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중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메타인지, 학습전략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모형 분석

Title
중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메타인지, 학습전략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모형 분석
Other Titles
A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tacognition, Learning Strategies and School Achievement
Authors
허현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heck the statue of secondary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tacogni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vestigate the structur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s, metacognition, study strategies and school achievemen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89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91 middle school students and 98 high school students. Thei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measured by the Achievement Goal test by Elliot and Church(1997), metacognition was measuredby Jr.MAI(Jumior Metacognitive Awareness Iventory) by Sperling et al(2002) and learning strategies wasmeasured by MSLQ's learning strategies section by Pintrich and Garcia(1991).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r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der and grad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re the highest level in the mastery goal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hen analyzed by the correla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Seco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ware no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grade. Thir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most often used a surface cognitive strategies in science learning. Learning strategies ware no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grade. Fourth, secondary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learning strategies and school achievement were allowed to positively correlate with one another. I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school achievement.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chieve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respectively. Fifth, when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ructural weights ware different bu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almost the same paths in the model Six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did not directly effected on study strategies and indirectly effected on school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metacognition and study strategies in order. Seventh, study strategies was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school achievement and metacognition's direct effect on study strategies was strong.;지식기반 사회에서 사회가 요구하는 학습은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학습, 즉 자기조절학습이다. 그러나 자기조절학습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성요인들 간의 관계가 명확히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에서 중요한 구성요인이라고 판단되는 성취목표지향성, 메타인지, 학습전략이 중·고등학생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성취목표지향성, 메타인지,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을 주된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91명, 고등학생 98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메타인지, 학습전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취목표지향성은 Elliot과 Church(1997)가 개발한 성취목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메타인지 검사지는 Sperling 등(2002)이 개발한 Jr, MAI(Junior Metacognitive Awareness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전략 검사지는 Pintrich와 Garcia1991)가 개발한 MSLQ의 학습전략 부분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들이 어떤 수준에 있으며, 성별, 학년 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t-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변인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은 숙달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는 상관이 존재하고, 고등학생은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에서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수준은 성별,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중․고등학생들은 과학 학습에서 표면적 인지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학습전략 사용 수준은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넷째, 중․고등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습전략은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성취목표에서는 중학생은 수행회피목표와 학업성취도가 부적상관을 보였고, 고등학생은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가 학업성취도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 경로계수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인 구조모형의 경로는 동일하다. 여섯째,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전략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거의 없었으며, 메타인지와 학습전략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 학습전략은 학업성취도의 유의한 예측변인이며, 메타인지는 학습전략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메타인지,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러나 성취목표지향성, 메타인지, 학습전략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변화하기 때문에 초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구조적 관계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성취목표지향성, 메타인지, 학습전략으로 잠재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이들을 구성하는 하위변인들을 고려한 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