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재미교포 청소년의 문화정체감과 한국어 숙달도의 상관관계 연구

Title
재미교포 청소년의 문화정체감과 한국어 숙달도의 상관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Korean-American Youth Learners' Cultural Identity and Korean Proficiency
Authors
Chun, Hee Chung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고는 재미교포 청소년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문화정체감과 문화적응유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화정체감과 문화적응유형이 한국어 숙달도와 어떠한 관계에 놓여 있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한 뒤,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재미교포 청소년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정체감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으로 이들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이들의 한국문화정체감과 미국문화정체감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 문제 2는 이들의 문화적응유형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재미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문화적응유형이 어떠한 양상을 띠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문제 3은 재미교포 청소년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정체감 및 문화적응유형과 이들의 한국어 숙달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를 지지하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본고의 연구대상인 재미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개념과 특성 및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정체감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문화적응유형에 대해 그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에 대한 정보와 자료 수집에 이용된 설문지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연구 도구의 선정 및 개발부터 자료 해석에 이르는 연구 절차를 보였으며, 연구결과 해석에 이용될 통계적 처리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기본정보와 한국 문화 접촉 양상, 한국어 학습 양상 및 문화정체감에 대한 자기인식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특성과 문화정체감 및 문화적응유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재미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주된 한국문화 접촉 환경은 가정이나 종교 단체로 매우 한정적이었으며 대부분이 부모님의 권유로, 2년 이상 한글학교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이 있거나 학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문화정체감을 한국과 미국 양쪽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판단했다. 이들의 문화정체감 양상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재미교포 청소년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문화정체감이 미국문화정체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의 한국문화정체감은 성별, 연령, 학년, 한국어 학습동기 ,참여자 가족의 문화적 특성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미국문화정체감 역시 성별, 연령, 학년, 한국어 학습 동기, 문화정체감에 대한 자기인식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문화정체감과 미국문화정체감은 모두 출생지의 영향을 받아, 한국문화정체감의 경우 미국에서 출생한 참여자에 비해 한국에서 출생한 참여자의 경우가, 미국문화정체감의 경우 미국에서 출생한 참여자가 한국에서 출생한 경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미국문화정체감의 경우 자신의 가족을 미국적으로 느낄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한국문화정체감은 문화정체감에 대한 자기인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미국적이라고 느낀 집단에 비해 한국적이라고 느낀 집단의 한국문화정체감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두 번째로 재미교포 청소년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응유형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통합유형, 분리유형, 주변화유형, 동화유형의 순서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화적응유형은 참여자의 성별, 연령, 학년, 한국어 학습의 동기, 가족의 문화적 특성과 문화정체감에 대한 자기인식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출생지에 따라 차이를 보여, 미국에서 출생한 참여자의 경우 통합유형이 가장 많았다. 반면, 한국에서 출생한 참여자의 경우 분리유형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재미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정체감 및 문화적응유형과 한국어 숙달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한국문화정체감은 한국어 숙달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미국문화정체감과 한국어 숙달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문화적응유형에 따라 한국어 숙달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분리유형, 통합유형 주변화유형, 동화유형의 순서로 높았다. 특히 동화유형은 분리유형과 통합유형에 비해 성적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고가 갖는 의의 및 한계와 향후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먼저 본고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현지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교포 학습자의 문화정체감과 한국어 숙달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 시도였다. 둘째, 재미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효율적인 한국어 학습에 있어 문화정체감의 형성이 갖는 중요성을 밝혀 한국어 교육 내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결과는 재미교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수행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is thesis is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Korean-American youth learners' cultural identity and Korean proficiency.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described. Related researches conducted in the past were briefly introduced and research questions were deduced upon them.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about cultural identity of Korean-American Korean learners, especially the teenagers. Their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American cultural identity was researched based on their personal background. Also, the objective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o study on their acculturation type, also based on their personal background. Finally, through the third research question, the relation between their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type, and Korean proficiency was discussed. The second chapter serv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search, where the defini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Korean-American youth Korean learners, was briefly introduced.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the components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definition and the type of acculturation was introduced. In the third chapter,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described.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ticipants, survey and questionnaire used to collect the data was specifically described. The procedure of the research and method of the data analysis was also discussed. The fourth chapter consists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ersonal background of the participants, their contact to Korean culture, the aspects of their Korean learning style, and their self-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were shown. Moreover, it was discussed that how these characters have influenced their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type. The results show that majority of Korean-American youth learners' contact channel of Korean culture was very limited to the family or religious groups. Also, most of them were learning Korean, or have learned Korean for at least two years due to their parent's persuasion. In addition, most of the participants concluded that the cultural identity of themselves were consisted of both Korean and American identity.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ly, Korean-American youth learner's Korean cultural identity score was higher than their American cultural identity score,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ir Korean cultural identity score was not influenced by their gender, age, grade, the motivation of learning Korean, self-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their family. However, both Korean and American cultural identity was influenced by the place of birth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articipants who were born in Korea showed higher score in Korean cultural identity than those who were born in the USA, while American cultural identity score was lower than the America-born participants. In addition, American cultural identity was higher if they concluded their family culture is close to American. Besides, Korean cultural identity score was higher if their self-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was closer to Korean. Secondly, the results also showed the percentage of Korean-American youth learner's acculturation type. The highest was integration group, the second was separation group, the third was marginalization group, and the assimilation group was the last. The type of acculturation did not differ from participants' gender, age, grade, the motivation of learning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 of family and self-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However, it differed from their place of birth.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ho were born in the USA was integration type while the majority of Korea born group were separation type.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Korean-American youth learners'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type, and Korean proficienc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Korean profici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American cultural identity and Korean proficiency. Also, Korean proficiency differed from their acculturation type. The separation group showed highest score in Korean proficiency test, followed by integration group, marginalization group, and assimilation group in order. Especially the score of assimil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separation group and integration group. In the final chapter, research result was summarized and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as presented. Also,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escribed.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two reasons. First, it is the first try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ield,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identity and Korean proficiency of Korean-American youth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in the USA. Moreover, the research showed the importance of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in Korean-American learner's efficient learning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data to set and perform the direction of teaching Korean to Korean-American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