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정수민-
dc.creator정수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0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85-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유형에 따른 한국어 피동 표현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피동 표현을 나타내는 문법 형식이 발달되어 있다. 이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피동 표현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잦은 오류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한국어교육에서 피동 표현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 치중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 습득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법 성 판단 테스트와 말하기 테스트를 실시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표현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 중간 언어와 한국어 피동 표현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기존에 진행된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하며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습자 중간 언어와 한국어 피동 표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언어는 과제 유형에 따라 다양한 변이를 나타내며 특히 주의 집중도가 높은 과제일수록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언어 습득 과정은 ‘학습-혼란-재 학습’의 과정을 거치며 이는 U자형 곡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될 한국어 피동 표현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는 실험 참여자 선정 기준과 연구에 사용되는 문법 성 판단 테스트와 말하기 테스트의 문항 구성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예비 실험과 본 실험으로 이루어진 연구 절차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의 습득은 과제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낸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둘째, 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숙달도별로 한국어 피동 표현 사용 양상을 알아본 결과 문법 성 판단 테스트에서는 피동을 학습한 지 6주 미만인 중급 학습자 집단(A집단)과 피동을 학습한 지 12개월 이상 되었으며 한국에서 대학이나 대학원을 다니고 있는 고급 학습자 집단(C집단)이 비슷한 수준의 점수로 높게 나타났으며, 피동을 학습한지 4개월 이상 된 고급 학습자 집단(B집단)의 정확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 말하기 테스트에서는 C집단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A집단과 B집단은 비슷한 점수로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셋째, 과제 유형에 따른 한국어 피동 표현의 변이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넷째, 동일한 유형의 과제를 수행할지라도 학습자의 숙달 도에 따라 학습자 언어 변이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다양한 과제 유형을 사용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의 습득 양상과 그 변이 유형을 살펴보았다. 둘째, 과제 유형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 습득은 숙달 도에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변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말하기 테스트의 경우 통제된 말하기의 성격을 지니므로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발화하는 한국어 피동 표현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이에 향후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학습자 발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의 습득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This thesis intends to inspect aspects of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according to task types of Chinese learners. Korean has the developed grammatical forms to represent passive expressions. So learners of Korean have many difficulties in using passive expressions and make mistakes frequent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studies on passive expressions have been concentrating on the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here’s no study on acquisition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of learners.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aspect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by conducting tests of grammaticality judgment and speaking. The composition of this thesis are like followings below. In the ChapterⅠ, it identifies the necessity and aim of the study, examines precedent studies on learners’ interlanguage and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ed research topics and hypotheses of this study while pointing ou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In the ChapterⅡ, it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learners’ interlanguage and Korean passive expressions. Through such a process, this study identifies that learners’ language has the various variations according to task types and that especially as the task has higher attention level, it shows higher accuracy. It also identifies that language acquisition of learner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confusion-relearning’ which is represented as U-shaped behavior. In addition,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it sets categories of expressions to be used in this study. In the ChapterⅢ, this study describes research methods. It gives a concrete explanation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articipants and test item construction of grammaticality judgment and speaking us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it presents the research process composed of the preliminary and main experiments with the analytic method for collected data. In the Chapter Ⅳ, this study describes research results. As the result, first, it shows that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ask types. Second, as the result of inspecting use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by proficiency according to task types, in the test of grammaticality judgment, Intermediate learner group which has been learning passive expressions for less than 6 weeks(group A) and advanced learner group which has been learning passive expressions for more than 1 year and attending a college or a graduate school(group C) received higher scores similar to each other while accuracy of advanced learner group which has been learning passive expressions for more than 4 months(group B) was lower. On the other hand, in the speaking test, group C showed the highest accuracy and group A and B showed lower similar to each other. Third, variation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vary from the task types. Fourth, it shows that learners’ linguistic variations vary from their proficiency even if they perform a task of the same typ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like followings. First, it examined that aspects of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and variation types of Chinese learners using the diverse task types. Second, according to task types, it identified that proficiency influences on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with the diverse variations. However, as speaking is controlled in the test of this study, it has a limitation that there may be difference from Korean passive expressions learners utter in real life. So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on acquisition of learners’ Korean passive expressions based on their utterance in the actual communic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 연구 3 C.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9 A. 학습자 중간 언어 9 1. 학습자 언어 변이 9 2. 학습자 언어의 발달 단계 12 B. 한국어 피동 표현 14 1. 피동의 개념 14 2. 한국어의 피동 표현 범주 14 3.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피동 표현 16 4. 본 연구에서 선정된 한국어 피동 표현 18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21 A. 실험 참여자 선정 22 B. 연구 도구 26 1. 피동사 선정 기준 26 2. 문법성 판단 테스트 28 3. 말하기 테스트 30 4. 신뢰도 33 C. 자료 수집 34 1. 예비 실험 34 2. 본 실험 35 D. 자료 분석 방법 35 1. 유효화 기준 35 2. 자료 분석 방법 36 Ⅳ. 연구 결과 38 A. 과제 유형에 따른 한국어 피동 표현 사용의 정확도 38 B. 한국어 피동 표현의 변이 양상 50 1. 과제 유형에 따른 한국어 피동 표현의 변이 51 2. 과제 유형에 따른 숙달도별 한국어 피동 표현의 변이 55 Ⅴ. 결론 및 논의 63 참고문헌 66 부록. 문법성 판단 테스트지 69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44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유형에 따른 피동 표현 습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assive Expressions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According to Task Types-
dc.creator.othernameJung, Su-Min-
dc.format.pagevi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