhythmicpattern) in total : tenjangdan in the first jang ; nine jangdan in the second jang ; twenty-two jangdan in the third jang ; and seven jangdan in the fourth jang. Gunak is played by 5 gwaebeop(the positioning method of the frets), while other pieces in Yeongsanghoesang are played in 4 gwaebeopand 7 gwaebeop. Also, it has the Gweonmaseong melody that maintains high tones from thirteenth gak(phrase) to twenty-second gak in the third jang. A separate haetan-garak melody also exists. As a geomun-go player, I was interested in distinctive features of Gunak compared to other pieces and found differences in gweabeop while comparing the current melody with those in the classical scores of the past. Therefore, I discuss the changes of gwaebeop in Gunak of Hyunakyeongsanhoesang and examine the reasons of modifications in gwaebeopbycomparing current Gunak with other classical scores. The current score I examine refers to “JeongakGeomungobo”by Seong Gyeonglin and Hwang Deukju ; the classical scores refer to the eighteen types of scores included in“Hanguk Eumakhak Jaryo Chongseo.”I conclude the result my study on the aspects of changes in gwaebeop between the current and classical Gunak melody as follows : First, the patterns of changes in gwaebeop shown in the classical scores are categorized by5-8-5-8-5 pattern, 5-8-5-8 pattern, 5-8-5 pattern, 5-7-5 pattern, 5-7 pattern, nomarked pattern, and 4gwaeboep pattern. Second, since “Youyeji”is played by 4gwaebeop and its melody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current Gunak and other classical scores, I exclude it in this study. Third, I perceived that the melody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gak in the second jang in several classical scores appear differently from the current score. I discovered that the melody is the same as the current haetan-garak after comparing the classical score with the current melody as well as hatan-garak. In this thesis, I refer to the classical score that is the same as the current melody as“hyeonhaenghyeong(the current type)”and the classical score that is the same as the current haetan-garakas“haetanhyeong(haetan type).” Fourth, hyeonhaenghyeong is the scores that have a similar melody with the current melody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gak of the second jang. Hyeonhaenghyeong includes four scores : Heuiyu, Geumbo(Mandang’scollection), Haesanyueum, and Aakbu Hyeongeumbo. As are sult of comparing the melody with current Gunak, the changes in gwaebeop are the same as 5-8-5-8-5 pattern. Fifth, haetanhyeong is the scores that have similar melodies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gak of the second jang with the current haetan melody. Thirteen scores are included in haetanhyeong : Yeondae Hyeon-geumbo, Wongaek-yu-un, Cheong-eum-gobo, Hakpogeumbo, Bangsanhanssigeumbo, Yeok-yang-a-un, Hyeon-geumoeumtong-ron, Ageumgobo, Samjukgeumbo, Jukchwigeumbo, Heukhonggeumbo, HarvardUniversity Geumbo, and Dongdaegeumbo. As are sult of comparing the melody with current Gunak, the changes in gwaebeop are the same as the 5-5-5-8-5 pattern. In conclusion, the element that distinguishes the 5-8-5-8-5 pattern and the 5-5-5-8-5 pattern is the existence of changes in gwaebeop in the first gak of the second jang. Thus, hyeonhaenghyeong is the 5-8-5-8-5 pattern since it moves to 8 gwae in the first gak of the second jang, while haetanhyeong is the 5-5-5-8-5 pattern since it is played with 5 gwae instead of moving in the first gak of the second jang. Also, more classical scores tend to have haetanhyeong melody than hyeonhaenghyeong. Among the eighteen classical scores, four of the m include haetanhyeong and thirteen of them include haetanhyeong. Thus, I conclude that haetanhyeong was more common than hyeonhaenghyeong in the past.;현악영산회상은 아홉 곡으로 이루어져있는 모음곡으로 조선시대 풍류음악의 대표적인 기악곡이다. 군악은 영산회상 중 마지막 곡으로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10장단, 2장 9장단, 3장 22장단, 4장 7장단으로 총 48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산회상의 다른 악곡들이 대개 4괘 법 혹은 7괘 법으로 연주되는 것과 달리 군악은 5괘 법으로 연주되며 3장 13각에서 22각까지 높은 음이 지속되는 권마성(勸馬聲)가락이 있다. 또한 별도의 해탄 가락이 존재한다. 거문고 연주자로서 군악이 다른 악곡들과 비교되는 특징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군악의 선율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군악이 수록된 고 악보들을 역 보하여 현행선율과 비교하던 중 괘 법 이동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악 영산회상 군악의 괘 법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현행군악과 고 악보 소재 군악을 비교하여 괘 법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악보는 성 경린&#65381;황 득 주 편저의 <正樂 거 문고譜>를, 고 악보는 <한국음악학 자료총서>에 실린 18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악 보 소재 군악의 괘 법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현행군악선율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 악보에 표기된 괘 법 변화의 유형은 5-8-5-8-5 유형, 5-8-5-8 유형, 5-8-5 유형, 5-7-5 유형, 5-7 유형, 괘 법 표기 없는 유형, 4 괘 법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985172;유예지&#985173;는 4괘 법 으로 현행군악 및 다른 고 악보 소재 군악에 비해 선율이 많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괘 법 변화 양상을 살펴봄에 있어 제외한다. 셋째, 연구대상인 고 악보 중에서 2장 1~4각에 해당하는 선율이 현행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행 원 가락 및 해 탄 가락과 비교한 결과, 이 선율은 현행 해 탄 가락과 같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에서는 현행 원 가락과 같은 고 악보는 현행 형, 현행 해 탄 가락과 같은 고 악보는 해 탄 형으로 구분한다. 넷째, 현행 형은 2장 1~4각의 선율이 현행 원 가락과 유사한 악보들로서 이에 해당하는 악보는 <희유>, <금 보(만당 소장 본)>, <해산유음>, <아 악 부 현금 보>의 4종이다. 현행군악과 선율비교 결과, 괘 법 변화가 5-8-5-8-5 유형과 같다. 다섯째, 해 탄 형은 2장 1~4각의 선율이 현행 해 탄 가락과 유사한 악보들로서 이에 해당하는 악보는 <연대 현금 보>, <원객 유 운>, <청음 고 보>, <학 포 금 보>, <방산 한씨 금 보>, <역 양 아운>, <현금오음통론>, <아 금 고 보>, <삼 죽 금 보>, <죽 취 금 보>, <흑 홍 금 보>, <하바드 大 금 보>, <동 대 금 보>의 13종이다. 현행군악과 선율비교 결과, 괘 법 변화가 5-5-5-8-5 유형과 같다. 정리하면, 괘 법 변화에 있어 5-8-5-8-5 유형과 5-5-5-8-5 유형을 구분 짓는 요인은 2장 1각에서의 괘 법 이동 유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행 형은 2장 1각에서 8괘로 이동하므로 괘 법 변화가 5-8-5-8-5 유형이고, 해 탄 형은 2장 1각에서 이동하지 않고 5괘로 연주하므로 5-5-5-8-5유형이다. 한편 고 악보 18종 중에 현행 형 선율이 4종, 해 탄 형 선율이 13종으로 해 탄 형 선율을 보유한 악보가 월등히 많다. 이를 통해 현행 이전의 고 악보에서는 현행 형 선율보다는 해 탄 형 선율이 일반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3 Ⅱ. 현행 군악의 구조 6 Ⅲ. 괘법에 따른 고악보 분류 10 A. 5괘-8괘-5괘-8괘-5괘 유형 12 B. 5괘-8괘-5괘-8괘 유형 16 C. 5괘-8괘-5괘 유형 18 D. 5괘-7괘-5괘 유형 36 E. 5괘-7괘 유형 39 F. 괘법 표기 없는 유형 42 G. 4괘법 유형 48 Ⅳ. 선율형과 괘법변화형의 관계 52 A. 현행형 53 B. 해탄형 55 Ⅴ. 결론 59 참고문헌 61 부록악보. 군악 63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364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악영산회상 군악의 괘법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유예지 이후의 고악보에 기하여-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Changes in GwaebeopinGunak of Hyeonakyeongsanhoesang : Based on the Classical Scores since “Youyeji”-
dc.creator.othernameDoh, Hyun-Kyung-
dc.format.pagev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