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20 Download: 0

개인의 혁신성, 사회적 영향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인이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개인의 혁신성, 사회적 영향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인이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ctors Such as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 and User Interface on Smart Phone Acceptance : Based on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uthors
최민수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원용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acceptance decision factors of a smart phone, which is a representative convergent media in the IT area, and suggested a smart phone acceptance model to analyze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 of concepts. While the use of the new media, a smart phone, is rapidly increasing around the world, there are few scholarly researches on it. Therefore, the systematic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smart phone acceptance model i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 timely and appropriate subject. The smart phone acceptanc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Fred Davis(1989) by expanding constructs of the model. It suggested new external variables which were not considered in other previous researches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more specific and systematic analysis can be done using this model. In this study, two research problems and research models were suggested and a posi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first research model added perceived playfulness to the basic TAM and the second one added perceived playfulness and several external factors to the basic TAM. In other words, the first research model was expanded with the add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 user interface and cost factors.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concluded as followings. The first research model showed that a user attitude toward use appeared more positive when the user perceived the usefulness, ease-of-use, playfulness more highly after the user had used a smart phone. The user also perceived more highly the usefulness and playfulness of a smart phone when the user thought that he/she used it more easily. In the second research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 and user interface influence were,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ease-of-use and playfulness of the user were, which appeare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use of a smart phone. It was also shown that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use leads to more positive intention toward use of a smart phone. However, the influence of cost was not verified in this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several implications on the acceptance of a smart phone. First, whenever a new media appears, the diffusion of innovation is discussed. The respondents of this survey can be said as early adopters based on the resul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seems the reason why personal innovativeness was high in this study. Second, the issue of cost can be raised in smart phone acceptance. The influence of cost was not verified in this study because early adopters generally do not much care about the prices of innovative products in the introductory stage of a new media. However, cost can be an important variable considering the diffusion process with increasing adopter groups and decreasing prices in the future. Third, people communications are facilitated more closely due to rapidly growing social networks. People want to maintain instant and last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them. In this sense, the social influence of a new media is more emphasized. That can also be understood as a desire to show off or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Fourth, considering that a smart phone is an individual-centric convergent media, it can be emphasized that users look at subjective aspects as well as functional aspects of the media when they accept a smart ph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user interface which was confirmed to have a highest influence. Recently graphic user interface has been a subject of many researches. As the example of Apple that preoccupied the market with intuitive interface and applications shows, successful attraction of consumers requires enhancement of user interface. Lastly, the smart phone acceptanc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s mentioned above, was confirmed to be very effective in predicting consumer acceptance.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immediately applied in actual marketing work. The smart phone acceptance model can be used as a market analysis tool to provide useful insights about smart phone users in the future. It can also provide a practical help in developing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to hold a dominant position in the market. The smart phone acceptance model her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in actual working areas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es on the adoption and usage of an IT media in the futur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giving a comprehensive explanation about smart phone acceptance only by using the results suggested in this study because there can be other factors which can actually have influence in smart phone acceptance than those mentioned he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validity of the concepts although the smart phone acceptance model showed a valid result in this study. There should also be more researches on smart phone acceptance with multiple approaches.;본 연구는 정보통신분야의 대표적 융합미디어인 스마트 폰 의 수용결정요인을 밝히고 개념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스마트 폰 수용모델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미디어인 스마트 폰 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체계적 조사와 분석은 시의적 논제라고 할 수 있다.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모델의 구성개념을 확장한 스마트 폰 수용모델은 기존의 연구에서 도출되지 않았던 새로운 외부변수를 제안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가능케 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모형은 기본 기술수용모델에 지각된 유희성을 추가하였고, 두 번째 연구모형은 기본 기술수용모델에 지각된 유희성과 여러 외부요인을 추가하였다. 즉, 첫 번째 연구모형에 개인의 혁신 성, 사회적 영향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비용 요인을 추가하여 확장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연구모형의 결과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 을 사용한 후 스마트 폰 의 유용성, 용이성, 유희성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이용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긍정적인 이용태도는 긍정적인 이용의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폰 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지각할수록 스마트 폰 의 유용성과 유희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모형의 결과에서는 개인의 혁신 성, 사회적 영향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향력이 클수록 스마트 폰 의 유용성, 용이성, 유희성에 대한 지각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스마트 폰 에 대한 긍정적인 이용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날수록 스마트 폰 이용의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모형에서 비용의 영향력은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폰 수용에 관한 새로운 시각으로서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뉴미디어가 등장할 때마다 혁신의 확산이 논의되는데, 본 조사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결과를 통해 이들이 초기 수용자임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 개인의 혁신 성이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스마트 폰 수용에 있어 비용에 대한 논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뉴미디어의 도입 시기에 초기 수용자들은 혁신 제품에 대한 두려움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의적으로 비용에 대한 영향력이 검증되지 않았으나, 향후 더 많은 수용자 집단이 형성되어 가격이 하락하게 되는 확산의 과정을 고려하면 비용은 중요한 변수로 주목될 수 있겠다. 셋째, 근래 사회적 네트워크의 증폭으로 인한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밀접하게 촉진되고 있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과 즉시적, 지속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영향력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되고 싶은 과시 또는 상징의 욕구로 이해할 수 있다. 넷째, 스마트 폰 이 개인 중심적 융합미디어인 점을 감안할 때, 사용자들의 스마트 폰 수용에 있어 매체의 기능적 속성 뿐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 측면에 주목해야 함을 강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이 검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주요한 주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애플이 직관적 인터페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시장을 선점한 사례가 그 중요성을 시사하듯이, 성공적인 소비자들의 수용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제안한 스마트 폰 수용모델은 소비자의 수용을 예측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모델임이 검증되었고, 마케팅 실무에서 즉시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닌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 수용모델은 향후 스마트 폰 사용자에 대한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시장 분석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시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수립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마트 폰 수용모델은 향후 정보통신 미디어를 채택하고 이용하는 행위에 대한 학문적 접근 뿐 아니라 실무적 측면에서도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스마트 폰 수용에 있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요인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것 외에도 다른 개념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만으로 스마트 폰 수용을 총체적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스마트 폰 수용모델이 타당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향후 개념타당 도에 대한 부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 수용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의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